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0289 |
---|---|
한자 | 寺谷面 |
영어음역 | Sagok-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박윤우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유래]
마곡사가 있는 골짜기라는 뜻인 절골을 한자식으로 표기하여 사곡면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백제시대에는 벌음지현에, 신라시대에는 청음현에 속하였다. 고려시대와 조선 초기까지 공주목 신풍현에 속하였고, 조선 후기에 공주목 계실면이라 하고 면사무소를 계실리에 두었다. 1750년대 사곡면으로 개칭하고 면사무소를 호계리로 이전하였고,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17개 리를 관할하였다. 1973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구계리(九溪里), 세동리(細洞里), 운종리(運宗里)가 유구면에 편입되었다. 1983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동해리가 유구읍에 편입되었고, 1995년 도·농 통합으로 공주시에 편입되었다.
[자연환경]
북부, 서부 및 동부의 경계 지대에는 약 400~600m의 높은 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북부의 국사봉(國師峰)[590.6m]·갈미봉[515.2m], 동부의 무성산(武盛山)[613.6m], 서부의 철승산(鐵繩山)[410.2m] 등이 대표적 산지이다. 남부 경계 지대에는 묵방산(墨方山)[370.2m], 약산(藥山)[277.9m], 당마루산[148.3m] 등 약 100~300m의 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사곡면 내에도 약 100~300m의 산지가 형성되어 있다. 면의 남부 지역에는 유구천(維鳩川)이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곡류하면서 계실천(桂實川)·탄동천(炭洞川)과 합류하여 비교적 넓은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북부 지역은 명하천 연변에, 중부 지역은 마곡천(麻谷川) 연변에 소규모의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하천과 충적 평야 일대에는 크고 작은 촌락들이 많이 있으며, 하천의 경우 대체로 해발 고도 약 40~80m에서 흐르고 있다. 북부 지역에 구암소류지, 중부 지역에 여천저수지, 남부 지역에 계실저수지·화월제1저수지·화월제2저수지가 있다. 또한 남부 지역의 독정이고개 등 곳곳에 여러 개의 고개가 있다.
[현황]
사곡면은 공주시 중북부에 있는 행정면이다. 면적은 80.12㎢이며, 2024년 9월 30일 기준 총 1,501가구, 2,739명[남 1,382, 여 1,357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총 경지 면적은 1,044㏊로 사곡면 전체 면적의 12%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식량 작물·특용 작물 및 과실류가 재배되는데 특히 밤농사가 발달하였으며, 가축이 사육되고 있다. 제조업 관련 업체들이 곳곳에 산재하여 있으며, 면소재지인 가촌을 중심으로 서비스업이 발달해 있다. 최근에는 소방방재센터, 한국국토정보공사 연수원 등을 유치하기도 하였다.
문화유산으로 2018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공주 마곡사(公州麻谷寺)가 있다. 또한 보물은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公州麻谷寺五層石塔), 공주 마곡사 영산전(公州麻谷寺靈山殿),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公州麻谷寺大雄寶殿),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公州麻谷寺大光寶殿),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公州麻谷寺塑造四天王像), 「마곡사 석가모니불괘불탱(麻谷寺釋迦牟尼佛掛佛幀)」이 있다.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는 『포저유서(浦渚遺書)』 및 『송곡문집(松谷文集)』 판각, 마곡사심검당및고방(麻谷寺尋劍堂-庫房), 마곡사동종(麻谷寺銅鐘), 공주 마곡사 포교당 범종(公州麻谷寺布敎堂梵鐘), 마곡사동제은입사향로(麻谷寺銅製銀入絲香爐),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목조삼세불상(公州麻谷寺大雄寶殿木造三世佛像),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公州麻谷寺靈山會上圖), 공주 마곡사 영산전 목조칠불좌상 및 복장유물(公州麻谷寺靈山殿木造七佛坐像-腹藏遺物),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소조비로자나불좌상(公州麻谷寺大光寶殿塑造毗盧遮那佛坐)이 있다.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는 공주 마곡사 천왕문(公州麻谷寺天王門), 마곡사국사당(麻谷寺國師堂), 마곡사명부전(麻谷寺冥府殿), 마곡사 응진전(麻谷寺應眞殿), 마곡사 해탈문(麻谷寺解脫門)이 있고, 충청남도 민속자료로 세조대왕연(世祖大王輦)이 있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모두 운암리에 분포해 지역의 관광산업이 활성화되어 있다.
국도 32호선이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지나며, 북서쪽으로 신풍면 영정리에, 남동쪽으로 우성면 동대리에 연결된다. 지방도 604번과 지방도 629번이 중앙부에서 교차한다. 지방도 604번은 북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지나며, 북쪽으로는 정안면 내문리에, 서쪽으로는 유구읍 구계리에 연결된다. 또한 지방도 629번은 남북 방향으로 지나가며, 남쪽으로는 국도 32호선에, 북쪽으로는 유구읍 동해리에 연결된다. 기타 도로도 국지적으로 개설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