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50년부터 1953년까지 북한의 남침으로 전라북도 익산 지역을 포함한 대한민국 전역에서 일어난 전쟁.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6·25 전쟁의 과정에서 익산 지역은 630여 명의 참전유공자를 배출하였고, 대한민국 해병대 최초의 전투이자 승전지 중 하나로서 이름을 알리기도 했다. 하지만 미군에 의한 이리역 오폭사건처럼 수많은 민간인 희생의 아픔도 겪어야 했다. 휴전 이후...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 간촌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삼기면 서두리, 동쪽으로 익산시 삼기면 용연리, 남쪽으로 익산시 월성동, 서쪽으로 익산시 황등면 율촌리와 접하고 있다. 본래 간촌(間村)은 샛말 또는 원간촌이라고도 불렸다. 샛말은 기존의 마을 사이에 새롭게 형성된 마을을 뜻하는 ‘새말’이 변한 것이다. 중리와 하표 사이에...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산봉우리가 갈모[고깔모자]처럼 생겨 ‘갈모’라 칭했는데, 갈모가 ‘갈뫼’로 불리다 ‘갈매’로 변화하였다. 이를 이두로 표기한 것이 갈산(葛山)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갈산(葛山), 각동(各洞), 삼봉(三峰)을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금마면 갈산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5월 10일 익산군과 이리시의 통합으로...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고창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 동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갈산리, 남쪽으로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 서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시음리와 접하고 있다. ‘고창(古倉)’이라는 명칭은 조선 시대 지방 정부의 양곡을 저장한 창고가 있었던 데에서 유래하였다. 덕성창(德成倉)의 기능이 성당창으로...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봉화산 정상에 있던 조선 시대 봉수대터. 광두원산봉수대(廣頭院山烽燧臺址)는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의 봉화산[광두산] 해발 53.7m 정상에 있는 봉수대터이다. ‘광두원산봉수대’라는 이름은 조선 시대 용안현 화실리에 광두원이라는 역원(驛院)이 있었던 데에서 유래한다. 광두원 북쪽에 있는 산이라 ‘광두산’으로 불렸으나 오늘날에...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는 익산시의 최동단에 위치하여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장구리와 접하고 있다.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용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 서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촌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소광리(小光里)의 ‘광’ 자와 상암리(上岩里)의 ‘암’ 자를 따서...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난포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중신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송산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덕용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향교(鄕校)가 있었던 교동(校洞)의 이름을 따서 교동리(校洞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성치리(城...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 발산리,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암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 서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쌍제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구동(九洞)의 ‘구’ 자와 관덕리(觀德里)의 ‘덕’ 자를 따서 구덕리(九德里)라 칭하였다. 1914...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구산리는 동북쪽으로 익산시 망성면 화산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용성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창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중심 마을인 구산리(九山里)의 이름을 붙였다. 구산은 지형이 거북처럼 생겨 거북산이라 불렸는데, ‘거북산’을 한자로 바꾸면서 ‘구산(龜山)’이라 하였으...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중심에 거북이가 엎드려 있는 형상을 한 넓은 대지[약 5000평]가 있어서 ‘구평리(龜坪里)’라는 이름이 생겼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단리(上丹里), 하단리(下丹里), 신리(新里), 장평리(長坪里), 성남리(城南里)와 서삼면(西三面)의 중리, 한기리(閒機里), 신기리(新基里), 명천리(鳴川里) 그리고 돈산리(敦山...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기산리(箕山里)의 지명 유래는 확실하지 않다. 마을 인근의 삼기산(三箕山) 명칭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삼기리(三箕理)와 석암리(石岩里), 현동(玄洞), 점촌(店村)의 전체 지역과 더불어 기산리(箕山里), 사제면(巳梯面) 내 석기리(石基里), 사오랑리(沙五郞里)의 일부 지역이 통합되어...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중심 지역인 기양리(箕陽里)의 명칭을 붙였다. 기준성(箕準城)[익산 미륵산성]의 남쪽에 위치한 동네라는 의미로 ‘기양’’이라 불렀다고 전해진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기양(箕陽), 마전(麻田), 노상(路上), 향산(香山) 등의 리(里)를 포함하여, 구문천(九文川)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
-
근현대 전라북도 익산에서 활동한 유학자. 김형재(金亨在)[1909~1988]는 전라남도 나주 출신의 현대 유학자로, 말년을 익산에서 보냈다.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호는 일청(一靑)이다. 김형재는 1909년 나주에서 태어났다. 전라북도 순창 출신의 성리학자 노사(盧沙) 기정진(奇正鎭)[1798~1879]의 학맥을 이은 율계(栗溪) 정기(鄭琦)[1879~1950...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난포리는 북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두곡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석동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 서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성당리와 접하고 있다. ‘난포(蘭浦)’라는 명칭은 갈대가 많은 포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난포리(蘭浦里)는 과거에 포구가 있던 마을로, 배가 자주 드나들었던 곳이어서...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의 8대명당(八大明堂)의 하나로 꼽히던 남당산의 명칭을 따서 남당리(南堂里)라 하였다. 남당산에는 명당을 찾아 묏자리로 썼다는 청송심씨(靑松沈氏) 가문의 2세조 심연(沈淵)의 묘가 있다. ‘평지 명당의 대표는 ‘남당산’이라고 할 정도로 남당산은 풍수지리상의 명소로 꼽힌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정리(上亭...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남전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 동쪽으로 목천리, 남쪽으로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저산리, 동계리, 서쪽으로 익산시 오산면 신지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남참리(南參里)에서 ‘남’ 자와 야전리(野田里)의 ‘전’ 자를 따서 ‘남전리(南田里)’가 되었다. 남참리는 ‘남...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인근에 위치한 여산(礪山)의 옛 이름이 낭산(朗山)이었기에 때문에 ‘낭산리’라 불리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후 상랑리(上朗里), 하랑리(下朗里), 우금리(牛今里)를 포함하여, 내산리(內山里), 장평리(長坪里)와 서사면(西四面)의 돈산리(敦山里)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낭산면 낭산리로 개설되었다.1995...