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경기도 양주에서 개장하여 지금까지 열리는 5일장. 가업리(加業里), 가납리(加納里), 추교리(楸橋里)는 모두 ‘가래비’라는 우리말을 한자로 바꾼 것이다. 가래비는 ‘갈’에서 왔고, 이는 ‘갈림길’, ‘길이 갈라지는 곳’, ‘길이 나누어 두 갈래 길로 바뀌는 곳’, ‘삼거리’라는 뜻을 지닌다. 실제로 가래비는 양주 유양리 관아 거리에서 감악산 지역을 거쳐 파주로 나가는 길...
-
조선 후기 경기도 양주목 광석면[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던 다리. 가업교라는 명칭은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처음 등장한다. 가업교는 가래나무[추자목(楸子木)]가 많은 마을에서 그 나무를 이용해 만든 다리로 추측된다. 조선 후기에 가래비 혹은 가라비(加羅非)는 백석면[현 백석읍 가업리] 쪽에도 있었지만 『1872년 지방지도』 등에 등장하는 가라비는 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경모사(景慕祠)에 걸려 있는 어필(御筆) 현판. 고금동충 현액(古今同忠懸額)은 영조가 신도공(信度公) 신수근(愼守勤)[1450~1506]의 충절을 기려 1775년(영조 51) 8월 24일 후손에게 내린 어필 현판이다. 신수근은 연산군의 처남이며 중종의 장인이다. 박원종(朴元宗)[1467~1510] 등이 연산군을 폐하고 진성대군[훗날의 중종]을 추대하려...
-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무신. 고언백(高彦伯)[?~1608]은 강화도 교동의 향리 출신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군관(軍官), 변장(邊將)을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영원군수(寧遠郡守)로서 대동강 등지에서 왜군과 싸웠으나 패하였다. 하지만 계속 분전하여 그해 9월 산간으로 왜군을 유인하여 62명의 목을 베는 전과를 올렸다. 이듬해 양주에서 전투에...
-
경기도 양주 지역이 나타나 있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지도. 고지도란 통상 근대적 지도 제작 기술이 도입되기 이전에 만들어진 지도를 일컫는다. 현재 한국에 남아 있는 고지도는 조선 시대의 것으로 그 이전 것은 기록으로 확인되고 있다. 조선 시대에 양주의 영역은 오늘날 남양주시, 구리시, 의정부시, 동두천시, 연천군 전곡읍·청산면 일대에까지 걸쳐 있었기 때문에 당시 그려진 양주 지도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응정(應貞). 할아버지는 도승지를 지냈고 우의정에 추증된 권희(權憘),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권익중(權益中)이다. 어머니는 한양 조씨로 현감 조서(趙瑞)의 딸이다. 부인은 선조의 10녀인 정화옹주(貞和翁主)이다. 동생은 현령(縣令) 권대유(權大有)이다. 자녀가 없어 조카 권덕휘(權德輝)를 후사로 삼았다....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명장 권율(權慄)의 묘소. 권율[1537~1599]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언신(彦愼), 호는 만취당(晩翠堂)·모악(暮嶽)이다. 아버지는 권철(權轍)이다. 1582년(선조 15) 문과에 급제하였고, 임진왜란 시 행주대첩의 공으로 도원수에 올랐다.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 1등 영가부원군에 추봉되었으며, 시호는 충장(忠莊)...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에 있는 충신 권절(權節)의 조선 후기 정려(旌閭). 정려란 전통 시대에 국가가 충신·열녀·효자의 행실을 널리 알릴 목적으로 해당 인물이 살던 마을 입구 또는 집 앞에 세워 준 문(門)을 가리킨다. 정문(旌門)·정려문(旌閭門)·홍살문이라고도 한다. 권절[1422~1494]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서조(瑞操), 호는 율정(栗亭)이다. 수양대군(首陽大君...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정자. 금화정(金華亭)은 양주시 유양동 양주 관아지(楊洲官衙址)[경기도 기념물 제167호]의 동쪽, 불곡산 남쪽 기슭에 있었던 정자이다. 금화정의 ‘금(金)’은 양주목(楊州牧)의 단합(團合)을 뜻하고, ‘화(華)’는 아름다운 백성의 뜻을 잘 수렴(收斂)한다는 의미로, 곧 번업(繁業)을 가져올 수 있는 의미를 지닌 정자이다. 금화정은 또한 양...
-
조선 후기 경기도 양주 출신으로 추정되는 방랑 시인. 김병연(金炳淵)은 본관은 안동. 자는 난고(蘭皐), 별호는 김삿갓 또는 김립(金笠). 할아버지는 선천 부사 김익순(金益淳)이고, 아버지는 김안근(金安根)이다. 어머니는 함평 이씨다. 형은 김병하(金炳河)이다. 아들은 김학균(金學均)과 김익균(金翼均)이다. 맏아들 김학균은 동생 집에 양자로 보냈다. 김병연의 출생지에 대한 학설은...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에 있는 조선 후기 방랑 시인인 김삿갓의 생가로 추정되는 터. 김삿갓[김병연(金炳淵)[1807~1863]]의 시(詩) 「난고평생시(蘭皐平生詩)」 18수 중 4수 부분을 보면 “어린 시절엔 스스로 자랑했었네, 즐거운 땅 얻어 태어났다고/ 한북이 바로 내가 나서 자란 고향임을 내 아노니[初年自謂得樂地漢北知吾生長鄕]”라는 시구절이 나오는데, 여기서 한수 이북에 김삿갓...
-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이신(爾愼). 고조할아버지는 영돈령부사(領敦寧府事) 김우명(金佑明)이고, 할아버지는 진사 김도영(金道泳)이며, 아버지는 병조판서 김성응(金聖應)이다. 어머니는 홍우녕(洪禹寧)의 딸이다. 김성집(金聖集)에게 입양되었다. 딸은 정조의 비인 효의왕후(孝懿王后)이다. 김시묵(金時默)[1722~1772]은 1750년(영조 26...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 자는 계경(溪卿), 호는 의석(宜石). 증조할아버지는 승지를 지냈고 좌찬성에 증직된 김제겸(金濟謙)이고, 할아버지는 목사를 지냈고 좌찬성에 증직된 김이경(金履慶)이며, 아버지는 이조 참판을 역임한 후 영의정에 증직된 김명순(金明淳)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 평산 신씨(平山申氏)로 첨정을 지내고 좌찬성에 증직된 신광온(申光...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하패리에 있는 이성계(李成桂)의 딸인 숙신옹주(淑愼翁主)와 사위 홍해(洪海)의 조선 후기 사당. 숙신옹주는 조선 제1대 국왕인 태조 이성계와 후궁 김씨(金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1401년(태종 1) 태조가 옹주에게 택지와 집을 주어 자손이 거주할 수 있게 한 문서인 숙신옹주대사급성문(淑愼翁主家垈賜給成文)이 현존한다. 숙신옹주의 남편인 홍해의 봉호는 당성위(唐...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운경(雲卿), 호는 호곡(壺谷). 아버지는 부사 남득명(南得明)이다. 남용익(南龍翼)[1628~1692]은 1646년(인조 24) 진사가 되었고,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시강원 설서, 성균관 전적, 삼사를 지냈고, 병조좌랑과 홍문관 부수찬 등 중앙의 요직을 거쳐 경상 도사로 나갔다. 1655년(효종 6...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천주교 순교자.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증오(曾五), 호는 연파(煙波) 또는 중재(重齋). 세례명은 요한. 증조할아버지는 남규로(南奎老), 할아버지는 남이우(南履佑), 아버지는 충주부사를 지낸 천주교 순교자 남상교(南尙敎)이다. 친아버지는 남탄교(南坦敎)로, 어려서 큰아버지에게 입양되었다. 첫째 부인은 신행권(申行權)의 딸이고, 둘째 부...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도끼의 누이가 부르는 의식요. 「넋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8과장 신할아비와 미얄할미 마당에 나오는 느린 굿거리장단의 타령으로 도끼의 누이가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7쪽에 실려 있다. 「넋타령」은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노고산에 있는 조선 후기 명필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암각문. 추사 김정희[1786~1856]가 언제 써 놓았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추사’라는 호가 새겨져 있어 김정희의 글씨임을 알 수 있다. 노고산 독재동 추사 필적 암각문(老姑山篤才洞秋史筆蹟岩刻文)은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마을 회관 맞은편 노고산으로 향하는 등산로를 따라 2㎞가량 올...
