-
충청남도 공주 지역 출신의 유학자 이종순의 문집. 이종순은 조선 중기 산림학자였던 초려 이유태(李惟泰)[1607~1684]의 11세손으로, 이유태 이후 현재까지 세거지인 공주시 상왕동 중호(일명 중동골)에서 태어나 가학(家學)으로 한학을 전수받았다. 한때 대전시에 이주하여 학동들을 가르쳤고, 만년에는 국사편찬위원회에 초빙되어 고서 판독 업무를 맡았으며, 평생 우리의 전통 의관(衣冠...
-
조선 후기 문신 조익이 충청남도 공주 지역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쓴 일기. 조익(趙翊)[1556~1613]은 송강(松江) 정철(鄭澈)[1536~1593]을 제거하려는 선조(宣祖)에게 맞서다가 탄핵을 받아 1602년(선조 35) 4월 공주로 유배를 오게 되었다. 이후 1607년(선조 40) 6월까지 약 6년간 충청남도 공주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쓴 일기가 『공산일기(公山日記)』이...
-
조선 말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문인 이규상의 문집. 기록이 없어 자세한 발간 경위는 알기 어려우며, 김복한(金福漢)의 문인으로 동문 후배인 전용욱(田溶彧)의 서문과 아들 이병문(李炳文)의 발문이 수록되어 있다....
-
조선 후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문신 송래희의 문집. 송래희(宋來熙)[1791~1867]는 조선 후기 공주 관리를 역임했던 문신이자 학자이다.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의 7세손으로서,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학통을 이은 이직보(李直輔)의 문인이다. 25세에 진사가 되었으며 오랫동안 벼슬에 나가지 않다가 1835년(헌종 1) 45세에 선공감역으로 출사하였다....
-
충청남도 공주 지역에 은거하였던 최인식의 문집. 최인식(崔麟植)[1879~1957]은 1897년 학교 교원으로 출사하여(학교명은 미상) 뒤에 통정(通政)의 품계인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에 승진하였으나, 일제의 침략으로 국권이 상실되자 공주시 정안면 궁원(弓院)에 낙향하여 은거하였다....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유학자 김영한의 문집. 『급우재집(及愚齋集)』은 김영한(金甯漢)[1878~1950]이 작고한 후, 유고를 모아 1961년 아들 김윤동(金潤東)이 편집 간행하였다....
-
충청남도 공주에 세거하였던 유학자 이규헌의 문집. 이규헌(李奎憲)[1896~1976]은 조선 중기 학자 초려 이유태(李惟泰)[1607~1684]의 10세손이며, 일제 강점기 식민 정책인 민적 편입과 단발에 끝까지 항거한 지방 유생 이철영(李喆榮)[1867~1919]의 조카이다. 경주이씨 국당공파(菊堂公派)는 이유태 이후 흔히 중동골이라 부르는 중호[中湖]에 거주하면서 광복 이후 최...
-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문인 서정세의 문집. 서정세(徐廷世)[1887~1955]는 간재 전우(田愚)의 문인으로 수학 후, 서당을 설립하여 다수의 청장년과 문중인을 교습하여 지역의 문맹 퇴치에 공헌하였다. 호가 달재(達齋)이다....
-
충청남도 공주의 유학자이자 한의사인 노재광의 한시집. 『대원당시초(大元堂詩抄)』는 공주향교의 전교와 공주유도회장을 역임한 노재광(盧載光)의 회갑 기념 문집인 『대원당수연시집(大元堂壽筵詩集)』에 첨부된 한시집이다. 활자를 사용치 않고 문일건(文日乾)이 서판에 맞추어 각각의 시편들을 세필로 정리하였다. 1983년 노일선(盧一善)이 편집과 발행을 맡았으며, 공주에 있는 새한인쇄사에서 출...
-
조선 말기 충청남도 공주 출신의 애국지사 이상린의 문집. 이상린은 공주시 우성면에서 출생하였으며, 간재 전우(田愚)에게서 수학하였다.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가 시해당하고, 삭발령이 내려지자 이에 격분한 이상린은 김복한(金福漢)·이설(李偰)·안병찬(安炳瓚)·송병직(宋秉稷)·홍건(洪楗) 등과 함께 홍주관아에 들어가 홍주(현 충청남도 홍성군) 1차 의병거사를 모의하였다. 그러나...
-
일제 강점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문인 박기순의 문집. 아들 박동은(朴東殷)이 박기순(朴起淳)[1876~1942]이 생전에 정리하였던 원고를 필사하여 1974년 『만호유고(晩湖遺稿)』를 간행하였다....
-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문인 이정재의 문집. 이정재(李正載)[1915~?]는 1927년까지 한문을 수학하여 어린 시절 한문학에 대한 소양을 쌓았다. 호가 부남(阜南)이다....