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내촌(內村)은 주위의 마을보다 안쪽에 있는 마을이었기 때문에 ‘안동네’로 불리다가 한자로 ‘내촌’으로 표기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촌리(內村里)와 함께 신흥리(新興里), 방축리(方築里), 미동(米洞) 등의 지역과 지장리(只長里), 교항리(橋項里)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망성면 내촌리로 개설되었...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다송리(多松里)라 하였다. ‘다송리’라는 명칭이 처음에 어디에서 유래하였는지는 전해지지 않으나, 다송리에 드넓은 소나무숲이 형성돼 있어 ‘소나무가 많은 동네’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함열군의 동이면 지역이였으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후 방교리(蒡嬌里), 와야리(瓦...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웅포리에 있는 최치원의 사당. 단동사(丹洞祠)는 1949년 최치원(崔致遠)[857~?]의 학문과 도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최치원의 호는 고운(孤雲) 또는 해운(海雲),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6두품 출신으로 12세 때인 869년(경순왕 9) 당나라에 유학하여 6년 만인 874년 빈공과에 급제하고 지방 관직에 제...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천서리 담월마을에 있는 일제 강점기 사당. 담월사(潭月祠)는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천서리 담월마을 뒷산 기슭에 있다. 임진왜란 때 활약한 신경진(辛慶晋)[1554~1619]의 후손 신민집(辛旼集)이 1909년 단을 세워 선조의 제사를 지내다가, 1926년 사당을 건립하였다.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와 인조 때의 무신...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대붕암리는 북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비정리, 동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성당리, 남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두동리, 서쪽으로 익산시 웅포면 제성리와 접하고 있다. ‘대붕암(大鵬巖)’이라는 명칭은 뒷산에 새처럼 생긴 큰 바위가 있어 ‘대붕바우’ 혹은 ‘대붕바위’라고 부르던 것을 한자로 ‘원대암(元大...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대기리(大機里)와 회선리(會仙里)에서 한 자씩 따서 대선리(大仙里)라 불리게 되었다. 대기(大機)는 마을 앞에 넓은 들이 펼쳐져 있어서 ‘한들’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로 표기한 이름이다. 회선(會仙)은 신선들이 함께 모이는 곳이라는 전설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내회선(內會仙)과 외회선(外會仙)은 각각 회...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망성면 화산리, 동쪽으로 익산시 망성면 장선리, 어량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흥왕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용성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서 대조리(大鳥里)라 하였다. ‘대조(大鳥)’는 대조리 일대 지형이 큰 새가 알을 품...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덕실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삼포리, 동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인수리 봉개산, 남쪽으로 만경강, 서쪽으로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유강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중심 마을인 덕실마을의 이름을 따라 덕실리(德實里)라 하였다. 덕실(德實)은 ‘텃골’’을 이두식으로 표현한 것이다...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덕용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 난포리, 익산시 성당면 부곡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동지산리, 송산리, 남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장선리, 서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갈산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덕동(德洞)의 ‘덕’ 자와 용산리(龍山里)의 ‘용’ 자를 따서 덕용리(德...
-
전라북도 익산시 은기동 하두마을에 있는 일제 강점기 사당. 덕천사(德川祠)는 1931년 추강(秋岡) 오응현(吳應賢)[1550~1592]의 후손들이 세웠다. 1592년 임진왜란 때 금산전투에서 순절한 의병장 제봉(霽峰) 고경명(高敬命)[1533~1592]을 주벽으로 모시고, 익산 지역에서 참전한 추강 오응현, 백천(栢川) 오응필(吳應弼)을 배향하였다....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도순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용화리, 동봉리, 동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촌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서쪽으로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와 접하고 있다. ‘도순리(都巡里)’라는 명칭은 이 마을의 북동쪽에 있는 시대산의 옛 이름 ‘도순산(都巡山)’에서 유래되었다. 1914년 이루어진 행정구...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한의 옛 도읍지라 하여 고도(古都)라 하였는데, 그중 동쪽 지역을 동고도리(東古都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옥동(玉洞), 옥전리(玉箭里), 옥후리(玉後里), 상대리(上大里), 하대리(下大里), 구정리(九政里), 한정리(寒井里), 누동(樓洞), 교동(校洞), 신촌(新村), 원두리(元豆里), 죽림리(竹...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동봉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용리, 서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용화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중심 마을인 동봉리(東鳳里)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동봉리(東鳳里), 동...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은 북쪽으로는 익산시 왕궁면 동봉리, 동쪽으로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 서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도순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동촌(東村), 동통리(東桶里), 동하리(東夏里), 동도리(東道里) 등의 마을 이름에서 ‘동’ 자를 따고 용남리(龍南里)의...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동지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덕용리 동쪽은 익산시 용안면 송산리, 남쪽은 익산시 용안면 칠목리, 서쪽은 익산시 망성면 장선리와 접하고 있다. 동지산 밑에 위치한 마을이라 하여 ‘동지산리(冬之山里)’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동지산(冬至山)은 ‘등지산’ 혹은 ‘동지매’라고도 불리는데,...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동촌리는 남북으로 길게 뻗어 있는 형태이며,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봉리, 동용리, 동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 서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도순리, 왕궁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상동리(上東里), 하동리(下東里)의 동면(東面)에서 ‘동’ 자...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에 속하는 법정리. 두동의 지형이 삼면이 막혀 있고 한 면은 뚫려 있어 ‘막힌 골’, ‘막골’이라 칭하였으며, 이를 한자로 ‘두동(杜洞)’이라 표기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내두리(內杜里), 외두리(外杜里), 택촌(宅村), 내란리(內蘭里)의 전체 지역과 더불어 교항리(橋項里)와 부곡리(富谷里)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전라북도...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두여리는 북쪽으로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동쪽으로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태성리, 논산시 연무읍, 남쪽으로 익산시 여산면 제남리, 서쪽으로 익산시 낭산면 석천리와 접하고 있다. 두여(斗余)는 이 마을의 원래 이름인 ‘두내미’를 이두로 표기한 것이다. ‘두’는 두(斗)를 음차한 것으로...