-
조선 후기 경기도 양주의 누원점(樓院店)에서 활약한 사상인(私商人). 양주의 누원점은 함경도로부터 한양으로 올라오는 모든 물산의 집산지였으며, 18세기 이후 한성부의 시전 상인을 위협하는 유통의 거점이었다. 동북 지방에서 생산되는 북어(北魚)·마포(麻布)와 삼남 지방에서 생산되는 면포(綿布) 등이 누원점에서 활발하게 교환되면서 누원점의 상인은 막대한 부를 축적할 수 있었다. 조선...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취발이가 부르는 의식요. 「둥둥 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6과장 노장의 제3경 취발이놀이에 나오는 느린 굿거리장단의 타령으로 취발이가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3쪽에 실려 있다. 「둥둥 타령」은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먹중이 부르는 의식요. 「등장가」는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5과장 팔먹중의 제3경 애사당법고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먹중이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9쪽에 실려 있다. 「등장가」는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와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취지(就之). 좌의정 여흥부원군(驪興府院君) 문도(文度) 민제(閔霽)의 8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민응정(閔應禎)이며 할아버지는 민협무(閔協武)이고, 아버지는 훈련원 부정을 지냈고 참판에 추증된 민종의(閔宗義)다. 어머니는 정부인 청풍 김씨(淸風金氏)로 좌랑 김려(金膂)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덕수...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 자는 노직(魯直), 호는 대호(大瓠). 할아버지는 진주 목사를 지낸 박율(朴栗)이고, 아버지는 임진왜란 때 순찰사 종사관과 호조 참판을 역임한 박이서(朴彛敍)이다. 아들은 박수현(朴守玄)이다. 박노(朴𥶇)[1584~1643]는 1609년(광해군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 자는 태현(太玄), 자호(自號)는 초정(草亭). 증조할아버지는 장령 지제교를 지냈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박율(朴栗)이며 할아버지는 이조 참판 역임 후 판서에 추증된 박이서(朴彛叙)이고, 아버지는 병조 참판 박노(朴 竹+魯)이다. 어머니는 정부인 안동 권씨로 재령 군수를 지낸 권엽(權曄)의 딸이다. 부인은 의령 남씨(宜寧南...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자수(子粹). 고조할아버지는 사헌부 장령으로 이조판서에 추증된 박율(朴栗), 증조할아버지는 산음 현감(山陰縣監) 박천서(朴天叙), 할아버지는 우통례로 좌승지에 추증된 박심(朴 竹+尋), 아버지는 사헌부 장령으로 이조 참판에 추증된 박수문(朴守文)이다. 큰할아버지는 절사신 교리(節死臣校理) 박호(朴箎...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초명은 문서(文叙), 자는 서오(叙吾), 호는 필천(泌川)·동고(東皐). 고조할아버지는 부사직을 역임한 박시림(朴時霖),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으로 통례원 좌통례에 증직된 박환(朴渙), 할아버지는 활인서 별제를 지냈고 승정원 좌승지에 증직된 박덕로(朴德老)이며, 아버지는 사헌부 장령을 지냈고 이조 참판으로...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본관은 비안(比安). 자는 자첨(子瞻), 호는 귀전(歸田). 할아버지는 선교랑(宣敎郞) 박계인(朴繼仁)이고, 아버지는 삭주부사(朔州府使)를 역임한 박희성(朴希聖)이다. 어머니는 전주 이씨로 청계군(淸溪君) 이채(李彩)의 딸이다. 박준(朴峻)[1559~1625]은 임진왜란 때 학질을 앓는 계모 민씨를 업고 피난하느라 처자를 돌보지 못하...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완보와 먹중들이 부르는 의식요. 「백구 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5과장 팔먹중의 제1경 염불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완보와 먹중들이 함께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3쪽에 실려 있다. 「백구 타령」은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경윤(景尹). 고조할아버지는 호조 참판에 추증된 백사밀(白師謐), 증조할아버지는 내승무과에 추천되어 경상 수군절도사를 지낸 백동의(白東毅)로, 도암(陶菴) 이재(李縡)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할아버지는 승정원 좌승지에 추증된 백윤진(白崙鎭), 아버지는 영종 방어사와 가선대부를 지내고 병조 참판에 추증된 백형...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광석리 부여 서씨 일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고전적 및 고문서. 부여 서씨 일가 소장 자료의 소장자는 부여 서씨 29세손이자 정의공파(貞毅公派) 12세 종손인 서형관(徐炯寬)으로, 현재 고전적 8건, 고문서 38건 등을 소장하고 있다. 부여 서씨 17세손으로 정의공파의 파조(派祖)였던 육곡(六谷) 서필원(徐必遠)[1614~1671]과 그의 아들 서경조...
-
조선 시대 경기도 양주목에 설치되었던 행정 구역. 1397년(태조 6) 양주부(楊州府)의 치소를 동촌(東村) 대동리(大洞里)에서 지금의 양주시 고읍동[고려시대 견주(見州)의 옛터]로 옮기면서 주내(州內)라 불리게 되었다. 1506년(중종 1) 읍치를 다시 지금의 양주시 유양동으로 이전하면서 주내는 조선 전기 양주목의 읍치가 있었다는 뜻에서 고주내면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그런데...
-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나무·돌·쇠·흙 따위로 부처의 형상을 표현한 상. 양주 지역에는 회암사·석굴암·백화암과 같은 전통 사찰 3개소가 있으며, 회암사와 석굴암에 최근 경기도 문화재로 지정된 불상이 여러 점 있다. 회암사에는 경기도 유형 문화재 제206호인 양주 회암사 목조여래좌상이 조사전에 모셔져 있고, 석굴암에는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161호인 양주 석굴암 석조불좌상이 대웅전에,...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 증조할아버지는 서종옥(徐宗玉)이고 할아버지는 대제학을 지내고 『고사신서(攷事新書)』를 쓴 서명응(徐命膺)이며, 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내고 『해동농서(海東農書)』를 쓴 서호수(徐浩修)이다. 외할아버지는 김덕균(金德均)이다. 부인은 송익상(宋翼庠)의 딸이다. 형은 서유본(徐有本)...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부여. 자는 재이(載邇), 호는 육곡(六谷). 증조할아버지는 서익(徐益)이고, 할아버지는 서용갑(徐龍甲)이며, 아버지는 서운기(徐雲驥)이다. 어머니는 전주 이씨로 현감을 지낸 이택민(李澤民)의 딸이다. 부인도 전주 이씨로, 이성간(李成幹)의 딸이다. 아들은 목사 서경조(徐敬祖)이고 딸은 박태만(朴泰萬)에게 출가하였다. 동생은...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석굴암(石窟庵)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 나한상. 양주 석굴암 석조나한상(楊州石窟庵石造羅漢像)은 석굴암 나한전 중앙 수미단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불상이다. 『봉선사본말사지(奉先寺本末寺誌)』 고적편[1873]에 한봉창엽(漢峰瑲曄)과 금곡영환(金谷永煥)이 제작하였다고 언급되어 있다. 높이 60㎝의 나한상이다. 자세는 오른발을 왼쪽 무릎 위로 올린 길...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암각문.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개울가에 여러 바위에 ‘문장동천(文章洞天)’을 비롯한 다양한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이것이 석현리 암각문(石峴里岩刻文)이다. 원래 동천(洞天)이란 명산(名山)으로 들어가는 입구를 가리키는 말로, 문장동천은 문장동으로 들어가는 입구라는 뜻이다. ‘옥순암(玉筍岩)’·‘분설담(噴雪潭)’·‘관서암(觀書岩)’·‘...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유생.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여삼(汝三). 정순옹주(貞順翁主)와 혼인한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의 후손으로, 고조할아버지는 봉사 송유의(宋惟毅),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송해(宋垓), 할아버지는 찰방 송영업(宋榮業)이며,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송화(宋璍)이다. 생부는 송전(宋瑼)으로, 첨지 이침(李沉)의 딸인 함평 이씨와의 사이에서...
