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세계대백제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31050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행사/행사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재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시작 시기/일시 2010년 - 2010 세계대백제전 개최
시작 시기/일시 2023년 - 2023 대백제전 개최
행사 장소 2010 세계대백제전 - 충청남도 공주시|충청남도 부여군
행사 장소 2023 대백제전 - 충청남도 공주시|충청남도 부여군
주관 단체 2010 세계대백제전|2023 대백제전 -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

[정의]

2010년과 2023년 충청남도의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열린 대규모 백제 문화제.

[개설]

세계대백제전 은 2010년과 2023년 두 차례에 걸쳐 공주와 부여에서 열린 대규모 백제문화제로, 충청남도의 공주시와 부여군이 주최하고 백제문화제추진위원회가 주관하였다. 2010 세계대백제전은 ‘1,400년 전 대백제의 부활’이란 주제로 2010년 9월 18일에서 10월 17일까지 30일간 열렸으며, 22개의 대형 프로그램과 70개의 시·군 지역에서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2023 대백제전은 ‘대백제 세계와 통하다’라는 주제로 2023년 9월 23일에서 10월 9일까지 총 17일간 열렸다. 공주시에서는 총 33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었으며, 대형 프로그램 5개를 선보였다.

[행사 내용]

2010 세계대백제전은 ‘1400년 전 대백제의 부활’이란 주제로 2010년 9월 18일에서 10월 17일까지 공주와 부여에서 한 달간 열렸다. 주최 측 집계에 따르면 30일간 369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였다. 백제문화제는 1955년 부여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1966년도부터 공주와 부여에서 동시에 개최되었다. 멸망의 나라로 각인되었던 백제의 역사를 바로잡고, 동아시아 교류를 주도한 찬란했던 백제의 문화를 널리 알리기 위해 28개국이 참여하여 성황리에 마무리하였다. 총예산은 240억 원이 투자되었으며, 2,399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내었다고 추정한다. 22개의 대형 프로그램과 70개의 시·군 프로그램이 선보였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금강 설화와 무령왕의 일대기를 소재로 한 ‘사마이야기’, 금동대향로 등 문화유산을 이미지한 수상 미디어 퍼포먼스 ‘사비미르’, ‘대백제기마군단 행렬’, ‘황산벌 전투 재현’ 등을 들 수 있다.

2023 대백제전은 ‘대백제 세계와 통하다’라는 주제로 2023년 9월 23일에서 10월 9일까지 총 17일간 열렸다. 찬란했던 백제 문화를 재조명하고, 백제 문화의 정체적 확립과 세계화를 위한 발걸음을 시작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8개국 563명의 해외 사절단이 방문하였으며, 총 323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였다. 공주에서는 181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였고, 무령왕 서거 1,50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를 기념하여 ‘무령왕의 길’이라는 무령왕 상장례 행렬을 새롭게 선보였다. 공주시에서는 총 33개 프로그램이 선보였으며, 대표 프로그램으로는 웅진 판타지아 ‘무령대왕’, 웅진성 퍼레이드 ‘백제흥(興)나라’, 수상 멀티미디어 쇼, 미디어 아트관 ‘THE door: 백제를 만나다’를 들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