-
전라북도 익산시 은기동에 있는 조선후기의 사당. 두천사(豆川祠)는 1780년(정조 4) 전라도 익산군 팔봉면 은기리의 철원최씨들이 최영 장군의 영정을 모시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라 1871년 철폐되었다가 1900년 다시 영당을 짓고 향사를 지냈다. 1962년에 영정 대신 위패를 모시고 사당의 이름을 ‘두천사’라고 하였다...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 매곡마을에 있었던 일제 강점기 사당. 매곡사(梅谷祠)는 1910년 나라가 망하자 자결한 매하(梅下) 김근배(金根培)의 절의와 학문을 기리기 위하여 제자들과 아들 김종호가 1931년 세운 사당이다. 이후 1974년 3월 항일 독립운동가 윤봉길(尹奉吉) 의사와 백정기(白正基) 의사의 위패를 추가로 모셨으며, 매년 음력 3월 3일에 제사를 지...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구평리에 있는 다리. 맹동교는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구평리에 있는 죽정천을 넘어 다닐 수 있도록 건립된 교량이다. 맹동교는 인근에 있는 익산시 낭산면 구평리 맹동마을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교량명이다. 맹동(孟洞)은 ‘맹골’이라 불리던 마을로, 인근의 한기마을에서 새로 생긴 동네를 호기심 어린 눈으로 바라본다는 의미의 ‘망골[...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웅포면 제성리, 동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두동리, 남쪽으로 익산시 웅포면 고창리, 서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원당리와 접하고 있다. ‘맹산(孟山)’이라는 명칭은 소맹동의 ‘맹(孟)’ 자와 동산동·서산동의 ‘산(山)’ 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조선 시대 인문지리서 『신...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목천리는 동북쪽으로 익산시 목천동, 남쪽으로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동계리와 백구면 유강리, 서쪽으로 익산시 오산면 남전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중심 마을인 목천포리(木川浦里)의 이름을 따서 목천리(木川里)라 하였다. 목천포리는 과거에 옥야현 남쪽 지역 갯가에 위치해 있어...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중심 마을이었던 무형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의해 무형리와 신룡리(新龍里), 고산리(古山里), 신풍리(新豊里)의 전체 지역과 포변리(浦邊里), 선리(船里)의 일부 지역이 통합되어 전라북도 익산군 망성면 무형리가 개설되었다. 1995년 5월 10일 익산군과 이리시가 익산시로...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발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평장리, 동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쌍제리, 구덕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창평리, 천동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 상발리(上鉢里)와 하발리(下鉢里)를 가로지르는 발산(鉢山)의 모습이 승려의 식기인 바리때와 비슷하다...
-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 배산에 있는 일제 강점기 사당. 백산원(栢山院)은 전라북도 익산시 모현동 배산에 있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동향의 맞배지붕 형식 사당이다. 1915년 만포(晩圃) 정제호(鄭濟鎬)와 모은(慕隱) 정동식(鄭東植)[1850~1910]의 후손들이 일제에 항거한 선조들의 충절을 사묘하기 위하여 세웠다. 익산의 연일정씨 가묘로 출발하였으나, 연...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법성리는 북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간대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용두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석동리와 접하고 있다. ‘법성(法聖)’이라는 명칭은 이 마을에 있는 자명사(自明寺)에서 법성마을이라 부른 데에서 유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북...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시대 도평부곡(桃坪部曲) 자리였기에 ‘부곡(富曲)’이라는 명칭을 따서 마을 이름을 삼은 것이라 전해진다. 이는 신라나 고려 시대 존재하였던 특수행정구역인 향(鄕), 소(所), 부곡(部曲)과 관련있는데, 특히 부곡은 천민 집단의 취락을 일컫는 말을 상징하였다. 하지만 이후 사회변화와 더불어 계급의 구분이 무의미해짐에 따라 부곡...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속하는 법정리. 위치상으로 미륵산의 북쪽에 있기 때문에 산북(山北)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내산(內山)과 외산(外山) 그리고 여산군의 서이면(西二面), 내산리(內山里)의 일부분을 결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금마면 산북리로 개설되었다. 내산은 미륵산과 용화산을 가로지르는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생겨난 명칭이라 한다. 1995년 5...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대사제(大沙堤), 소사제(小沙堤), 북지제(北枝堤)라는 세 연못이 있어 ‘삼담(三潭)’이라는 명칭이 생겼다고 한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도 삼담리(三潭里)의 세 연못에 대하여 기록되어 있다. 1979년 이후 못을 없애고 논으로 사용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죽산리(竹山里), 삼지리(三地里),...