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464
한자 麻谷寺釋迦牟尼佛掛佛幀
영어의미역 Sakyamuni Painting in Magoksa Temple|Sakyamuni Buddha Thanka of Magok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창균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7년 8월 8일연표보기 -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보물 제126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성격 괘불화
제작시기/일시 1687년연표보기
제작지역 공주
작가 응열
소장처 마곡사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지도보기
소유자 마곡사
관리자 마곡사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야외 의식용 괘불화.

[개설]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은 1687년(숙종 13) 능학(能學)이 으뜸 화원을 맡아 그린 괘불화이다. 1997년 8월 8일 보물 제126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형태 및 구성]

화려한 보관을 쓴 채 연꽃가지를 들고 서 있는 전형적인 보살상을 본존불로 삼아 화면 중앙에 배치하고, 머리 광배(光背) 좌우와 주위로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 미륵보살과 제화갈라보살을 위시한 권속들을 작고 중첩되게 그려놓은 복잡한 구도의 군도 형식을 보인다.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6대 보살, 10대 제자, 벽지불(辟支佛), 범천과 제석천, 사천왕, 천자, 아수라, 용왕 등이 좌우 대칭으로 그려져 있다. 최하단에 있는 사천왕은 보검과 비파, 여의주와 창 등의 지물을 들고 있는 지국천왕과 다문천왕, 광목천왕과 증장천왕이 좌우에 배치되어 있다.

중앙의 주존불은 연꽃가지를 든 보살 모습의 연지인 보관불형 석가모니불로 머리 광배에 ‘천백억화신석가모니불’이라는 존명이 있다. 화면을 압도하는 주존불로 위엄이 있으며, 중간 색조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현란한 듯 조화로우면서도 화려한 색채감이 돋보인다. 길이 10.79m 폭 7.16m의 크기이다. 재료는 마본이다.

[특징]

세로로 걸어두고 예배할 수 있도록 만든 족자 형태의 괘불화이다.

[의의와 평가]

마곡사 석가모니불 괘불탱은 1687년 능학이 으뜸 화원을 맡고 계호(戒湖), 최순(崔順), 처묵(處黙), 인행(印行), 정인(精印) 등의 화사가 참여하였다. 각 상의 존명을 밝히고 있어 17세기 도상 비교 연구에 자료적 의의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