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235
한자 祭禮
영어의미역 Ritual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효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평생의례

[정의]

조상을 잊지 않고 기억하고자 다양한 의미를 붙여 지내는 의례.

[개설]

조상이 돌아간 기일(忌日)에 올리는 기제(忌祭), 햇곡이나 별식(別食)을 만들었을 때 지내는 차례(茶禮), 윗대 조상께 올리는 시제(時祭) 등이 있다.

[절차]

기제(忌祭)는 돌아가신 날을 당해 근심에 싸여 마음이 다른 일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일을 꺼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후손이라면 4대 봉사를 해야 하지만 근래에는 2대 봉사가 보편화하였다. 제를 올리는 이는 부정한 곳에 가지 않고 근신하며 제사를 주관해야 하는데, 만일 아이를 낳았다면 일주일 안에 드는 제사는 지내지 않는다.

시제(時祭)는 5대조 이상의 조상 묘를 찾아다니면서 지내는 제사로, 종중 단위로 베푼다. 산신제를 먼저 지내고 이어 묘소에서 조상께 치제를 지낸다. 산신은 조상을 모시고 계시므로 먼저 치제한다. 유교식 정숙형(靜肅型) 제사 방식으로 치제를 한 후 재실이나 고지기집에 모여 음복을 한다. 묘제를 지낼 때는 묘소에서 직접 음복하지 않으며, 문중 어른들은 밥과 반찬으로 차린 정갈한 상을 받지만, 나머지 종인들은 편의상 비빔밥으로 먹는다.

차례(茶禮)는 음력설이나 보름, 추석, 동지 등의 명절(名節)에 지내는 간이 제사이다. 유교식 예제에 없다고 하여 간략하게 베푸는데, ‘무축(無祝)에 단잔단배(單盞單拜)’라 하여 축문을 읽지 않고, 술도 한 잔만을 올리고 재배도 한 번만 한다. 예식은 간소하지만 지역적인 정서가 녹아 있는 속절(俗節)로 관련의례가 많이 있다.

명절 차례에는 유교의 대상이 되는 조상신(祖上神)만이 제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집안에서 모시는 성주, 터주 등의 가신(家神)도 제사의 대상이 된다. 명절 차례에서는 조상신보다는 가신을 먼저 위하였다. 떡국이나 오곡밥, 팥죽 등의 별식(別食)을 마련하면 먼저 성주께 받쳤으며, 이어 유교식 제사를 지냈다. 유교식 제사의 수용으로 퇴색되고 있기는 하지만 하나의 가정은 가신과 조상신이 돌보는 공간이라는 관념이 잘 살아 전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