-
경기도 양주시의 수원 백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와 고서. 수원 백씨 일가 소장 자료는 유서(諭書)·교지(敎旨)·전령(傳令) 등의 고문서와 고서로, 백유함(白惟咸)·백선민(白善民)·백시방(白時昉)·백시구(白時耈)·백원진·백이규·백흥수(白興洙)·백윤기(白胤基)에게 발급된 교지 88건과 백동준(白東俊)에게 발급된 유서 4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지는 국왕이 신하에게 관직·작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에 있던 조선 후기 숙빈 최씨(淑嬪崔氏)의 묘비와 명문. 숙빈 최씨 묘표(淑嬪崔氏墓表)는 영조의 생모이자 숙종의 후궁인 숙빈 최씨[1670~1718]의 묘소를 나타내기 위해 세운 비석과 명문이다. 숙빈 최씨의 묘소는 처음에는 숙빈 묘라 하였다가 1753년(영조 29)에 묘호를 소령원(昭寧園)으로 격상시켰으며, 묘비는 영조가 친히 썼다고 한다. 1718년(숙종 4...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신할아비가 부르는 의식요. 「시조」는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8과장 신할아비와 미얄할미에 나오는 장단 없는 타령이다. 신할아비가 부르는 소리인데, 신할아비는 나이가 많고 늙은 서민의 한 사람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4~16쪽에 실려 있다. 「시조」는...
-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호중(浩仲), 호는 이지(二知). 증조할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신석정(申碩丁), 할아버지는 서윤(庶尹) 신단(申湍), 아버지는 승지 신경락(申景洛)이다. 어머니는 파평 윤씨로 윤기묘(尹起畝)의 딸이다. 영원군(靈原君) 신경식(申景植)에게 입양되었다. 부인은 유대일(兪大逸)의 딸이다. 형은 신육(申淯)이다. 신속(申洬)[...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팔먹중이 부르는 의식요. 「야할 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6과장 노장의 제1경 파계승놀이에 나오는 느린 굿거리장단의 타령으로 팔먹중들이 노장을 파계시킬 때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1쪽에 실려 있다. 「야할 타령」은 당시 양주별산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고조할아버지는 양점준(梁點俊), 증조할아버지는 양두견(梁斗堅), 할아버지는 통훈대부 장악원 정에 추증된 양일제(梁逸濟), 아버지는 통정대부 호조 참의에 추증된 양득린(梁得麟)이다. 어머니는 숙부인 기린 박씨(麒麟朴氏)로 첨추(僉樞) 박정래(朴鼎來)의 딸이다. 부인은 정부인 동복 오씨(同福吳氏)이다. 아들은 경상...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하리 석굴암(石窟庵)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 지장보살 좌상. 양주 석굴암 석조지장보살좌상(楊州石窟庵石造地藏菩薩坐像)은 양주시 오봉산의 석굴암 내 삼성각에 봉안되어 있는 불상으로, 조선 후기에 제작되었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2011년 3월 8일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162호로 지정되었다. 소유자 및 관리자는 석굴암이다. 높이 48㎝의 보살상이다. 상체를...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석굴암(石窟庵)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 불좌상. 양주 석굴암 석조불좌상(楊州石窟庵石造佛坐像)은 석굴암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본존불로, 조선 후기에 조성된 소형 불상이다. 불상의 신체 비례와 대의(大衣) 처리 등에 시대적인 양식이 반영되어 18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1년 3월 8일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161호로 지정되었다. 소유자 및...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있는 조선 후기 단경왕후 신씨(端敬王后愼氏)의 능묘. 양주 온릉(楊州溫陵)은 조선 제11대 임금인 중종의 첫 번째 부인이자 원비인 단경왕후 신씨[1487~1557]의 능이다. 단경왕후 신씨의 본관은 거창(居昌)이고, 아버지는 익창부원군(益昌府院君) 신수근(愼守勤)이다. 1499년(연산군 5) 중종이 진성대군(晉城大君)으로 있을 때 혼인하여 부부인(府夫...
-
조선 후기에 편찬된 경기도 양주의 세족 가문인 양주 조씨(楊州趙氏) 문중의 족보. 『양주조씨 세계록(楊州趙氏世系錄)』은 족보의 분류상 자기 집안의 직계를 기록한 가승(家乘) 혹은 가첩(家牒)에 해당된다. 1세 조언세(趙彦世)부터 11세 조경장(趙敬長)까지 대수(代數)와 해당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19세기 중반 조경장 등 양주 조씨 후손들이 자신들의 직계 선조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
-
조선 후기에 편찬된 경기도 양주의 세족 가문인 양주 조씨(楊州趙氏) 조제만(趙濟晩) 가의 족보. 『양주조씨 소보(楊州趙氏小譜)』는 족보의 분류상 자기 집안의 직계를 기록한 가승(家乘) 혹은 가첩(家牒)에 해당된다. 19세기 중반 양주 조씨 조제만 가에서 자신들의 직계 선조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기 위해 『양주조씨 소보』를 제작하였다. 편찬 주체는 조제만의 자손들로 추정된다. 즉 조제...
-
1743년에 간행된 경기도 양주의 세족 가문인 양주 조씨(楊州趙氏) 문중의 족보. 『양주조씨 족보(楊州趙氏族譜)』는 양주 조씨 조갑빈(趙甲彬) 문중에서 자신들의 직계 선조를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기 위해 제작하였다. 원래 1721년(경종 1) 조태만(趙泰萬)이 초고를 완성하여 그의 아우인 조태억(趙泰億)이 경상감사로 재직할 때 간행하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1727년(영조 3)...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회암사(檜巖寺)에 있는 조선 후기 목조 여래 좌상 및 복장물. 불상은 복장물을 통해 1755년(영조 31) 창평 용흥사(龍興寺)에 봉안하기 위해 승려 상정 등이 제작한 것임을 알 수 있으며, 현재 회암사 조사전에 봉안되어 있으나 옮겨진 시기는 알 수 없다. 2007년 9월 3일 경기도 유형 문화재 제206호로 지정되었다. 소유자 및 관리자는 회암사이다. 양주...
-
1816년 경기도 양주목에 있던 명선공주방(明善公主房) 소유의 토지를 다시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1683년(숙종 9) 명선공주방에서 경기도 양주목 고양주면(古楊州面) 항동리(項洞里)[지금의 양주시 은현면 도하리] 및 자마장리(雌馬場里)의 토지를 매입했는데, 1816년(순조 16) 이 토지를 왕실 재산을 관리하던 내수사(內需司)에 이관시키게 되었다. 「양주목 고양주면 소재 명선공...
-
1857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지방관 사망 시 제공되는 인력과 운송 수단에 관한 내용을 기록한 책. 「양주목 과경 상행 담군 가우 대전 마련 절목(楊州牧過境喪行擔軍駕牛代錢磨鍊節目)」은 1857년(철종 8) 12월 경기도 양주목에서 지방관인 감사·군수·찰방 등이 사망했을 때 제공되는 상담군(喪擔軍)[상여를 옮길 인력꾼] 및 상가우(喪駕牛)[상례 때 사용되는 우마차]의 준비 비용에 대해...
-
1671년 경기도 양주목에 있는 독안산(禿案山)에 외부인이 묘를 조성한 사실을 조사해 기록한 책. 「양주목 명선공주방 독안산 시장 절수 내 투장 허적간 성책(楊州牧明善公主房禿案山柴場折受內偸葬虛摘奸成冊)」은 1671년(현종 12) 5월 명선공주방(明善公主房) 소유의 독안산에 외부인이 몰래 묘를 조성한 일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기록한 책이다. 왕실 소유의 토지에 일반인이 불법적으로 묘를...
