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655
한자 公州錦江鐵橋
영어의미역 Gongju Geumgang Iron Bridge
이칭/별칭 금강교
분야 지리/인문 지리,역사/근현대
유형 지명/도로와 교량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63|공주시 금벽로 368[신관동 553]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정금윤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6년 3월 2일연표보기 - 공주 금강철교 국가등록문화재 제23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 금강철교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공주 금강철교 국가등록문화재에서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변경
성격 교각
양식 철교
건립시기/연도 1933년 11월 25일경연표보기
높이 20m
길이 514m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63|공주시 금벽로 368[신관동 553]지도보기
소유자 공주시
관리자 공주시
문화재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서 금강을 가로질러 신관동전막으로 연결되는 철교.

[건립경위]

공주는 예로부터 서울과 전라도를 연결하는 육로·수로가 만나는 교통의 요지였다. 조선시대에는 충청감영이 공주에 설치되면서 교통·행정·군사적 요충지로 발전하였다. 이때 공주 지역에서는 금강을 건너기 위해 주로 나무로 만든 배를 연결하여 그 위에 판을 깔아 만든 ‘주교(舟橋)’, 즉 배다리를 이용하였다. 배다리는 비가 올 때 금강의 수량이 증가하면 통행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고, 대규모 화물이나 마차 등의 운반도 제한되었다. 1910년대에는 금강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교통 시설의 확충이 요구되었다. 1931년에는 충청남도 도청을 대전으로 이전한다는 결정이 내려지면서 공주 주민들은 도청 이전에 따른 보상을 요구하였다. 그 결과 금강철교의 설치를 비롯하여 농업학교와 사범학교 설립 등이 이루어졌다. 금강철교는 공주읍과 장기면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1932년 1월 2일에 착공하여 1933년 10월 23일에 준공되었다. 총공사비는 당시 돈으로 38만 원이었으며, 조선총독부 내무국 경성토목출장소에서 설계를 담당하였다. 이후 6.25전쟁 때 북한군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금강철교를 폭파하였는데, 전쟁 이후 1955년에 재건하였다.

[형태]

철교가 완공될 당시 길이는 약 514m, 폭은 6m였으며, 교각의 평균 높이는 약 20m였다.

[현황]

금강철교는1t 트럭 이하의 화물차량과 승용차급에 해당되는 차량의 강남에서 강북 방향으로의 일방통행만 허용하고 있다. 다리 상하에는 총천연색의 조명등을 가설하여 금강의 밤을 밝히고 있다. 2006년 3월 2일 국가등록문화재 제23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국가등록문화재에서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2026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되는 제2금강교가 건설되면 현 금강철교는 보행 전용교로 전환하여 공주 공산성 야간 탐방로와 관광객 관람 장소로 제공하는 등 관광자원으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한다.

[의의와 평가]

공주 금강철교는 1933년 준공 당시 한강 이남에서 가장 긴 다리였다. 당시 철교는 대부분 철도교였으나 금강철교는 도로교로 건설되었으며, 최첨단의 공법으로 건설되어 교량 건설의 새로운 장을 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교량사적 가치와 조형적 가치가 더해져 교량 연구의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공주 지역 근대 교통 발달 및 도시 발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