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558
한자 肅慕殿
영어음역 Sungmojeon
영어의미역 Ancestor's Shrin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462[학봉리 789]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정현정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숙모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숙모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숙모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성격 사우
양식 맞배지붕 초익공
건립시기/일시 1456년연표보기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2칸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동학사1로 462[학봉리 789]지도보기
소유자 사단법인 숙모회
관리자 사단법인 숙모회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 있는 조선 전기에 단종의 영혼과 세조에게 항거한 충신 열사의 혼을 모시기 위해 세워진 사우.

[위치]

공주에서 대전 방면으로 32번 도로를 따라가면 16㎞ 거리에 박정자 삼거리가 있다. 여기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약 4㎞를 가면 동학사가 있는데, 숙모전동학사의 동편에 자리하고 있다.

[변천]

숙모전은 조선 전기 억울하게 죽은 단종과 어린 왕에게 충성을 다한 사육신(死六臣), 계유정난으로 화를 입은 황보인, 김종서, 정분 등의 3정신, 금성대군을 비롯하여 김종서 등 신라, 고려, 조선의 충절인 280여 위를 배향하고 있는 사우이다. 숙모전은 1456년(세조 2)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죽은 사육신의 시신을 김시습이 혼자 수습하여 노량진에 몰래 장사지내고, 동학사로 돌아와 삼은각(三隱閣) 옆에 단을 쌓고 초혼제를 지낸 초혼단이 그 시초이다. 이듬해인 1457년(세조 3) 세조동학사에 들렀다가 초혼단을 보고 비단 여덟 폭에 사육신과 연좌된 이들의 이름을 적어 혼을 위로하였다.

1457년(세조 3) 단종이 17세의 나이로 강원도 영월에서 사망하였으며, 이듬해인 1458년(세조 4) 세조는 다시 동학사에 와서 단종과 안평대군, 금성대군 등의 종실, 황보인과 김종서, 정분 등의 재상, 병자원적(丙子寃籍) 가운데 누락된 자 등을 추가로 적은 초혼록을 내렸다. 이때 각을 지어 초혼각이라 하였고, 매년 유생과 승려들에게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

초혼단은 1728년(영조 4)의 무신란 때 신천영(申天永)이 초혼각동학사를 방화하여 폐허가 되었다. 1814년(순조 14) 승려 월인이 자금을 얻어 정각 한 채를 짓고 세조가 내린 초혼록을 보관하였지만 잇따른 화재로 다시 폐허가 되었다. 그 후 여러 번 중건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1827년(순조 27) 신하전(臣下殿)을 제외한 일각을 세우는 데 그치고 말았다.

1830년(순조 30)에 동학서원의 건립이 추진되었으며, 삼상(三相)·육신(六臣)과 삼은(三隱)·계림백(鷄林伯)을 제향하고 단종과 여러 절신의 위패를 따로 모셔 군신의 자리를 나누었다. 그러나 서원은 6년 후 훼철되었다. 1864년(고종 1) 동학사가 대대적으로 중건되면서 가람 40칸과 함께 초혼각 3칸이 마련되었다. 1904년(고종 41)에는 고종의 명령으로 초혼각숙모전(肅慕殿)이라 개칭하고 사액하였으며, 단종의 비 정순황후를 단종 위패에 합독(合櫝)하였다.

한편 일제 강점기인 1916년에 김복한(金福漢)·최영조(崔永祚)·송계헌(宋桂憲) 등이 주도하여 제수(祭需)와 중수비를 모으고 증축하였으며, 1921년에는 다시 두 배로 중건하여 정전 6칸, 동·서무 각 4칸이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동무에는 안평대군을 비롯한 47위, 서무에는 사육신을 비롯한 46위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숙모전에서는 매년 음력 3월 15일과 10월 24일 두 차례에 걸쳐 대제(大祭)를 지내고 있다.

숙모전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형태]

숙모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초익공 형식의 사당 건물이다. 저면은 띠살 사분각으로 배공시킬 수 있다. 숙모전 전정 동·서변에 늘어선 동·서무는 정면 6칸, 측면 1칸의 건물이며, 1883년(고종 20)에 충청좌도어사 우석에 의해 건립되어 군신을 나누어 봉사하게 하였다.

[의의와 평가]

신라, 고려, 조선 삼대의 충절인이 배향되어 있어 일반적인 서원 사우의 특징에서 벗어나 새로운 모습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유교와 불교가 한자리에 있는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