-
조선 말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문신 송인식의 문집. 송인식(宋寅植)[1818~1900]은 조선 말기 돈녕부사를 역임하였다. 본관은 은진이고, 호가 삼사재(三斯齋)이다....
-
1959년에 간행된 공주 출신 문인 서병주의 문집. 서병주(徐丙周)[1866~1943]는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의 관료였다. 특히 『삼은유고』에는 ‘서문’에서조차도 저자의 생몰 연대와 사우 관계를 언급치 않아서, 그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 다른 문헌을 통해 저자의 생몰 연대를 재구하여 보면 위와 같다....
-
조선 후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세거하였던 남대식의 문집. 남대식(南大植)[1823~1876]은 세종조 집현전 학사로서 명성이 있던 남수문(南秀文)[1408~1443]의 13세손이다. 고성남씨가 옛 공주목의 관할 지역이었던 대전에 자리 잡게 된 것은, 연산군 때의 사화를 피하여 조광조의 제자였던 남신(南信)[1494~1557] 등이 벼슬을 버리고, 보문산 자락인 대전광역시 중구 석교동...
-
고려 후기 문신 이존오(李存吾)의 문집. 저자 이존오는 고려 후기 공민왕 때에 문과에 급제, 우정언이 되어 신돈의 횡포를 탄핵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장사감무(長沙監務)로 좌천되었으며, 공주 석탄(石灘)에 은거하다가 세상을 마쳤다. 사후 350년이 지난 1738년(영조 14) 후손들에 의해 문집이 간행되었다. 이것은 초간본이며, 본 『석탄유집』은 초간본을 증보한 중간본(重刊本)으로...
-
1965년에 저술된 공주 출신 문인 박영희의 문집. 박영희(朴永熹)[1903~1965]는 공주시 탄천면에서 참봉 박세현(朴世鉉)의 아들로 태어났다. 기상이 호협하고 언변이 유창하였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에 나라를 빼앗긴 것을 통분하게 여기어 국내는 물론 일본과 만주까지 유람하면서 우국지사와의 연대를 모색하였다. 광복 이후는 해공 신익희(申翼熙)·유석 조병옥(趙炳玉)·창랑 장택상(張...
-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유학자 이병연의 문집. 이병연(李秉延)[1894~1976]은 일제 치하에서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이라는 지리지를 목판본으로 편찬 간행하였는데, 이를 위해서 10여 년간 전국을 돌아다니며 지리·풍속·인물·산천·고적 등을 49조목으로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정리하였다. 이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이후 가장 방대한 지리지 편찬사업이었으나, 일제 강...
-
1962년에 간행된 공주 출신 문인 박세현의 문집. 송암 박세현(朴世鉉)[1868~1935]의 사후 29년이 지나 아들 박영준이 유고를 수습하여, 창산(昌山)인 성구용(成九鏞)의 서문을 받아 대전에서 간행하였다....
-
1936년에 초간되고 1998년에 중간(重刊)된 공주 출신 문인 최종화의 문집. 최종화(崔鍾和)[1859~1918]는 공주목 연기현 동리에서 태어났다. 1892년 33세 때에 과거 공부를 뿌리치고 간재 전우(田愚)[1841~1922]의 문하에 들어가 경학에 전념하여 기호학파의 학맥을 잇는 신진학자로서 촉망을 받았다. 한말 국가의 정세가 위태할 때 공주목 정안현(현재 공주시 정안면)...
-
충청남도 공주시 금흥동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에 있는 1811년 조선통신사 정사로 대마도에 다녀온 김이교가 작성한 일록. 1811년(순조 11) 김이교(金履喬)[1746~1832]는 조선통신사 정사로 대마도에 다녀오면서 관련 문서들을 모아 『신미통신일록』을 작성하였다. 통신사 파견 직전인 1809년(순조 9) 8월 27일 강정(講定) 교섭부터 시작하여 통신사행이 대마도에 가 국서를...
-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문인 문중대의 문집. 문중대(文重大)[1919~1993]는 본래 황해도 연백군 봉서면 출생으로 월남하여 충청남도 공주에 정착하였으며, 한때 공주 금성시사(錦城詩社)의 회장을 맡아 공주 지역 시회(詩會)를 이끌었다....
-
조선 말기 충청남도 공주 지역에 은거한 문신 정달영의 문집. 『영암집(寧菴集)』은 2권 1책이다. 장정법은 선장본이다. 광곽은 사주쌍변으로 반곽 크기는 가로가 16.5㎝이고, 세로가 22.3㎝이다. 행수는 12행이고, 한 행의 자수는 25자이다....
-
조선 말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활동한 문인 정인창의 문집. 『유몽집(惟夢集)』은 2권 1책이다. 장정법은 선장본이다. 광곽은 사주쌍변으로 반곽 크기는 가로가 16.1㎝이고, 세로가 21.7㎝이다. 행수는 12행이고, 한 행의 자수는 25자이다....
