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024
한자 武寧王妃金-
영어의미역 Two Pairs of Gold Earrings with Pendants for the Queen
이칭/별칭 무령왕비 금제수식부이식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웅진동 360]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서미영정재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4년 7월 9일연표보기 - 무령왕비 금귀걸이 국보 제15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무령왕비 금귀걸이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성격 귀걸이
제작시기/일시 백제시대
재질
높이 11.8㎝
너비 8.8㎝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웅진동 360]지도보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공주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의 귀고리.

[개설]

삼국시대의 장신구 문화를 이해하는 데 있어 귀걸이는 당시에 금속 공예가 발전했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세공품이다. 무령왕비의 금귀걸이는 널방 내 서쪽에 자리한 왕비의 머리 부근에서 한쌍으로 출토되었다. 1974년 7월 9일 국보 제157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형태]

무령왕비 금귀걸이[金製耳飾] 의 짧은 줄기인 중간식에는 네 개의 나뭇잎 모양의 달개가 세 마디 달렸고, 맨 위의 마디에는 금으로 만든 투작반구체 장식이 있다. 그 아래에는 투작금모가 씌워진 담녹색 유리옥이 있는데, 이는 백제의 특징적인 요소이다. 수하식은 두 개의 펜촉형 금판을 사익형으로 붙여 각 면마다 작은 나뭇잎형 달개를 달았다. 중간식 등 달개의 테두리는 누금 세공으로 장식하여 매우 화려하다. 긴 줄기의 수하식에는 탄환형이 달렸고, 중간식에도 네 개의 달개가 8마디로 연결되었다. 탄환형의 머리에는 누금 세공된 투작 반구체를 씌웠다. 탄환 모양의 끝장식은 길이 3.0㎝, 지금 0.9~1.0㎝의 크기로 단면 형태 반원의 금판을 서로 맞붙인 다음 접합 부위를 마연하여 마무리하였다.

[특징]

무령왕비 금귀걸이 는 세환식 원형 고리에 다시 한 개의 연결 고리를 걸어 각각 두 갈래 수식을 매달았다.

[의의와 평가]

삼국시대 귀걸이의 수하식은 일반적으로 심엽형이며, 무령왕비 금귀걸이처럼 탄환형인 것은 그 예가 매우 드물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