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삼포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석암동, 동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인수리 봉개산, 남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덕실리, 서쪽으로 익산시 금강동과 접하고 있다. 과거에 마을의 3면이 갯벌 나루였기 때문에 삼포(三浦)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또는 세 뜸[한 동네 안에서 몇 집씩 따로 모여 있는 구역]으로 이루어진 마...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한 고도(古都) 서쪽 지역이라는 의미로 서고도리(西古都里)라 하였다. 서고도리에는 상제마을, 서계마을, 원촌마을, 연동마을 등이 있다. 상제는 과거 증벽지 안쪽에 위치한 ‘행정’으로 불렸는데, 행정은 소세양의 퇴휴당에 있는 은행나무를 상징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서계는 옥룡천의 서쪽에 있었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원촌은...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에 있는 백제 무왕 관련 유적지. 서동은 백제 무왕의 어린 시절 이름으로 『삼국유사』 무왕조에 의하면, “무왕의 이름은 장(璋)이다. 무왕의 어머니는 과부로, 서울의 남쪽 연못가에 집을 짓고 살았는데, 연못 속의 용과 통하여 장을 낳았다. 무왕의 어린 시절 이름은 서동이라고 한다.”라는 기록이 나온다. 『고려사(高麗史)』 지리지,...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서두(西頭)마을의 이름을 따라 서두리(西頭里)라 하였는데, ‘서두’는 간촌 또는 상리의 서쪽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서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이며, ‘섯말’로부터 유래되었다. ‘섯말’은 다시 ‘서두(西斗)’로 변하였다가 ‘서두(西豆)’로 바뀌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서두리(西頭...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석동리는 북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두곡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용두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난포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용두리와 접하고 있다. ‘석동(石洞)’이라는 명칭은 육지 혹은 구릉이 바다에 뻗어 나간 곳이란 뜻의 ‘돌고지’, ‘독고지’라는 명칭에서 유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매교리(梅橋里)와 석치리(石峙里)에서 한 글자씩 차용하여 석매리(石梅里)라 하였다. 매교리는 ‘마지기’라고도 불렸는데, 매교(梅橋)라는 다리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석치리는 돌이 많은 고개라는 의미로 ‘돌고개’라 불리기도 하고, 돌의 재라는 뜻으로 ‘도로재’라고도 불렸는데,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석천리(石泉里)라 하였다. 석천은 석천대에 있던 우물의 이름으로, 바위 사이에서 석간수가 솟아나 ‘석천’이라 불렸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하석리(下石里), 상석리(上石里), 구북리(舊北里), 신북리(新北里), 호천리(狐川里) 등과 마산리(馬山里) 일대를 병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낭...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서 성남리(成南里)라 하였다. 성남은 원래 ‘내성(內城)’ 또는 ‘성내미’라고 불렸는데 낭산성(朗山城) 안쪽에 있는 마을이라는 의미이다. ‘성내미’를 한자로 표기하면서 성(城)은 성(成)으로, ‘내미[內]’는 남(南)으로 바뀐 것으로 추정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에 속하는 법정리. ‘성당(聖當)’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10개 군현의 세곡(稅穀)을 운반하는 장소로 활용되었던 성당포구(聖當浦口)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성당은 ‘성포(聖浦)’라 불리기도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월명리(月明里)의 전체 지역과 더불어 용안군 북면에 위치한 난포리와 성당리(聖當里), 교항리(橋項里) 지역의 일부를...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면.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은 전라북도 북단에 있으며, 북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남쪽으로 익산시 황등면, 서쪽으로 익산시 웅포면과 접하고 있다. 부곡천(釜谷川)과 함열천(咸悅川)을 경계로 삼아 7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성당(聖堂)’이라는 명칭은 본래 조선 시대 성당창(聖堂倉)이 있는 포구라는 의미...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성당리 성당포구마을에 있는 수령 약 400~500년의 은행나무. 성당면의 은행나무는 수백 년 동안 지역 주민들의 사랑을 받아온 당산제를 지내는 당목이다. 조선 후기인 1662년(현종 3)에 성당창이 설치되면서 조운선의 무사 항해를 기원하고, 마을의 안녕과 풍어를 기원하는 당산제가 행해졌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1662년 이전에...
