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479
한자 麻谷寺冥府殿
영어의미역 Myeongbujeon Hall of Magoksa Temple|Hall of Judgment of Magok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이왕기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마곡사명부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마곡사명부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마곡사명부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성격 목조건축물
양식 다포식 건축
건립시기/일시 1939년연표보기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2칸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567 지도보기
소유자 마곡사
관리자 마곡사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의 명부전.

[개설]

명부전은 지장전, 혹은 시왕전(十王殿)이라고도 부르는데, 주불은 지장보살이다. 다른 보살상은 화관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지장보살만은 승려의 모습을 하고 있다. 지장보살은 지옥에서 고통을 받는 중생들을 모두 구제하겠다고 한 보살이다. 왼손에 든 쇠지팡이로는 지옥문을 두드려 열고, 오른손의 구슬로는 어두운 세상을 광명으로 비추겠다는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

[위치]

마곡사는 가람 배치가 태화천을 가운데 두고 남북이 구분되어 있다. 마곡사명부전은 태화천 남쪽에 자리한 건물이며 수행 가람의 북쪽 모서리 언덕 위에 있다.

[형태]

정면 3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이며 지붕 구조는 무고주(無高柱) 5량집이다. 평면 내부는 한 칸으로, 가운데를 중심으로 3면 벽에 불단을 설치한 다음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좌우로 명부시왕상을 봉안해 두었다. 또한 자연석으로 외벌대 기단을 만들었고, 덤벙주초를 놓은 다음 흘림이 없는 원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쪽에는 창방을 끼우고, 그 위에 주상포(柱上包)와 주간포를 짜 올렸다. 공포(栱包)는 다포식으로 줄목 없이 3제공을 짜 올렸다.

외부로 뻗은 제공 끝에는 연화를 조각해 두었고, 제공 안쪽은 보아지 모양으로 초각하여 운공으로 마감하였다. 주간포는 정면, 측면 모두 각 칸에 2조씩 설치해 두었다. 대량의 위 양쪽에는 포를 끼운 낮은 동자주를 세우고 종향을 걸친 다음 판대공으로 종도리를 받도록 하였다. 내부 바닥은 우물마루를 깔고 천장은 우물천장으로 종보와 중도리 위치에서 소란반자를 설치하였다. 창호는 정면 3칸에만 달았는데, 어칸은 세살문 4분합문이고, 양 협칸은 세살문 3분합이다.

[현황]

명부전은 일제 강점기인 1939년에 건립되었으며,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마곡사명부전은 역사적으로 오래된 건물은 아니지만 가람 배치 때에 반드시 갖춰야 하는 불전이라 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의 건축물이지만 건축의 양식적 특징은 조선 후기 소규모 다포식 팔작지붕으로, 당시 건축의 기술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01.22 [현황] 수정 <변경 전> 명부전은 일제강점기인 1839년에 건립되었으며, <변경 후> 명부전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에 건립되었으며,
이용자 의견
여** 현황중에 일제강점기 1839년이 아니라 1939년 입니다
  • 답변
  • 디지털공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1.1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