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2146 |
---|---|
한자 | 下鳳里-旗告祀 |
영어의미역 | Sacrificial Rite for the Farming Flag of Habong-ri Dingpungmal Village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하봉리 딩풍말 |
집필자 | 구중회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장기면 하봉리 딩풍말에서 지내는 두레 관련 마을 제사.
[개설]
하봉리(下鳳里)는 글자 그대로 봉황새가 내려앉는 곳이라 한다. 혹은 하봉을 열두갬실이라 했는데, 여기서 갬실이란 개미의 실, 즉 개미알집을 가리킨다고 한다. 봉곡(鳳谷)이나 황골로 불리는 마을 이름도 모두 봉황새와 관련이 있다.
[신당/신체의 형태]
신체는 ‘신농사명(神農司命)’이라 쓰여진 기(旗)이다. 하봉리 딩풍말 농기는 제사를 주관하는 집 앞에 세운다.
[절차]
하봉리 열두갬실 중 다섯 개 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보름날에 기고사를 지낸다. 열두갬실 가운데 비교적 큰 마을에 속하는 황골, 하산, 동편말, 한미터굴, 별신당이 이에 해당한다. 이 중 하산에서는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뜻에서 기고사를 지낸다.
설을 쇠고 집집마다 형편이 닿는 대로 한 되에서 다섯 되 정도의 쌀을 거두어서 제비를 마련한다. 제를 지내기 위해서는 보름 안에 반장과 이장이 상의하여 제를 주관할 유사를 선정한다. 그 해에 집안에 초상 등의 부정한 일을 당하지 않아 깨끗하며, 우환이 없어 편안하고 재수가 있는 집으로 선정한다. 마을 사람들은 유사를 맡으면 그해에 재수가 있다고 하여 서로 맡으려고 한다.
일단 유사가 선정되면 이를 ‘유사 닿는 집’이라 하여 제를 지내기 전까지 조심하도록 미리 이야기를 해 둔다. 그날부터 유사 내외는 부부간에 동침을 하지 않으며 근신한다. 대문의 양쪽에는 황토를 세 무더기씩 놓아 부정한 사람의 출입을 금한다. 황토는 유사의 부인이 산에 가서 깨끗한 흙을 호미로 조심스럽게 파온다. 이때 금줄은 치지 않는다. 만일 제를 지내기 전에 유사의 부인이 월경을 하면 부정하다고 하여 그 집에서 떡을 찌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부탁한다.
유사는 제를 지내기 전날 밤 목욕재계를 하여 몸을 정갈하게 한다. 기고사를 지내기 위해서는 유사뿐만 아니라 마을 사람들도 부정한 곳에 가지 않는 등, 온갖 정성을 드린다. 만약 고사를 지내기 전에 마을에 초상이 나면 고사를 지내지 못하며, 이때에는 달을 물려 음력 이월 보름날 지낸다. 산고(産苦)가 있을 때에는 날을 일주일 물려 지낸다. 기고사를 지내기 하루나 이틀 전에는 각 마을의 우물을 품는다. 각 마을의 어른들이 물을 품을 것을 지시하면 청년들이 중심이 되어 물을 품어 우물을 깨끗이 한다.
열나흗 날에는 유사가 공주장에 가서 제물을 사온다. 이때 부정한 것을 보지 않은 깨끗한 사람 두세 명이 동행한다. 제물로는 시루떡, 삼색실과, 통명태, 소지종이 등이 사용된다. 이때 주민들은 ‘시루 위하는 것은 뭐고 팥고물이여’라는 말을 하는데, 이는 고사떡으로는 팥고물떡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떡은 예전에는 먹을 것이 없어 한 말 가량을 했으나, 지금은 떡을 잘 먹지 않으므로 닷 되를 한다. 또 ‘위하는 것은 눈이 없는 것은 안 한다’라는 말을 하는데, 통명태는 양쪽 눈이 빠지지 않은 것을 사용하며, 대가리가 위로 올라오도록 하여 시루 손잡이에 하나씩 꽂는다.
음력 정월 보름날 동이 틀 무렵이 되면 유사는 제의 준비를 하여 제장으로 간다. 제장은 마을의 한 가운데로 정해져 있으며, 이곳에 농기를 꽂는다. 농기 앞에 짚을 깔고 상을 차린다. 제에는 부정하지 않은 사람이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이날 유사는 바지저고리에 두루마기 차림을 해야 하며, 제사는 먼저 분향을 하고 잔을 올리고 재배하는 순으로 진행된다.
이때 술은 집에서 빚어서 사용하는데, 없으면 정종으로 대신한다. 이 때 축문은 읽지 않고, 소지는 각 가정의 대주소지를 올려 준다. 소지를 올릴 때에는 “○○○ 대주가 일 년 내내 신수 좋게 해 주십시오”라고 축원한다.
[부대행사]
기고사가 끝나면 풍장을 치는데, 그 소리를 들은 마을 사람들은 유사집으로 모여든다. 유사집에서 제물을 음복한 마을 사람들은 윷놀이 등으로 하루를 즐겁게 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