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269
한자 反浦面
영어음역 Banpo-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박윤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면
면적 60.0㎢[2024년 9월 30일 기준]
총인구(남, 여) 4,014명(남 2,106명, 여 1,908명)[2024년 9월 30일 기준]
가구수 2,119가구[2024년 9월 30일 기준]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유래]

조선 말기 공주목에 속한 면으로, 원봉리(元峰里)에 있는 반계·반포의 이름을 따서 반포면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백제시대에 웅천에 속하였고, 신라시대에는 웅주에 속하였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공주목 관할로 덕진현의 일부였다.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덕진현에 속한 지역을 연기군(燕岐郡)과 대덕군(大德郡)으로 이관하고, 익구곡면의 도덕동을 편입하여 공암리(孔岩里)성강리(聖岡里) 등 16개 리를 관할하였다. 1973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도암리(道岩里), 성덕리(聖德里), 영곡리(靈谷里)를 연기군에 이관하였다. 1992년 행정구역 조정과 1995년 도·농 통합으로 공주시에 편입되었다. 2012년 7월 5개 법정리[성강, 봉암, 국곡, 원봉, 도남]가 세종특별자치시에 편입되었다.

[자연환경]

반포면 남부 지역은 계룡산 국립공원의 일부를 이루는 천황봉[827.8m], 수정봉[662.0m], 삼불봉(三佛峰)[777.1m], 황적봉[664.0m], 도덕봉(道德峰)[535.2m] 등이 높은 산지를 형성하고 있다. 서부 지역에는 우산봉(雨傘峰)[573.8m]·갑하산(甲下山)[469.0m] 등이, 동부 지역에는 국사봉(國賜峰)[392.0m]이 솟아 있다.

반포면 북동부와 중부, 남부의 중앙부를 용수천(龍水川)이 남북 방향으로 곡류하면서 연변에 충적 평야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용수천이 약 100~300m의 산지 사이를 흐르기 때문에 넓은 충적 평야를 형성하고 있지는 못하다.

남부 지역을 흐르는 용수천은 사기소천이라 불리기도 한다. 용수천에 합류되는 성강천(聖岡川), 송곡천(松谷川), 봉곡천(鳳谷川) 일대에 소규모의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북부 지역의 경계 지대에는 금강이 곡류하면서 지나고 있는데, 도남천(道南川)·마암천(馬岩川)·원봉천(元鳳川)과 합류하는 일대에도 소규모의 충적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 하천들은 해발 고도 약 20~60m에서 흐른다. 반포면 서부 지역에는 마암소류지가, 동부 지역에는 송곡소류지가, 중부 지역에는 용암저수지가, 남부 지역에는 가리울소류지가 있다.

[현황]

반포면은 공주시 남동부에 있는 행정면이다. 면적은 60.0㎢이며, 2024년 9월 30일 기준 총 2,119가구, 4,014명[남 2,106명, 여 1,908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총 경지 면적은 6㎢이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식량 작물·특용 작물 및 과채류가 재배되고 있으며, 가축이 사육되고 있다. 제조업은 발달이 미미하며, 서비스업은 면소재지의 가촌을 중심으로 발달해 있다. 또한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 그리고 계룡대학교가 자리한 계룡시와 인접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관광산업이 발달하였다. 최근에는 공주시 반포면 도남리에서 부여군 부여읍 구교리까지 약 44㎞를 대상으로 금강 옛 뱃길 복원 사업이 진행되고 있기도 하다. 또한 대도시와 인접한 산업 특성을 살려 타지역에 비해 많은 360여 개 사업체가 있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문화유산으로는 보물인 청량사지 오층석탑(淸凉寺址五層石塔)청량사지 칠층석탑(淸凉寺址七層石塔), 사적인 공주 학봉리 도요지,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인 공주상신리당간지주(公州上莘里幢竿支株) 등이 있다. 이밖에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는 숙모전(肅慕殿), 동학사 삼성각(東鶴寺三聖閣), 동학사 삼층석탑(東鶴寺三層石塔), 삼은각(三隱閣), 충현서원(忠賢書院)이 있고, 충청남도 기념물로는 계룡산 초혼각지(鷄龍山招魂閣址)충현서원유적(忠賢書院遺蹟)이 있다.

국도 32호선국도 1호선이 남서부에서 연결되고 있다. 국도 32호선은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지나가며, 북서쪽으로는 장기면 금암리에, 남동쪽으로는 대전광역시 서구와 연결된다. 국도 1호선은 남북 방향으로 지나가며, 남쪽으로는 계룡시 남선면에, 북쪽으로는 국도 32호선과 연결된다. 또한 지방도 691번이 북서부에서 남북 방향으로 지나가며, 남쪽으로는 계룡면 내흥리에, 북쪽으로는 시도 21번에 연결된다. 이외에도 시도 2번, 시도 21번, 시도 23번 등이 국도 및 지방도와 연결되어 있거나 국지적으로 개설되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12.16 [변천 및 형성] 내용 추가 및 [현황] 수정 1. 반포면의 일부 세종시에 편입된 내용 추가 2. 2014년 현황으로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