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0350 |
---|---|
한자 | 雲岩里-寺谷面- |
영어음역 | Unamri(Sagok-mye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최원회,박윤우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행정구역 개편 전의 이름인 운정리(雲停里)와 구암리(九岩里)에서 ‘운(雲)’자와 ‘암(岩)’자를 따 ‘운암(雲岩)’이 되었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공주군 사곡면(寺谷面) 지역으로, 1914년 사곡면 운정리·구암리·화전리(花田里)·장전리(長田里)·사내리(寺內里)가 통합되어 운암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공주군이 공주시와 통합되면서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운암리의 대부분 지역은 해발 고도 100~500m의 산지로 형성되어 있고, 북부와 남부에는 해발 고도 500여m와 200여m의 산지가 있다. 마을 중앙으로 마곡천(麻谷川)의 지류들이 남북 방향으로 흐르고 있고, 해발 고도 100여m에 형성된 충적 평야가 있다. 마곡천의 지류 유역에는 인공제방이 축조되어 있고, 마곡천 지류의 상당부에는 구암소류지가 있다.
[현황]
운암리는 사곡면의 북서부에 자리하고 있다. 면적은 10.19㎢이며, 2024년 9월 30일 기준 총 189가구, 333명[남 172명, 여 161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총 경지 면적은 99.29㏊로 면 전체 면적의 9.31%를 차지하고 있다. 마곡사 일대에는 관광객을 상대로 한 음식점과 기념품을 판매하는 상가와 여관촌이 들어서 있다. 마곡천의 지류 연변 평야 지대에 주막거리·장밭·서양동·구암·운정 등의 촌락이 들어서 있다. 마곡사 왼쪽의 상원골 계곡 하류에 조계종에서 운영하는 한국문화연수원이 있다.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마곡사 탑돌이 소리」는 초파일 행사에서 단절되면서 사라질 위기에 처했으나 사곡면 운암리 주민 권재덕이 계속 불러 살아남았다.
문화유산으로는 보물로 지정된 공주마곡사오층석탑(公州麻谷寺五層石塔)·공주 마곡사 영산전(公州麻谷寺靈山殿)·공주 마곡사 대광보전(公州麻谷寺大光寶殿)·「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麻谷寺釋迦牟尼佛掛佛幀)」,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포저유서(浦渚遺書)』 및 『송곡문집松谷文集)』 판각(板刻)·마곡사 심검당및고방(麻谷寺尋劍堂-庫房)·마곡사동종(麻谷寺銅鐘)·공주 마곡사 영산전 목조칠불좌상 및 복장유물(公州麻谷寺靈山殿木造七佛坐像-腹藏遺物)·마곡사동제은입사향로(麻谷寺銅製銀入絲香爐)·공주 청련암 목조관음보살좌상(公州靑蓮庵木造觀音菩薩坐像)이 있다. 또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된 마곡사천왕문(麻谷寺天王門)·마곡사국사당(麻谷寺國師堂)·마곡사명부전(麻谷寺冥府殿)·마곡사응진전(麻谷寺應眞殿)·마곡사해탈문(麻谷寺解脫門)과 충청남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세조대왕연 등이 있다.
지방도 604번과 지방도 629번이 동부에서 만나는데, 지방도 604번이 동서 방향으로 뻗어 동쪽으로는 부곡리에, 서쪽으로는 유구읍 구계리에 연결된다. 지방도 629번도 남북 방향으로 뻗어 남쪽으로는 가곡리에, 북쪽으로는 부곡리에 연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