-
1970년에 간행된 문인 이선식의 문집. 이선식(李善植)[1838~1912]은 전재(全齋) 임헌회(任憲晦)[1811~1876]의 문인으로서, 원래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났으나, 1867년 30세 때에 스승 임헌회가 머물고 있던 공주군 사곡면(寺谷面) 명강리(明剛里)로 이주하였다. 이로써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이곳의 학자 문인들과 폭넓은 교유를 맺게 되었다....
-
1968년에 간행된 조선 후기 문신 이용하의 문집. 이용하(李用夏)[1789~1874]는 명문대가의 후예였으나 문달(聞達)을 구하지 않았으며, 또한 세도(世道)가 점점 쇠락해져 감을 보고는 낙향하여 향리 공주 이인(현재 공주시 이인면 목동리)에 은거하였다. 이때 공자·주자·율곡을 삼대성(三大成)이라 일컬으며 성현(聖賢)의 종주(宗主)로 삼아 의지하며 학문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또...
-
1986년에 간행된 문인 김광호의 문집. 김광호(金光鎬)[1890~1963]는 일제 강점기 말인 1944년(54세)에 출생지인 천안을 떠나 공주에 이거하였다. 공주 유구의 옥산(玉山) 아래에 이사하여 후학을 양성하는데 전념하였으며, 대체로 천안과 공주 지역의 간재(艮齋) 전우(田愚)[1841~1922]의 문하 연원의 문사들과 교류하였다. 「옥산강회(玉山講會)」, 「옥산우거(玉山寓居...
-
1989년에 간행된 문인 학자 김순동의 문집. 김순동(金舜東)[1898~1972]은 가학을 전수받아 한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윤용구(尹用求)에게 서법을 익혀 명필로서 명성이 높았다. 광복 후, 국학대학에 교수로 부임하여 국학을 강의하였다. 6·25 동란 후 대전에 거주하며 충남대학의 창설에 기여하였고, 교수로 부임하여 한문학, 국사학, 서예를 가르쳐 많은 후학을 양성하면서 이곳 충...
-
1967년에 간행된 공주 출신 문인 심상교의 문집. 심상교(沈相喬)[1837~1918]는 공주 율정(현재 의당면 율정리)에서 태어났다. 심상교는 독서를 좋아하고 경사(經史)에 밝아 일찍이 과업을 닦으며 주위의 촉망을 받았으나, 1862년에 일어났던 진주민란 사건에 무고로 연루되어 1869년 부친과 숙부가 체포되어 옥사당하고, 자신도 옥에 갇히는 고초를 겪게 되었다. 이후로는 부친이...
-
조선 중기 충청남도 공주에서 세거한 이유태의 문집. 이유태(李惟泰)[1607~1684]가 작고한 후, 손자인 이단성(李端誠)이 가장(家藏) 시문을 수습하고 연보를 편찬하던 중 세상을 떠나자, 그 후 5세손(이름 미상)이 임성주(任聖周)[1711~1788]와 김지행(金砥行)[1716~1774]의 교정을 거쳐 17책으로 산정하였다. 이후 다시 김정묵(金正默)[1739~1799]의 산정...
-
2000년에 간행된 공주 출신의 문인 양기덕의 문집. 양기덕(梁基德)[1920~1999]의 사후에 아들 양의호(梁義鎬)와 양승호(梁承鎬) 및 저자의 친우 박구식(朴九植) 등이 초고를 수습하여 정동휘(鄭東暉)의 교정과 서문(序文)을 받아 2000년에 간행하였다....
-
1905년에 간행된 공주 출신 문인 최종화의 작품집.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에 걸쳐 생존한 문인 최종화(崔鍾和)[1859~1918]는 공주목 연기현 동리에서 태어났다. 33세 때에 과거 공부를 뿌리치고 간재 전우(田愚)[1841~1922]의 문하에 들어가 경학에 전념하여 기호학파의 학맥을 잇는 신진학자로서 촉망을 받았다....
-
1981년에 간행된 문인 이존수의 문집. 이존수(李存洙)[1841~1918]의 사후 45년 정도 경과한 1962년경에 손자 이병래가 유고를 수습하고, 이로부터 다시 20여년이 지난 1981년에 월성인(月城人) 이종선(李鍾宣)의 서문을 받아 발간하였다....
-
충청남도 공주 지역에서 활동한 정헌태의 문집. 정헌태(鄭憲泰)[1894~1974]가 작고한 후, 아들 정인희(鄭璘喜)가 정동휘와 더불어 정헌태의 유고를 정리하여 1987년 편집을 완료한 후, 문인 이병관·오창환 등과 힘을 합하여 1988년 6권 4책으로 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