-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소방산 정상에 있는 조선 시대 봉수대 터. 소방산봉수대(所方山烽燧臺)는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소방산[일명 봉수산]에 있었으며 조선 시대에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소방산봉수대에서는 서쪽으로 금강이 흐르고 동쪽으로는 함라면 일대와 미륵산을 포함한 익산 전역이 한눈에 보인다. 소방산봉수대는 해발 220m의 봉수산...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송산리는 북쪽은 익산시 용안면 교동리, 동쪽은 익산시 용동면 용성리, 남쪽은 익산시 용안면 칠목리, 서쪽은 익산시 용안면 동지산리와 접하고 있다. 마을 동쪽과 서쪽, 북쪽의 3면에 솔밭이 울창하게 조성되어 마을을 감싸고 있고 남쪽 한 면만 트여 있어 송산리(松山里)라 불리게 되었다고 전한다....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송천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웅포면 고창리, 동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장선리, 남쪽으로 익산시 함라면 금성리, 서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시음리와 접하고 있다. ‘송천(松川)’이라는 명칭은 소나무가 많은 냇가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하천이 마을 한가운데를 지나 흐르고 있어서 송천리(松川里)라는 이름이...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송만리(松萬里), 학동리(鶴洞里)의 앞 글자 한 자씩을 취하여 송학리(松鶴里)가 되었다. 본래 옥야현의 영역이었다가 전주부 서일면에 편입되었고, 이후 1899년에 익산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학동리(鶴洞里)의 전체 지역과 더불어 송만리(松萬里), 광양리(光陽里), 학곤리(鶴崑...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신동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덕기동, 동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창평리, 남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천서리, 서쪽으로 익산 제2일반산업단지와 접하고 있다. ‘신동(信洞)’이라는 명칭은 가뭄에도 농민들이 안심하고 농사를 지을 수 있는 곳이라는 뜻에서 ‘미둥굴’ 혹은 ‘믿음골’이라 부른 데서 유래되었다. 본래...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신정리의 ‘신’과 구룡리의 ‘용’을 따서 신용리(新龍里)라 하였다. 신정은 과거에 이 마을에 좋은 샘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고, 구룡은 국골 뒤에 ‘구룡동천(龜龍洞天)’이라 새겨진 바위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전해진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익산의 구룡(九龒), 독정(篤亭), 침령(砧嶺),...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신작리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신성리(新成里)의 ‘신’과 하작리(下鵲里)의 ‘작’을 따서 신작리(新鵲里)라 하였다. 신성마을은 과거에 산제(山祭)를 지내던 곳으로 ‘산제뜸’이라고 했는데 방언에서 ‘제사’를 ‘지사’라고 불러 ‘산지뜸’이 되었다고 한다. 하작마을의 원래 이름은 ‘까치말’이었다. 예전에 이 마을에 까치가 많아서...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신지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오산면 오산리, 동쪽으로 익산시 오산면 남전리, 남쪽으로 만경강을 경계로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저산리와 김제시 청하면 동지산리, 서쪽으로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광교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신석리(新石里)의 ‘신’ 자와 광지리(光池里)의 ‘지’...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쌍제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발산리, 동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천동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황암(黃岩)저수지와 오룡(五龍)저수지가 쌍을 이루고 있다 하여 쌍제리(雙堤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어량리(漁梁里)라 하였다. 마을 앞에 내가 있어 비가 오면 하구에서 물고기가 많아 올라와 어살을 치고 잡았고, 물이 마를 때에도 근처에서 물고기를 잡던 곳이라 ‘고기똘’이라 하였다. 이를 한자로 표기한 것이 ‘어량(漁梁)’이라고 한다. ‘으랭이’, ‘어랭이’라고도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
호남 명칭의 유래와 익산의 황등호에 얽힌 이야기. 우리나라 전통 역사 및 지리 관련 기록에 나타난 광역 공간에 대한 표현은 삼국 시대 거점 중심의 성(城)을 지역의 명칭으로 사용하던 전통을 신라가 삼국 통일 이후 전국을 9주(州) 체제로 바꾸면서 본격적으로 나타났다. 즉, 신라는 고구려·백제를 통합한 후 685년(신문왕 5) 전국의 행정 구역을 9주·5소경으로 재조직하여...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여산동헌에 있는 수령 약 600년의 느티나무. 여산동헌의 느티나무에 대해서는 자세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지만, 동헌 주변에 느티나무와 팽나무 등 7그루가 있는 것으로 보아 여산동헌이 만들어질 때 심은 것으로 추측한다. 여산동헌의 느티나무는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여산리 여산동헌 서쪽 끝에 있으며, 수령은 약 600년...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여산리(礪山里)는 과거에 여산군 군내면(郡內面)의 행정 사무를 담당하던 치소(治所)가 있던 곳이었다. ‘여산(礪山)’이란 지명은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에서 한 자씩을 따 붙여 지어진 것으로 전해 진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주막리(酒幕里), 북변리(北邊里), 창전리(倉前里), 화류리(花柳里), 파청리(把靑...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면. 전라북도 익산시의 동부에 있는 면으로, 면 소재지인 여산리와 두여리, 원수리, 제남리, 태성리, 호산리 등 6개의 법정리를 두고 있다.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화산면, 서쪽으로 익산시 낭산면·금마면,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북쪽으로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과 접하고 있다. 여산(礪山)은 여량현(礪良縣)과 낭...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연동(蓮洞)마을의 이름을 따 연동리(蓮洞里)로 불리게 되었다. 연동은 본래 방죽이었던 연등동제(蓮等洞堤) 또는 연동제(蓮洞堤)가 있었던 지역이였다. 연등동(蓮等洞)은 ‘연들골’을 이두로 표기한 것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연동(蓮洞)과 석불(石佛), 채산(采山) 그리고 장항(長項)의 전체...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통합된 지역 중 평영리(坪永里), 만상리(萬上里)에서 한 자씩 따서 영만리(永萬里)라 하였다. 본래 전주부 서일면에 속하였으나, 1899년에 익산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연평리(蓮坪里), 내검리(內劍里), 신평리(新坪里), 평영리(坪永里), 장후리(獐後里), 만상리(萬上里)[만...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에 있었던 삼국 시대 사찰 터. 오금사지(五金寺址)는 오금사가 있었던 터를 말한다. 오금사(五金寺)는 백제 30대 무왕이 어린 시절 마를 캐던 곳에서 다섯 금덩이[五金]를 얻은 자리에 지은 절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오금사가 세 차례 언급된다. 「불우」 조에서 “오금사(五金寺)는 보덕성의 남쪽에 있다. 세상...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지형이 오룡쟁주형(五龒爭珠形)의 형태. 즉 다섯 마리의 용이 하나의 구슬을 놓고 다투는 모양이라 하여 오룡리(五龍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오룡리(五龍里), 제내리(堤內里), 구정리(九政里), 옥실리(玉實里)의 전체 지역과 더불어 사오랑리(沙五郞里)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삼기면...