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곡사동종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684
한자 麻谷寺銅鐘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을경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6년 1월 8일연표보기 - 마곡사동종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마곡사동종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마곡사동종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성격
제작지역 충청남도 대흥의 안곡사
재질 구리
높이 107㎝
길이 80㎝
길이 입지름 75㎝
소장처 마곡사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지도보기
소유자 마곡사
관리자 마곡사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있는 조선시대 구리 종.

[개설]

마곡사동종태화산(泰華山) 남쪽 기슭의 마곡사 경내에 있는 종으로서, 조선 후기의 범종이다. 마곡사의 경내 중에서도 마곡사 오층석탑[보물] 동쪽 심검당(尋劍堂)의 툇마루에 자리하고 있는데, 높이는 107㎝, 입지름은 75㎝이다. 주종장은 보은, 법현, 민화, 학순, 학준이다. 마곡사동종은 1976년 1월 8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형태]

정상부의 종(鐘) 인꼭지에는 두 마리의 용이 조각되었고, 종(鐘) 몸체 어깨의 4곳에는 연곽(蓮廓)을 배치하면서 연곽 사이사이와 종신부(鐘身部)의 중앙 4곳에 상하 각각 원형 두광(頭光)을 가진 보살상(菩薩像)을 양각하였다. 상대(上帶)에는 두 줄의 방형대(方形帶)를 만들고 그 안에 범(梵) 자를 적은 원권(圓圈)을 배치하였으며, 하대(下帶)는 연화무늬와 보상화무늬를 교차시킨 당초문대(唐草文帶)로 구성하였다. 연곽의 내구(內區)에는 9개의 연뢰(蓮蕾)가 돌출하고 종 몸체의 상대(上帶)에는 두줄기의 방형대(方形帶)를 만들어 그 안에 원권(圓圈)을 마련하고 범자문(梵字文)을 놓았으며 하대(下帶)는 연화(蓮花)와 보상화문(寶相花文)을 교차시킨 당초문대(唐草文帶)로 구성하였다.

[특징]

종의 아랫부분에 연꽃과 보상화를 교차시킨 덩굴무늬 띠를 만들어, 종 표면의 문양에 통일감과 안정감을 주고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종의 몸에 있는 주성기(鑄成記)에 의하여 1654년(효종 5) 충청남도 대흥(大興)의 안곡사(安谷寺)에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는 것도 동종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동종 자체가 크지는 않지만 제작 연대와 장소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종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