-
1683년 경기도 양주목에 있는 명선공주방(明善公主房) 소유의 토지를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명선공주방 매득 전답 타량 성책(楊州牧明善公主房買得田沓打量成冊)」은 1683년(숙종 9) 5월 경기도 양주목 남면[지금의 양주시 은현면]에 있는 명선공주방 소유의 토지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규 18756]. 필사본 1책[4장...
-
1725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숙빈방(淑嬪房) 소유의 향탄산(香炭山)을 다시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숙빈방 계하 향탄산 절수 개타량 정계 어람 성책(楊州牧淑嬪房啓下香炭山折受改打量定界御覽成冊)」은 1725년(영조 1) 11월 양주목에서 숙빈방 및 육상궁 소유의 토지 현황을 상세히 파악하여 영조에게 보고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이 책에는 백석면(白石面) 및 현내(縣內)에 있...
-
1678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동목(同牧)에 있는 어의궁(於義宮) 소속의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어의궁 위전답 타량 성책(楊州牧於義宮位田沓打量成冊)」은 1678년(숙종 4) 양주목에서 어의궁 소속의 위전(位田)과 위답(位畓)의 규모와 토질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어의궁은 효종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이다. 인조의 계비(繼妃)인 장렬왕후(莊烈王后)...
-
1719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연잉군방(延礽君房)이 새로 구매한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연잉군방 매득 전답 타량 성책(楊州牧延礽君房買得田沓打量成冊)」은 1719년(숙종 45) 12월 연잉군방에서 양주목 백석곶면 우장리, 광석면 삼고개(三古介)[지금의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 일대에 구매한 전답의 규모와 토질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연잉군[1694~1776]은...
-
1725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창의궁방(彰義宮房)이 새로 구매한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창의궁 매득 전답 타량 어람 성책(楊州牧彰義宮買得田沓打量御覽成冊)」은 1725년(영조 1) 3월 양주목에서 창의궁방이 새로 구매한 경기도 양주목 백석면 소재의 전답 9필지를 측량한 뒤 만든 책이다. 창의궁(彰義宮)은 조선 제21대 국왕인 영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거주했던 집이다...
-
1727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동목(同牧)에 있는 어의궁(於義宮)의 율원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목 풍양 접동면 구궐기지 어의궁 율원 타량 어람 성책(楊州牧豊壤接洞面舊闕基址於義宮栗園打量御覽成冊)」은 1727년(영조 3) 초 양주목에서 동목에 있는 어의궁 소유 율원의 규모를 정확히 측량해 영조에게 보고하기 위해 작성한 것이다. 어의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에 있던 궁궐로...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탈놀이. 양주별산대놀이는 서울과 중부 지방에 전승되어 온 산대놀이의 한 분파이다. 양주별산대는 200여 년 전에 양주 사람 이을축(李乙丑)이 서울 사직골 딱딱이패들에게 배워 양주에 정착시킨 것이다. 이을축은 양주 최초의 가면 제작가였다. 그는 양주별산대놀이를 주로 사월 초파일, 단오, 추석 때에 연희하였고, 그밖에 가뭄 때의 기우제(祈雨祭)...
-
1724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용동궁(龍洞宮)이 구입한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양주지 동십리 돌곶지 천장동 복재 용동궁 매득 전답 어람 성책(楊州地東十里乭串地天藏洞伏在龍洞宮買得田沓御覽成冊)」은 1724년(경종 4) 1월 양주목에서 용동궁이 구입한 동목(同牧) 동십리 돌곶지 천장동 산척주회팔리(山脊周回八里) 도국(都局) 내에 있는 전답을 측량한 후 국왕의 열람을 목적으로 작...
-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사적비. 조선 제22대 임금 정조가 양주 관아(楊洲官衙)에 행차하여 활을 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1792년(정조 16)에 세운 사적비이다. 1792년 9월 정조가 광릉(光陵)[세조의 능]에 행차할 때 폭우로 다리가 무너져 동쪽 길을 버리고 북쪽 길을 택하였는데, 행차 후 돌아오는 길에 양주 관아에서 3일간 민정을 살피고 사대(射臺)에서 활...
-
1792년 정조가 경기도 양주와 포천의 백성들에게 특혜를 제공할 목적으로 직접 발급한 문서. 「어제유 양주 포천 부노민인등 서(御製諭楊州抱川父老民人等書)」는 1792년(정조 16) 9월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세조의 능인 광릉(光陵)에 행차한 뒤 인근 양주·포천의 노인들을 불러 그들의 어려움을 경청한 후 각종 혜택을 제공할 목적으로 이 지역 백성 및 관리들에게 내린 윤음(綸音)이...
-
경기도 양주시에 정려문이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 여영원(呂榮元)[1595~1627]은 인조[재위 1623~1649] 때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 첨정(訓鍊院僉正)이 되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 후금(後金)이 쳐들어오자 벽동진 병마절도사에 임명되어 압록강 변의 요충지인 벽동(碧潼)의 수비를 맡았다. 후금의 병사들과 싸움이 벌어졌을 때 변변한 군사도 없이 수백 명의 관졸...
-
경기도 양주시 봉양동에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인 여영원(呂榮元)의 정려(旌閭). 여영원[1595~1627]의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화백(華伯), 시호는 양장(讓壯)이다. 1617년(광해군 9) 무과에 급제하고 훈련원첨정 등을 지냈다. 1627년 정묘호란에 참전하였으나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고심하다가 자결하였다. 여영원 정려(呂榮元旌閭)는 양주시 평화로 1970번길 75...
-
1765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연희궁(延禧宮) 묘소 주변 등의 전답을 추가 매입해 측량한 뒤 만든 토지 대장. 「연희궁 묘소외 청룡 백호 식목처 추입 전답 타량 성책(延禧宮墓所外靑龍白虎植木處追入田沓打量成冊)」은 1765년(영조 41) 3월 양주목에서 연희궁 묘소의 내청룡(內靑龍) 근처의 전답 및 외청룡(外靑龍)·백호(白虎)의 나무 심는 곳을 단장하기 위해 추가 매입한 전답 현황을 상...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먹중이 부르는 의식요. 「염불 덕담」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5과장 팔먹중의 제1경 염불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먹중이 부르는 소리이다. 여기서 팔먹중은 완보, 옴중, 원먹중, 둘째상좌 등 4명과 가먹중 4명을 합한 8명의 먹중을 가리킨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완보(完甫)가 부르는 의식요. 「염불 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5과장 팔먹중의 제1경 염불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완보가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중허튼 타령」이라고도 한다. 완보는 양주별산대놀이 제5과장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하나로, 붉은 바탕의 탈에 갓을 쓰고 꽹과리를 든 팔먹중 가운데 어른 중이...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해주. 자는 대이(大而). 5대조는 무과에 장원 급제하여 경상우도 병마절도사를 지낸 오정방(吳定邦)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을 지낸 오핵(吳翮), 할아버지는 병조좌랑을 지냈고 승정원 좌승지에 추증된 오두룡(吳斗龍)이며, 아버지는 사헌부 대사헌에 추증된 오창주(吳昌周)이다. 어머니는 정부인 함...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옥구. 자는 백훈(伯訓). 증조할아버지는 첨지중추를 지낸 오임민(吳任敏)이고, 할아버지는 동지중추를 지낸 오효선(吳孝善)이며, 아버지는 동지중추를 지낸 오계한(吳季翰)이다. 어머니는 정부인 장씨로 장효원(張孝元)의 딸이다. 부인 여산 송씨(礪山宋氏)[1723~1801]는 가의대부 송태만(宋泰萬)의 딸이다. 아들은 동지 오도은(...
