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020
한자 武寧王妃金-
영어의미역 Two Gold Necklaces for the Queen
이칭/별칭 무령왕비 금제경식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웅진동 360]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서미영정재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4년 7월 9일연표보기 - 무령왕비 금목걸이 국보 제15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무령왕비 금목걸이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성격 목걸이
제작시기/일시 백제시대
재질
길이 5.2㎝~7㎝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웅진동 360]지도보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공주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백제시대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의 경식(頸飾).

[개설]

삼국시대의 목걸이[頸飾]는 대체로 옥으로 제작되었으나 금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고, 세 나라마다 독특한 제작 기법을 지녔다. 무령왕비 금목걸이는 1974년 7월 9일 국보 제158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형태]

무령왕비 금목걸이 는 전체 지름 12.5~16.5㎝ 두께 0.3~0.5㎝이다. 목걸이는 중간이 굵고 양 끝이 가는 금봉 일곱 마디를 서로 연결한 것으로, 각 마디의 길이는 5.4~6.9㎝ 정도이다.

[특징]

무령왕비 금목걸이 의 금봉은 모두 양끝이 가늘고 중간 부분이 약간 굵으며 단면은 팔각이다. 금봉 끝은 가늘고 둥글게 고리를 만들었고, 그 끝을 다시 금봉에 금제 철사를 감아 올린 후에 고리와 고리를 연결하였다. 금제경식(왕비)의 연결부 조그만 고리를 이용하여 목에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착용했을 때의 모습은 작은 고리가 목덜미 부분에 가 있고, 가운데 금봉은 가슴 아래 중앙에 있다.

[의의와 평가]

무령왕비 금목걸이 의 모양은 단순하지만, 미적 감각이 매우 뛰어난 작품이며, 금속 제작 기술의 극치를 보여 준 걸작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