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오산리(五山里) 지명은 이 마을의 뒷산인 오산(鰲山)에서 유래하였다. 마을 뒷산 형태가 자라와 비슷하다고 생겨 자라뫼라 불렸고, ‘자라 뫼’를 한자로 표기하여 ‘오산(鰲山)’이 되었다. 이후 ‘오(五)’를 사용하여 ‘오산(五山)’으로 바뀌었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리(新里), 기린리(麒麟里), 신중리(新...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오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신동리, 동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천서리, 남쪽으로 봉개산,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삼포리와 접하고 있다. 과거 마을 일대에 오동나무가 많아 생긴 ‘오산(梧山)’이라 하였다는 설도 있고, 외딴 산이 있어서 ‘외산’이 ‘오산’으로 바뀌었다는 설도 있다. 본래 두촌면 지...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쌍제리,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삼례읍 신금리, 남쪽으로 완주군 삼례읍 삼례리, 후정리, 어전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쌍정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온수동(溫水洞)의 이름을 따서 온수리(溫水里)가 되었다. 온수리 일대의 샘물이 따뜻하다...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속하는 법정리. 와리(瓦里)는 과거부터 비옥한 충적평야를 보유하였고, 하천의 자갈, 모래, 진흙 등이 풍부해 기와 제작이 발달하였다. 기와의 방언인 지와를 통해 ‘지와말’, ‘지와골’이라 불리게 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지리(冬至里), 미력리(未力里), 삼양리(三陽里), 와리(瓦里)와 함께 두...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에 속하는 법정리. 과거에 기와를 굽던 곳이라 하여 ‘디새’[기와의 옛말]라 부르다가 이를 한자로 ‘와초(瓦草)’라 표기하였다. 본래 함열군 동일면(東一面)에 속하는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하와리(下瓦里), 신동리(新洞里), 간교리(艮校里)의 전 지역과 중와리(中瓦里), 상와리(上瓦里), 회선리(會仙里)의 일부가 통합되어 전라북...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는 왕궁면 최서단에 위치하였으며, 북쪽으로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창평리, 동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촌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평장리를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백제 때 왕궁이 있었다는 설에 따라 왕궁리(王宮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 용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동쪽으로 익산시 낭산면 구평리, 남쪽으로 익산시 삼기면 오룡리, 서쪽으로 익산시 함열읍 석매리, 흘산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이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반룡리(般龍里)과 한기리(閑機里)에서 각각 한 자를 빌려 용기리(龍機里)라 하였다. 반룡은 이 마을이...
-
전라북도 익산시에 속하는 법정면.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은 익산시의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구산리(九山里), 용성리(龍城里), 대조리(大鳥里), 흥왕리(興旺里), 화실리(花實里), 화배리(花盃里)를 관할하는 법정면이다. 북쪽으로 금강을 경계로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동쪽으로 익산시 망성면, 남쪽으로 익산시 함열읍,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과 접하고 있다....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용두리는 북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법성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난포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석동리와 접하고 있다. 용두리(龍頭里)는 용두산 앞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용두마을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용두(龍頭)’라는 명칭은 조선 성종 때 제작...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용성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구산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흥왕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송산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중심 마을의 명칭을 따 용성리(龍城里)라 하였다. ‘용성(龍城)’은 본래 ‘용성(龍星)’이라 썼다. 용성마을 동북편에...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순리(龍脣里)는 주변 산세가 용을 형상하고 있으며, 마을의 위치가 용의 입에 해당한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용순(龍脣), 신원(新院), 동변(東邊), 망동(望洞), 양촌(陽村)과 함께 서변(西邊), 신정(新井), 오자동(五子洞), 중왕(中旺)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금마면...
-
전라북도 익산시 삼기면에 속하는 법정리. 용연(龍淵) 지역은 본래 사제면(沙提面)이라 불렸는데, ‘사제’가 ‘용연’으로 바뀐 것에 관해 『익산군지』 향리기언에 다음의 이야기가 전한다.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仁祖)대 익산군수였던 이후원(李厚原)이 고을 선비였던 최덕원(崔德元), 소동도(蘇東道)와 함께 공부해 3명이 모두 과거에 급제한 뒤 ‘사제(巳梯)’라는...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내에 용이 살았다고 전해지는 연못인 용지(龍池)가 있어 용지리라 이름하였다. 함열군 동이면 지역으로 분류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대지리(大池里), 소지리(小池里), 병암리(屛岩里)가 통합되어 전라북도 익산군 함열면 용지리로 개설되었다. 1979년 5월 1일 함열면에서 함열읍으로 승격되어 전라북도 익...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용화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동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동봉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도순리, 서쪽으로 익산시 금마면 신용리, 동고도리와 접하고 있다. 용화리(龍華里)에 있는 용화산(龍華山)의 이름을 따서 지명이 만들어졌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사(新寺), 화곡...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웅포리와 충청남도 한산면 신성리를 잇는 나루터. 웅포 곰개나루는 익산시 웅포면에 위치한 나루터이다. 웅포면 일대는 조선 후기 상업과 수공업의 발달을 통해 크게 번성한 지역이며, 전국 5대 시장 중 하나이기도 했다. 곰개나루는 수운 기능을 기반으로 성장했는데, 일제강점기에 철도의 개설과 수운 기능의 약화로 점차 쇠퇴하다가 현대에 이르러 폐항하였다. 현재는 곰개...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웅포리는 웅포면 소재지이며, 북쪽으로 익산시 웅포면 고창리, 동쪽으로 익산시 함라면 금성리, 남쪽으로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 서쪽으로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연봉리와 접하고 있다. 웅포(熊浦)는 조선 시대 수운(水運)에서 중요한 항구로 기능하였으며, 당시 유명한 취락이었던 웅포[곰개나루...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원수리(源水里) 지역이 여산천(礪山川)의 상류에 위치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당시 자연마을이였던 연명리(延命里), 상양리(上陽里)·하양리(下陽里), 신막리(新幕里)의 전체 지역과 더불어 천동면(川東面) 내당리(內唐里)·외당리(外唐里), 남산리(南山里), 진사리(眞絲里)의 일부가 병합되어 전...