-
경기도 양주에 살았던 조선 후기의 효자.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장우(將于)이다. 유관(柳祼)[1641~1693]은 총명하여 문장을 잘 지었으나 과거 시험에 번번이 떨어져 마침내 출세를 포기하였다.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늘 공경하고, 가까이서 보살폈다. 부모를 즐겁게 해 주려고 나이 오십 세에 어린아이 옷을 입고 재롱을 떨기도 하였다. 조상의 묘소도 정성껏 관리하였다....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흥. 자는 무숙(武叔). 고려 때 시중을 지낸 유탁(柳濯)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사간 유충관(柳忠寬)이고, 할아버지는 주부 유탱(柳樘)이며 아버지는 선공감 감역 유몽사(柳夢獅)이다. 어머니는 이언순(李彦諄)의 딸이다. 부인은 한극겸(韓克謙)의 딸로, 임진왜란 때 피란을 다니다가 멀리서 왜군을 보고 스스로 목을...
-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전보(展甫), 호는 지수재(知守齋). 증조할아버지는 강원도 관찰사 유성증(兪省曾)이고, 할아버지는 대사헌 유철(兪㯙)이며, 아버지는 목사 유명악(兪命岳)이다. 어머니는 이두악(李斗岳)의 딸이다. 부인은 평산 신씨다. 아들은 유언흠(兪彦欽), 유언현(兪彦鉉), 유언전(兪彦銓), 유언수(兪彦銖)이다. 유척기(兪拓基)[16...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천수(天授). 아버지는 윤종복(尹宗福)이다. 큰아들은 동지중추부사 윤택(尹澤)이다. 윤수열(尹受說)[1602~1666]은 12세에 아버지가 죽어 성심껏 장례를 치렀다. 1639년(인조 17)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문과에는 탈락하였다. 부친을 여읜 후 출세의 꿈을 접고 과거에 응시하지 않았다. 하지만 선비로서...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지중(止中), 호는 월담(月潭). 초명은 윤의립(尹義立). 인조반정 이후 윤의립(尹毅立)으로 이름을 바꾼 듯하다. 증조할아버지는 별제 윤정림(尹廷霖)이고, 할아버지는 윤희렴(尹希廉)이며, 아버지는 공조 판서 윤국형(尹國馨)이다. 어머니는 조수(趙琇)의 딸이다. 동생 윤정립(尹貞立)[1571~1627]은 선비 화가로, 그...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천수(天授). 종조(從祖)가 윤득열(尹得說)이고, 할아버지는 윤종복(尹宗福)이며, 아버지는 윤수열(尹受說)이다. 부인은 안영달(安穎達)의 딸이다. 아들은 판서를 지낸 윤헌주(尹憲柱)이다. 윤택(尹澤)[1630~1726]은 일찍이 효행과 덕행으로 명성이 높았다. 평생 학업에 힘썼으나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고 만...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사선(士先). 증조할아버지는 황해도 관찰사 이억손(李億孫), 할아버지는 형조좌랑 이유정(李惟貞), 아버지는 영의정에 증직된 전성군(全城君) 이준(李準)이다. 어머니는 여산 송씨(礪山宋氏)로 절도사 송중기(宋重器)의 딸이다. 형은 이정익(李廷益), 동생은 이방익(李邦益), 이세익(李世益)이다. 이공익(李公益)[158...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이교악(李喬岳)[1653~1728]은 송시열(宋時烈)의 제자로 노론계 문신이다. 석음와(惜陰窩)라는 이교악의 호는 ‘배우는 데 힘쓰고 시간을 아껴 매사에 부지런히 하라’는 뜻으로 송시열이 지어 주었다고 한다. 경종의 즉위와 세제인 연잉군의 집정 문제로 소론과 대립하였고, 정국의 변화에 따라 관력(官歷)에 부침(浮沈)이 있었다. 본관은...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유초(有初), 호는 쌍호당(雙壺堂). 종실[임금의 친족]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세의(李世義), 할아버지는 이생인(李生寅), 아버지는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제형(李齊衡)이다. 어머니는 남두명(南斗明)의 딸이다. 이단석(李端錫)[1625~1688]은 1650년(효종 1) 사마시에...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자삼(子三), 호는 낙계(駱溪). 고조할아버지는 중종의 아들인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이고, 증조할아버지는 풍산군(豊山君) 이종린(李宗麟), 할아버지는 귀천군(龜川君) 이수(李晬), 아버지는 종실(宗室) 봉래수(蓬萊守) 이형윤(李炯胤)이다. 어머니는 참판에 추증된 최행(崔行)의 딸이다. 부인은 공조...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치행(稚行). 이색(李穡)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여절(李汝晢), 할아버지는 이기흥(李基興), 아버지는 이사술(李思述)이다. 친아버지는 이사묵(李思默)이고 어머니는 송경석(宋慶錫)의 딸이다. 이민채(李敏采)[1740~?]는 충청도 덕산 출신으로 1777년(정조 1) 38세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언(正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사흥(士興).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후손으로 고조할아버지는 상산수(商山守) 이계보(李繼保)이고, 증조할아버지는 황해 감사 이억손(李億孫), 할아버지는 형조좌랑 이유정(李惟貞), 아버지는 영의정에 증직된 전성군(全城君) 이준(李準)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 여산 송씨(礪山宋氏)로 병사 송중기...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이(子異), 호는 분사(分沙)·동사(東沙). 태종의 아들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示+非)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정(李禎)이고, 할아버지는 이희검(李希儉), 아버지는 이조판서 이수광(李晬光)이다.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김대섭(金大涉)의 딸이다. 동생은 홍문관 수찬...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 자는 윤경(潤卿), 호는 지봉(芝峯). 고조할아버지는 모양군(牟陽君) 이직(李稙), 증조할아버지는 선사정(仙槎正) 이승손(李承孫), 할아버지는 신당령(神堂令) 이정(李禎)이며, 아버지는 병조판서 이희검(李希儉)이다. 어머니는 문화 유씨(文化柳氏)이다. 아들은 이성구(李聖求)와 이민구(李敏求)이다. 이수광(李睟光)[156...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수광(李수光)의 묘. 이수광[1563~1628]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윤경(潤卿), 호는 지봉(芝峰)이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왕래하면서 마테오리치(Matteo Ricci)[1552~1610]의 『천주실의(天主實義)』 등 여러 서양 서적을 통하여 새로운 학문을 연구하고 개척하였다. 1614년(광해군 6)에는 『지봉유설(...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돈시(敦詩), 호는 조암(釣巖). 증조할아버지는 이기(李巙), 할아버지는 이정화(李廷華)이고, 아버지는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이다. 어머니는 인동 장씨로 증 참판 장민(張旻)의 딸이다. 동생은 호조 판서를 지낸 이시방(李時昉)이다. 이시백(李時白)[1581~1660]은 성혼(成渾),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
-
경기도 양주시에 암각 글씨가 남아 있는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전주. 자는 자수(子修), 호는 송월재(松月齋). 태종의 서자(庶子)인 온녕군(溫寧君) 이정(李䄇)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이영기(李英基)이고, 어머니는 안동 권씨(安東權氏)로 권벌(權橃)의 증손녀이다. 부인은 상주의 유학자 이전(李㙉)의 손녀이다. 자녀는 3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근(李瑾), 이해(李瑎), 이...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龍仁). 자는 여안(汝安), 호는 송담(松潭). 증조할아버지는 이조판서 이후백(李後白)이고, 아버지는 병조정랑으로 직제학에 증직된 이신충(李藎忠)이다. 아들은 이사익(李士益)이고, 손자는 이후망(李後望), 증손자는 대사헌 이교악(李喬岳)이다. 이영인(李榮仁)[1566~1637]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서 공...
