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539
한자 東鶴寺三層石塔
영어의미역 Three-Storied Stone Pagoda of Donghak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462[학봉리 789]
시대 고대/남북국 시대/통일 신라,고려/고려
집필자 이왕기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동학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동학사삼층석탑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동학사삼층석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성격 석탑
양식 삼층석탑
건립시기/연도 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
재질 석재
높이 185㎝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462[학봉리 789]지도보기
소유자 동학사
관리자 동학사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 동학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또는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삼층석탑.

[개설]

탑은 고대 인도 산스크리트어인 스투파(Stupa)를 한자로 음역하면서 솔도파(率堵波), 솔탑파(率塔婆)로 부르다가 탑파, 또는 탑이라는 줄임말로 부르게 되었다. 스투파의 원래 뜻은 부처의 진신사리를 봉안하는 묘에서 비롯되었다. 처음에는 사원의 중심에 탑 하나를 세워 불사리를 봉안하였으나 나중에는 탑을 두 개 세우기도 하고, 사원의 중심에서 벗어난 한적한 곳에 세우기도 하였다. 세월이 흐르면서 탑에 불사리만 봉안하는 것이 아니라 불상, 불경 등을 함께 봉안하기도 하였다.

[건립경위]

동학사삼층석탑은 원래 전각골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겨 세운 것이라 한다. 상세한 연혁은 알려지지 않았다.

[위치]

동학사 중심 건물인 대웅전 앞에 있다.

[형태]

동학사삼층석탑은 새로 만들어진 이중 기단 위에 3층으로 쌓아 올려 세운 탑으로, 3층의 옥신석은 근래 새롭게 조성하여 끼워 놓은 것으로 보인다. 3층 옥개석 상면으로는 통돌로 노반석과 복발이 놓여 있고, 그 위로 새롭게 만들어진 보주가 올려져 있다.지대석은 2매의 자연석으로 만들었고 면석을 세웠다. 면석 역시 2매로 만들었는데, 한쪽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으나 다른 한쪽에는 새겨지지 않았다.

옥신석과 옥개석은 초층, 삼층이 별석으로 만들어졌고, 2층은 통돌로 제작되었다. 그중 1층의 옥신 면석에는 자물쇠를 조각해 두었다. 각 층의 지붕은 하단부에 네 개의 층급을 만들어 몸체와 맞추었고, 추녀 끝은 상부를 약간 들어 올려 곡선을 이루게 했다. 추녀의 깊이가 다른 석탑에 비해 깊어 보인다.

[현황]

동학사삼층석탑은 동학사 대웅전 바로 앞에 세워진 삼층석탑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8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동학사삼층석탑은 일부 부재의 재질이 서로 달라 여러 시대에 걸쳐 세워진 것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