-
전라북도 익산시에 있는 이리역의 굴다리와 관련하여 안도현이 지은 현대시. 「이리역 굴다리」는 안도현의 시집 『모닥불』에 실린 시 작품이다. 안도현의 「이리역 굴다리」는 전통 서정의 정서를 통하여 가난한 서민의 감정을 그대로 옮겨 낸 작품이다. 안도현의 「이리역 굴다리」는 무연으로 된 현대 시 작품이다. 총 27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도현...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이병기 생가에 있는 수령 약 200년의 탱자나무. 이병기 생가의 탱자나무는 가람 이병기[1891~1968]의 고조할아버지가 1884년 전라북도 익산시로 이사오면서 집을 지었다는 기록이 있어 수령이 약 200년 이상 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1년 12월에 전라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2014년 5월 30일에...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 사곡마을에 있는 사당. 충렬사(忠烈詞)는 충무공 이순신을 중심으로 구한말 5열사인 이준·안중근·백정기·이봉창·윤봉길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제사는 매년 2월 25일 지방 유림들이 모여 지내고 있다. 이순신 장군[1545~1598]은 본관은 덕수, 시호는 충무공이다. 1591년 전라좌도수군절도사로 부임하여 1592년 임...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에 위치한 산림체험관. 익산산림문화체험관은 최북단 차나무 군락지가 위치한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에 위치한 산림체험관이다. 차나무를 통해 ‘웅포차’의 우수성을 알리는 한편, 산림자원을 이용한 공연과 체험프로그램 등을 진행하고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관광명소이다. 함라산에 위치한 익산산림문화체험관 주변에는 최북단 차나무 군락지가 있는데, 이 군락지는 기존...
-
전라북도 익산시와 김제시의 세무를 관할하는 국세청 산하 지방 세무 행정기관. 익산세무서는 전라북도 익산시와 김제시의 세금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익산세무서 청사는 익산시 남중동에, 익산세무서 김제지서 청사는 김제시 신풍동 494-20번지에 있다. 익산세무서는 납세자 보호, 민원, 부가가치세, 소득세, 소득 지원, 법인세, 재산세 등 세무 업무를 수행하...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익산향교에 있는 수령 약 500~600년의 은행나무. 익산향교의 은행나무는 익산향교[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5호] 외삼문 안에 자리하고 있다. 익산향교의 창건과 역사를 같이 한 은행나무로, 전라북도 기념물로 지정된 고목이다. 익산향교의 은행나무는 높이는 15~16m이고, 가슴 높이 둘레[...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장선리의 명칭은 이 지역에 있던 장선지(長善池)라는 못의 이름에서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반곡리(盤谷里), 신리(新里)를 포함하여 신흥리(新興里) 일부를 통합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망성면 장선리로 개설되었다. 1995년 5월 10일 익산군과 이리시의 통합으로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 장선리가 되었다...
-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성당면 장선리(長善里)의 명칭 유래는 크게 두 가지가 전해진다. 첫 번째, 장선리의 중심 마을인 장선마을 복판에 산등성이가 길게 뻗어 있어서 긴 산등성이라는 의미로 긴 산에서 ‘장산(長山)’으로, 이후 ‘장선’으로 이름이 변한 것이라고 전한다. 두 번째, 서북쪽에 위치한 뱀골[蛇山]이 기다란 뱀과 비슷하...
-
전라북도 익산시 오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장신리(長新里)라 하였다. 본래 전주부 서일면에 속하였으나, 1899년 익산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화개동, 가장리(可長里), 용궁리(龍宮里), 두문리(杜門里), 도교리(島僑里), 외검리(外劍里), 수항리(水項里), 장항리(獐項里)의 전체 지역과 더불어 장중리(獐中里), 신하...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여산군의 행정 중심지에서 천(川)을 건너(濟) 남쪽에 있다고 하여 제남리(濟南里)로 불렸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남변리(南邊里), 내상리(內相里), 외상리(外相里), 사현리(社峴里)와 하옥(下玉)이라 불리던 옥금동(玉今洞)의 전체 지역과 더불어 진사리(眞絲里), 남산리(南山里) 그리고 천동면(川東面)의 금곡...
-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웅포면 제성리는 북쪽으로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입포리, 동쪽으로 익산시 성당면 두동리, 남쪽으로 익산시 금마면 갈산리, 서쪽으로 익산시 웅포면 맹산리와 접하고 있다. 마을이 풍수적으로 상제봉조형(上帝奉朝形), 즉 옥황상제에게 조하(朝賀)를 올리는 형상을 띠고 있다고 하여 ‘제성(帝城)’이라는 명칭이 붙...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중신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용두리, 법성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창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송산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석동리와 접하고 있다. ‘중신(中新)’이라는 명칭은 익산시 용안면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어 지어졌으며, 조선 시대 평택임씨가 처음 터를 잡고 거주하면서 ‘중신’이...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창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용두리, 법성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난포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송산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중신리와 접하고 있다. 고려말~조선 시대에 국가 세곡미를 보관하던 창고인 득성창(得成倉)이 있던 마을이었는데, 창고를 의미하는 ‘창(倉)’ 자가 창성하다는 의미의...