-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 아버지는 인조반정 공신 이수일(李守一)이며, 어머니는 완산 이씨(完山李氏)로 이귀년(李貴年)의 딸이다. 이완(李浣)[1602~1674]은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다. 인조반정 공신으로 군사력을 장악하고 있던 이서(李曙)의 추천으로 만포 첨사(滿浦僉使)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유생.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이자(爾子). 증조할아버지는 가선대부 동중추(嘉善大夫同中樞) 이효건(李孝健)이고, 할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 이동무(李東茂)이며, 아버지는 동중추(同中樞) 이창세(李昌世)이다. 어머니는 정부인 충주 지씨(忠州池氏)로 사과(司果) 지우강(池友江)의 딸이다. 이창주(李昌周)와 전의 이씨(全義李氏)의 막내아들로...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평숙(平叔), 호는 나진자(懶眞子)·서파(西坡).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상산수(商山守) 이계보(李繼保)이고, 할아버지는 황해 감사로 이조판서에 추증된 이억손(李億孫)이며, 아버지는 형조좌랑을 지내고 영의정 완산부원군에 추증된 이유정(李惟貞)이다. 어머니는 김기서(金麒瑞)...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이준(李準)의 묘. 이준[1545~1624]의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평숙(平叔), 호는 나진자(懶眞子)·창파(㘟坡)이다.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6세손이다. 광해군 연간에 인목왕후(仁穆王后) 폐비 사건이 있자 관직을 버렸으며,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는 인조의 부름을 받았으나 문을 걸어 잠그고 사람들과...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중약(仲約), 호는 각리(角里). 정종의 아들인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경직(李景稷)이고, 할아버지는 이정영(李正英)이며, 아버지는 이대성(李大成)이다. 어머니는 홍만용(洪萬容)의 딸이다. 형은 이진유(李眞儒)이다. 아들은 서예로 이름을 떨친 이광사(李匡師)이다. 증조할아버지 이경직...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왕족. 본관은 전주. 정종(定宗)의 넷째 아들인 선성군(宣城君)의 후손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한양에서 경기도 양주로 피란하였다가 광사동에 터를 잡아 전주 이씨 선성공파(宣城公派)의 입향조가 되었다.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에 묘소는 있다. 형조 참판에 추증되었다....
-
경기도 양주시 남면 한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이해수(李海壽)의 묘. 이해수[1536~1599]의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대중(大仲), 호는 약포(藥圃)·경재(敬齋)이다. 아버지는 이탁(李鐸)이다. 1563년(명종 18) 문과에 급제하였고, 도승지를 지냈다. 양주시 남면 신산리에서 동두천 방향으로 가다 보면 도로 좌측에 한산리 전의 이씨(全義李氏) 묘역이 자리하고 있다. 이...
-
1689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인빈방(仁嬪房)이 구입한 동목(同牧) 소재의 제전(祭田)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인빈방 제전 양주 풍양 복재 매득 후 계하 면세 전답 개타량 성책(仁嬪房祭田楊州豊壤伏在買得後啓下免稅田沓改打量成冊)」은 1689년(숙종 15) 3월 경기도 양주목에서 인빈방이 구입한 동목 소재 제전을 정확히 파악할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책의 말미에 타량관(打量官) 및 양...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유생. 본관은 풍천(豊川). 증조할아버지는 첨정 임중신(任重臣)이고, 할아버지는 임권(任權)이며, 아버지는 임유겸(任由謙)이다. 임경달(任慶達)[1572~1642]은 과거 시험에 마음을 두지 않고, 독서를 즐기면서 성현이 쓴 글 속의 깊은 뜻을 알아 가는 데서 기쁨을 찾았다. 그가 지은 시는 새롭고 청아한 맛이 있었다. 평소 생업에 종사하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태로(台老). 고조할아버지는 판서 임유겸(任由謙)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임간(任幹), 할아버지는 임익신(任翊臣)이며, 아버지는 형조 참판 임광(任絖)이다. 부인은 원주 변씨로 승지 변효성(邊孝誠)의 딸이다. 임윤석(任允錫)[1606~1685]의 아버지 임광은 1634년(인조 21) 좌부빈객(左副賓客)이 되어...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경성(景成). 증조할아버지는 임유겸(任由謙)이고, 할아버지는 좌찬성 임권(任權)이며, 아버지는 군자감 첨정 임중신(任重臣)이다. 어머니는 경주 이씨(慶州李氏)이다. 임진(任振)[1571~1650]은 조지서별제, 의영고 직장 및 주부를 역임하였다. 외직으로 예산 현감(禮山縣監)으로 나갔으나 상관의 뜻을 거슬러...
-
1592년부터 1598년까지 두 차례에 걸친 일본의 침략으로 경기도 양주 지역을 포함한 조선 전역에서 일어난 전쟁. 16세기 동아시아 사회는 명나라의 쇠퇴, 여진족의 발흥, 일본의 통일 정권 수립 등 주변 정세의 변화 속에 크게 동요하였다. 특히 조선은 16세기 초에 일어난 삼포왜란을 계기로 일본과의 교역을 단절하여 임진왜란 직전에는 양국간의 교섭이 전무한 상태였다. 이 무렵 일본...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유생.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형연(瀅然).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 감찰을 지낸 임익신(任翊臣)이고, 할아버지는 형조 참판 임광(任絖), 아버지는 광흥창 수 임윤석(任允錫)이다. 어머니는 원주 변씨로 승지 변효성(邊孝誠)의 딸이다. 임형(任瀅)[1629~1665]은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문과에는 떨어져 벼슬길에 오르지는 못하였...
-
조선 후기부터 현재까지 경기도 양주 지역 정기 시장의 변천. 조선 후기에 들어와 활성화되기 시작한 각 지방의 정기 시장을 장시, 또는 장이라고 부른다. 『만기요람(萬機要覽)』 각전조(各廛條)에 “행상이 모여서 교역하고는 물러가는 것을 장(場)이라고 이른다”라고 개념을 규정하고 있다. 지방을 떠돌며 상업에 종사하는 장꾼은 이미 백제 가요 「정읍사」에 나타나는 것처럼 오래 전부터 존재...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 자는 사익(士益). 할아버지는 인제 현감으로 이조 참의에 추증된 정정양(鄭正陽)이고, 아버지는 정선 군수로 이조 참판에 추증된 정수곤(鄭壽崑)이다. 어머니는 풍산 홍씨로 예조 참의 홍주국(洪柱國)의 딸이고, 부인은 양주 조씨로 군수 조태휘(趙泰彙)의 딸이다. 아들은 유생 정창언(鄭昌言)과 이조 참판에 추증된 군수 정창유...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회숙(會叔). 우의정 온양부원군(溫陽府院君) 정순붕(鄭順朋)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정수곤(鄭壽崑)이고, 할아버지는 정광겸(鄭光謙)이며, 아버지는 청도 군수 정창유(鄭昌兪)이다. 어머니는 이산보(李山輔)의 딸이다. 정민시(鄭民始)[1745~1800]는 어려서 작은아버지 정창사(鄭昌師)에게 입양되었다. 아...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정민시(鄭民始)의 묘와 신도비. 정민시[1745~1800]의 본관은 온양(溫陽), 자는 중초(仲初)이다. 생부는 정창유(鄭昌兪)인데 숙부인 정창사(鄭昌師)에게 입양되었다. 1773년(영조 49) 문과에 급제하였고, 벼슬이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정조를 세손 때부터 보필하였으며, 정조의 총애를 받았다. 정민시 묘 및 신도비는 양주시 산북동의...
-
1730년 경기도 양주목에서 정빈방(靖嬪房)이 새로 구매한 전답을 측량해 만든 토지 대장. 「정빈방 신 매득 전답 타량 성책(靖嬪房新買得田沓打量成冊)」은 1730년(영조 6) 3월 경기도 양주목에서 정빈방이 새로 구입한 동목(同牧) 백석면 고령리(高嶺里)[지금의 양주시 백석읍 기산리] 소재 전답의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정빈(靖嬪)은 영조의 후궁이며, 진종(眞宗)...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시회(時晦), 호는 수몽(守夢)·설촌(雪村). 아버지는 진사 정유성(鄭惟誠)이고,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尹氏)로 증찬성 윤언태(尹彦台)의 딸이다. 부인은 한산 이씨(韓山李氏)로 영의정 한흥부원군(韓興府院君) 이산보(李山甫)의 딸이다. 딸은 병조 참지(兵曹參知) 나만갑(羅萬甲)에게 출가하였다. 정엽...