-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춘포면 춘포리는 만경강 유역에 있으며, 동북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덕실리, 삼포리, 남쪽으로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석담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석탄리, 익산시 금강동과 접하고 있다. 과거에 이 지역은 배가 닿는 포구 역할을 하였다. 춘포리의 지명은 춘포(春浦)나루에서 유래하였다. 춘포의 본래 이름은...
-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안면 칠목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송산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남쪽으로 익산시 함열읍 남당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동지산리와 접하고 있다. 옻나무[柒木]가 많은 곳이라 하여 ‘칠목(柒木)’이라 하였다가 더 쉽게 쓰기 위하여 ‘칠목(七木)’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길목’이라는 명칭이...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현재의 여산면이 여산군 천동면에 속하였을 때는 대성리(戴城里)라 불렸으나 1914년 행정 개편 이후 ‘대(戴)’를 약자인 ‘台’로 바꿔 쓰게 되면서 ‘태성리(台城里)’로 읽게 되었다. 대성(臺城)은 마을 뒤의 상여봉이 대(臺) 혹은 성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으로 전해진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전동(磚洞), 신사리(新寺里...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평장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동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발산리, 서쪽으로 익산시 춘포면 창평리와 접하고 있다. 평장리(平章里)라는 이름은 이 지역의 들판을 평장들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관동(冠洞), 신기(新...
-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에 있는 조선 후기 노소. 노소란 오늘날의 경로당, 노인정과 같이 노인 등이 모여 쉴 수 있는 공간을 말한다. 그러나 조선 시대 노소는 단순히 공간적 기능뿐만이 아니라 지역 사회를 통솔하고 이끌어 가는 정치·사회적 기능도 담당하였다.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 수동마을의 함라노소는 1687년(숙종 13) 7월 건립되어 유서가 매우 깊다....
-
전라북도 익산시 함라면 함열리에 있는 조선후기 문신 허균의 유배 생활 추정터. 허균 유배지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문인인 허균(許筠)[1569~1618]이 과거 부정 사건에 연루되어 1611년(광해군 3)에 유배 생활을 한 곳이다. 허균이 전라북도 익산의 함열로 유배를 자원한 까닭은 함열 지역이 또 다른 생활의 근거지였던 부안과 인접한 곳이고, 당시 함열현감이...
-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호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여산면 태성리,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대치리, 남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비봉면 내월리, 익산시 여산면 원수리, 서쪽으로 익산시 여산면 제남리와 접하고 있다. 호산리(壺山里)의 명칭은 마을 인근의 천호산(天壺山)에서 유래하였다. 천호산은 호산(壺山)·문...
-
전라북도 익산시 낭산면에 속하는 법정리. 이 마을 안에 있는 산에 범의 머리 같이 생긴 ‘범바위[虎岩]’가 있어 그 산을 범바위산이라 불렀고, 이를 한자로 표기해 마을 이름을 호암리(虎岩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시목리(柿木里), 신동리(新洞里), 신안리(新安里)와 명천리(鳴川里), 돈산리(敦山里)의 일부를 포함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낭산면 호암리(虎岩...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배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흥왕리, 동쪽으로 익산시 망성면 어량리, 남쪽으로 익산시 낭산면 삼담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중심 마을인 화배마을의 이름을 따서 화배리(花盃里)라 칭하였다. ‘화배’라는 이름에 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
전라북도 익산시 망성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이 지역에 위치한 화산(華山)에서 이름을 따와 화산리(華山里)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신덕리(新德里), 나평리(羅坪里), 신암리(新岩里), 소포리(小逋里)와 두무리(斗舞里), 금지리(金池里), 화평리(花坪里), 신량리(新梁里)의 일부 지역을 포함하여 전라북도 익산군 망성면 화산리로...
-
전라북도 익산시 금마면 용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화산서원(華山書院)은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월주(月州) 소두산(蘇斗山), 인산(仁山) 소휘면(蘇輝冕), 죽유(竹牖) 황자후(黃自厚)를 배향한 익산의 대표적인 서원이다. 1654년(효종 5) 창건되고 1662년(현종 3) 사액되었다. 조선 예학의 대가인 김장생과 병자호...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와 익산시 용안면 송산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화배리, 흥왕리, 남쪽으로 익산시 낭산면 삼담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칠목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중심 마을인 화실마을의 이름을 따서 화실리(花實里)라 하였다. ‘화실(花實)’이라는...
-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속하는 법정리. 흘산(屹山)은 이 마을에 위치한 독산[石山]의 옛이름으로 원래 ‘멀메’라고 불렸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전라도 함열현 조에는 말흘산(末屹山)으로 기록돼 있는데, ‘크게 우뚝 솟아있는 산’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이 산의 이름을 따서 흘산리(屹山里)라 하였다. 본래 전라북도 함열군 동삼면에 속하는 지역이였으며, 1914년...
-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 흥암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광암리, 동쪽으로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구암리, 남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구덕리, 서쪽으로 익산시 왕궁면 평장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우북면 신흥리(新興里)의 ‘흥’자와 후암(後岩)의 ‘암’자를 따서 흥암리(興岩里)라 하였다. 1914년 행...
-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전라북도 익산시 용동면 흥왕리는 북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대조리, 용성리, 동쪽으로 익산시 용안면 송산리, 남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 화배리, 서쪽으로 익산시 용동면 화실리와 접하고 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중심 마을의 이름을 따서 흥왕리(興旺里)라 칭하였다. ‘흥왕(興旺)’은 가장 으뜸가는 마을이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