-
경기도 양주시 산북동 정민시(鄭民始)의 묘 아래 있는 조선 후기 정조의 친필 사적비. 정민시[1745~1800]는 본관이 온양이고 자는 중초(仲初), 호는 정와(靜窩)이다. 정조가 세손으로 있을 때 세손시강원필선으로 정조를 보필하였으며, 정조가 즉위하면서 홍국영(洪國榮)과 함께 발탁되어 권력의 핵심에 있었으나 홍국영과는 반대로 끝까지 분수를 지켜 정조의 극진한 사랑을 받았다. 18...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 자는 대재(大哉). 우의정 온양부원군(溫陽府院君) 정순붕(鄭順朋)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정수곤(鄭壽崑)이고, 할아버지는 강화도 경력 정광겸(鄭光謙)이고, 아버지는 통훈대부 청도 군수 정창유(鄭昌兪)이다.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李氏)로 낙창군(洛昌君) 이탱(李樘)의 딸이다. 부인은 해평 윤씨(海平尹氏)로 윤원동(尹...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봉암리에 있는 충신 조견(趙狷)과 남을진(南乙珍)의 조선 후기 사당. 정절사(旌節祠)는 고려 말의 충신인 조견[1351~1425]과 남을진을 기리기 위한 사당이다. 조견은 1392년(태조 1) 상장군으로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는 데 앞장서 조선이 개국된 후 개국 공신에 책록되었다. 남을진은 조선이 개국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며 적성(積城) 감악산(紺嶽山...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유생. 본관은 온양. 자는 성칙(聖則). 할아버지는 정수곤(鄭壽崑)이고, 아버지는 단양 군수를 지내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정광겸(鄭光謙)이다. 어머니는 풍양 조씨로 안동진관 병마 동첨절제사(安東鎭管兵馬同僉節制使) 조태휘(趙泰彙)의 딸이다. 부인은 정경부인 연안 이씨로 현감 이산보(李山輔)의 딸이다. 형은 진사 정창언(鄭昌言), 이조참판 행청도...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 본명은 정창조(鄭昌祚), 호는 문중(文仲)·성수(聖受). 할아버지는 정수곤(鄭壽崑)이고, 아버지는 단양 군수를 지내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정광겸(鄭光謙)이다. 어머니는 풍양 조씨로 안동진관 병마 동첨절제사(安東鎭管兵馬同僉節制使) 조태휘(趙泰彙)의 딸이다. 부인은 전주 이씨로 낙창군(洛昌君) 이탱(李樘)의 딸이다. 형은 진...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먹중들이 부르는 의식요. 「조기잡이」는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6과장 노장의 제1경 파계승놀이에 나오는 느린 굿거리장단의 타령으로 먹중들이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0쪽에 실려 있다. 「조기잡이」는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자장(子章), 호는 학당(鶴塘). 증조할아버지는 풍안군(豊安君) 조흡(趙潝)이고, 할아버지는 조중운(趙仲耘), 아버지는 돈녕부 도정(都正) 조도보(趙道輔)이다. 어머니는 김필진(金必振)의 딸이다. 부인은 이정태(李廷泰)의 딸이다. 아들은 조돈(趙暾)이다. 조상경(趙尙絅)[1681~1746]은 170...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흡여(潝如). 공조 참판 조익정(趙益貞)의 5세손으로, 고조할아버지는 조팽(趙彭)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조종경(趙宗敬), 할아버지는 좌랑(佐郞) 조정기(趙廷機)이며, 아버지는 조수익(趙守翼)이다. 어머니는 변씨(邊氏)이다. 형은 조약(趙禴), 아우는 조관(趙灌)이다. 부인은 청해 이씨(靑海李氏)로 좌...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조흡(趙潝)의 신도비. 조흡[1591~1661]의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흡여(翕如)이고, 아버지는 조수익(趙守翼)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큰아버지인 조수륜(趙守倫)에게 수학하였다.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었고, 이후 풍안군(豊安君)에 봉해졌으며, 한성부 좌윤을 지냈다. 시호는 경목(景穆)이다....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청주 한씨(淸州韓氏) 문중의 정려각(旌閭閣). 창정각(彰旌閣)은 한 인물의 정려각이 아니라 청주 한씨 가문의 충신 2명과 효자 5명, 열녀 3명의 정려를 모아 만든 경기도 양주 지역의 청주 한씨 문중 정려각이다. 정려가 내려진 시기와 해당 인물을 살펴보면, 충신으로는 1604년(선조 37) 한겸(韓謙)과 1669년(현종 10) 한순(韓...
-
조선 후기 경기도 양주 출신의 효자.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여윤(汝胤), 호는 가곡(嘉谷). 아버지는 효자 최혁(崔爀)이다. 최규석(崔圭錫)[1811~1893]은 최익현(崔益鉉), 유중교(柳重敎)와 교유하였다. 어려서부터 침착하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학문에도 조예가 깊었다. 할머니와 부모의 병중에는 손가락을 잘라 피를 입에 넣어 연명케 하여 고을의 뭇사람을 감동시켰다. 189...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 자는 대용(大容), 호는 묵수당(黙守堂)·감파(紺坡). 이름을 최호원(崔灝源)으로 개명하였다. 문헌공도의 창시자 최충(崔冲)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최경(崔瓊)이고, 할아버지는 최여양(崔汝兩)이며, 아버지는 진사 최전(崔澱)이다. 어머니는 신홍점(申鴻漸)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당령(堂令) 조응문(趙應文)의 딸이고,...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우고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최제(崔濟)와 최혁(崔爀)의 정문(旌門). 정문이란 전통 시대에 국가가 충신·열녀·효자의 행실을 널리 알릴 목적으로 해당 인물이 살던 마을 입구 또는 집 앞에 세워 준 문(門)을 가리킨다. 정려(旌閭)·정려문(旌閭門)·홍살문이라고도 한다. 최제[1659~1723]는 어릴 적부터 효성이 지극해 11세에 모친상을 당하였을 때 하는...
-
경기도 양주시의 충주 최씨 일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의 고문서. 충주 최씨 일가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는 교지(敎旨) 20건이다. 1870년부터 1893년까지의 교지로, 최제(崔濟) 관련 교지 2건, 최혁(崔爀) 관련 교지 2건, 최규석(崔圭錫) 관련 교지 16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제·최혁은 효자로 이름이 나 있어, 최제에게는 1855년(철종 6), 최혁에게는 186...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연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장군 신각(申恪)의 사당. 충현사(忠顯祠)는 임진왜란시 공을 세운 신각[?~1592]의 사당이다. 신각의 본관은 평산(平山)이다. 임진왜란 초기에 해유령(蟹蹂嶺)[일명 게너미고개]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러 당시 육지전 최초의 승리를 거두었으나, 우의정 유홍(兪泓)의 장계(狀啓)에 따라 참수형을 당하였다. 현재 충현사가 자리한 곳은 신...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취발이가 부르는 의식요. 「취발이 가사」는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6과장 노장의 제3경 취발이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취발이가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2쪽에 실려 있다. 「취발이 가사」는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와 경기도 양주...
-
1750년대에 편찬된 『해동지도(海東地圖)』의 경기도 양주목에 해당하는 부분. 『해동지도』는 국가 차원에서 제작된 방대한 분량의 채색 필사본 지도로, 조선 전도를 비롯해 도별도, 군현 지도, 세계 지도가 망라되어 있다. 2008년 12월 22일 보물 제1591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태고 4709-41]. 그중 「해동지도 양주(海東地圖楊州)」는 오...
-
임진왜란 당시 경기도 양주 해유령에서 왜적을 상대로 벌인 전투. 16세기 동아시아 사회는 명나라의 쇠퇴, 여진족의 발흥, 일본의 통일 정권 수립 등 주변 정세의 변화 속에 크게 동요하였다. 특히 조선은 16세기 초에 일어난 삼포왜란을 계기로 일본과의 교역을 단절하여 임진왜란 직전에는 양국 간의 교섭이 전무한 상태였다. 이 무렵 일본은 오랜 내란을 끝내고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조선 시대 남자 아이의 바지.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남아 바지는 시신이 입고 있던 수의이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남아 바지는 바지통이 나누어져 있어 통변이 쉬우며, 옆트기를...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조선 시대 남자 아이가 착용한 겉옷.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남아 중치막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중치막은 직령 깃에 무 없이...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갓 태어난 아기에게 입히는 옷. 일반적으로 배냇저고리는 아기가 처음 태어났을 때 출생과 동시에 쌀깃[배냇저고리 아래에 옷 대신 둘러싸는 헝겊 조각]에 싸 두었다가 3일 또는 일주일이 지난 뒤 목욕시키고 나서 입히는 옷이다. 그러나 이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배냇저고리는 2001년 11월 15일 경기...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의로 쓰인 베개. 일반적으로 베개는 누울 때 머리에 괴는 도구이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베개는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의 염의 중 하나로 발견되었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베개는 누비로 만들었으며, 죽은 아이의 염의용으로 소매...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마루폭, 큰사폭, 작은사폭, 허리로 구성된 조선 시대의 남자 바지.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사폭 바지를 사용하였다. 해평 윤씨...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나 이불을 대신하여 성인 중치막을 사용하였다. 소매가 좁은 중치막을 ‘창옷’이라고 하는데 여름용은 홑옷으로 모시나 사(紗)로 만들었고...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말총, 가죽, 헝겊 등으로 양태 없이 밋밋하게 만든 모자.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소모자를 사용하였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소...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출토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누벼서 지은 아기의 옷.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아기 누비옷을 사용하였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아기 누비옷은 발 부분을 싸 주...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 의류로, 조선 시대 여자들이 외출할 때 얼굴을 가리기 위해 머리에서부터 길게 내려 쓰던 옷.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해평 윤씨 묘역 출토 장옷은 이 미라의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된 염의 의류 중 하나이다. 해평...
-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해평 윤씨(海平尹氏) 선산에서 발견된 죽은 아이의 염습에 사용된 철릭의 소매. 2001년 11월 15일 경기도 양주시 광사동 산48-20번지에 있는 해평 윤씨 선산에서 ‘어린이 미라’가 발견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시신을 염할 때 사용되는 삼베 염포(殮布)나 이불을 대신하여 철릭 소매를 사용하였다. 해평 윤씨 묘역 출토 철릭 소매는 조선 시대 성인용 철릭 소매의...
-
경기도 양주시에 암각문이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 자는 문보(文父)·화보(和父), 호는 미수(眉叟)·대령노인(臺嶺老人). 증조할아버지는 의정부 찬성 허자(許磁)이고, 할아버지는 별제 허강(許橿)이며, 아버지는 연천 현감 허교(許喬)이다. 어머니는 나주 임씨로 정랑 임제(林悌)의 딸이다. 부인은 전주 이씨로 영의정 이원익(李元翼)의 손녀이다. 허목(許穆)[1595~16...
-
경기도 양주에서 삼척의 퇴조비(退潮碑)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허미수와 퇴조비」는 조선 시대 문신 미수(眉叟) 허목(許穆)[1595~1682]이 삼척부사 시절 세운 퇴조비에 관해 전승되는 이야기로서 후임 부사가 퇴조비를 부술 것을 예언하여 미리 대비해 두고, 그것 때문에 조수로 인한 물난리를 면했다는 유적에 얽힌 신이담이다.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간행한 『양주군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혜백(惠伯), 호는 수허재(守虛齋). 고조할아버지는 경기 관찰사를 지낸 해봉(海峰) 홍명원(洪命元)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성암(醒庵) 홍처후(洪處厚)로 역시 경기 관찰사를 지냈다. 할아버지는 사헌부 장령 홍수하(洪受河)이고, 아버지는 이조 참판 홍우석(洪禹錫)이다. 어머니는 이중린(李仲獜)의 딸이다....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홍구택(洪九澤)의 묘비. 홍구택[1668~1693]의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윤백(潤伯)이다. 기풍이 장중하면서도 온화하고 순하여 부모를 잘 섬겼고 자제들과 사이가 좋았으며, 교우함에 있어 믿음이 있었다. 풍부한 재주와 아름다운 자질, 학문에 힘씀, 일처리의 민첩함이 있었지만, 세상에 나아가서는 뜻을 펼치지도 못하고 일찍 죽었다...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만초(萬初), 호는 보옹(葆翁). 고조할아버지는 홍계정(洪係貞), 증조할아버지는 홍춘경(洪春卿), 할아버지는 도승지 홍천민(洪天民)이며, 아버지는 영의정 홍서봉(洪瑞鳳)이다. 어머니는 좌승지 황혁(黃赫)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종실(宗室) 시림군(始林君) 이세준(李世俊)의 딸이고, 둘째 부인은 능성...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 홍명형(洪命亨)의 정려(旌閭). 홍명형[1581~1636]의 자(字)는 계통(季通), 호(號)는 무적당(無適堂), 시호는 의열(義烈)이다. 1612년(광해군 4) 문과에 장원 급제하고 이후 전적·형조 참의 등을 지냈다. 1639년(인조 17) 병자호란 때 강화도로 피난하였다가 김상용(金尙容)과 함께 분신자살하였다. 이때 홍명형의 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휘세(輝世), 호는 학곡(鶴谷). 고조할아버지는 홍윤덕(洪閏德), 증조할아버지는 홍계정(洪係貞), 할아버지는 황해도 관찰사 홍춘경(洪春卿)이며, 아버지는 도승지를 지내고 영의정에 추증된 홍천민(洪天民)이다. 어머니는 고흥 유씨(高興柳氏)로 고려 시중 유탁(柳濯)의 후손인 제용감 주부 유당(柳摚)의...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자회(子晦), 호는 북정(北汀). 고조할아버지는 관찰사를 지낸 홍춘경(洪春卿)이고, 증조할아버지는 도승지 홍일민(洪逸民), 할아버지는 금산 군수 홍서룡(洪瑞龍)이며, 아버지는 사재감 첨정 홍명현(洪命顯)이다. 어머니는 해주 정씨(海州鄭氏)로 참판에 추증된 정용(鄭鎔)의 딸이다. 부인은 청송 심씨(靑松沈氏)로...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덕재(德載), 호는 성암(醒庵). 고조할아버지는 관찰사 홍춘경(洪春卿)이고, 증조할아버지는 현감 홍일민(洪逸民), 할아버지는 진사 홍영필(洪永弼)이며, 아버지는 경기도 관찰사 홍명원(洪命元)이다. 어머니는 첨추(僉樞) 윤민준(尹民俊)의 딸이고 부인은 광주 정씨(光州鄭氏)로, 판서 정사호(鄭賜湖)의 딸이다....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 도촌에서 한용승(韓用昇)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활 잘 쏘는 농부」는 광적면 석우리 도촌(島村)에서 살았던 양절공(襄節公) 한확(韓確)[1403~1456]의 후손 한용승이 호미를 꺾어 버린 후 서울로 가서 활을 꺾어 버리고 급제하였다는 일화이다. 「활 잘 쏘는 농부」는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간행한 『양주군지』에 실려 있는데, 이는 197...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천주교 순교자인 황사영(黃嗣永)의 묘. 황사영[1775~1801]은 남인계 가문 사람으로,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덕소(德紹), 세례명은 알렉시오이다. 세례명이 ‘알렉산델’로 알려져 왔으나 교회사가들에 의해 ‘알렉시오’로 확인되었다. 1801년(순조 1) 신유박해(辛酉迫害) 시 천주교 교세와 순교자들의 약전 및 포교 방안 등을 담은...
-
경기도 양주시 회암동 천보산 자락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 1174년(명종 4) 금나라 사신이 회암사에 온 적이 있다는 기록과 보우(普愚)가 1313년(충선왕 5)에 회암사에서 출가했다는 사실이 있어 회암사는 늦어도 12세기에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1328년(충숙왕 15) 인도에서 원나라를 거쳐 들어온 지공이 인도의 나란타사(羅爛陀寺)를 본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