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612
한자 公州鄕校所藏資料
영어의미역 One´s Possession Material of Gongju County School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 184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근대
집필자 이해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고문헌
권수 약 20여 권
책수 총 8종류
간행처 공주향교
소장처 공주향교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 184 지도보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 공주향교에 소장되어 있는 향교 관련 고문헌.

[개설]

공주향교에는 향교의 역사나 운영 모습, 공주 지역사족의 사회적, 경제적 기반들을 파악할 수 있는 고문헌들을 소장하고 있다. 해당 고문헌으로는 향안(鄕案), 청금록(靑衿錄), 절목(節目)·완문(完文), 경제 관련 문서, 선생안, 유림계안, 석채록, 도기(到記)들로 총 20여 권이 남아 있다.

[편찬/발간경위]

공주향교 소장자료 중 향안과 청금록은 17세기 전반부터 19세기 후기에 이르는 300여 년의 기록으로 공주향교를 드나들었던 공주 지역의 사족 집안 인물들의 본관, 성명, 내력들이 기록되어 있다. 절목과 완문류, 경제 관련 문서들은 향교의 거접 유생들을 위한 경비 마련과 향교 운영, 그리고 제향 및 백일장 관련 등 향교 운영 방법이나 재정 관리 방법, 노비와 전답 등 향교의 운영을 원활하고 명확하게 하기 위해 향교의 유생들이 기록한 장부이다.

[형태]

공주향교 소장자료는 대부분 본문의 내용이나 글씨를 알아볼 수 있고, 해석이 가능한 정도로 양호한 상태이다. 그 중 향안 1권은 화재로 인해 문서의 4곽이 불타고 부분 부분이 결실되어 있다. 청금록은 총 6책이 있다. 절목·완목류로는 거접절목·견역청절목·민역청절목·백장절목·보폐절목 등 총 5종이 보관되어 있다. 경제 관련 문서류는 향교사기점인안, 향교척기제한안, 향교전답도조기·추수기, 노비안 등 4권이 남아 있다. 선생안으로는 도선생안과 읍선생안 2권이 남아 있다.

[구성/내용]

1. 향안

향안은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약 300여 년 동안의 기록으로 화재로 소실되고 부분부분 결실되어 정확한 연대를 추정하기 어렵다. 1685년(숙종 11) 개안된 것이 가장 빠른 시기에 개안된 것으로 본향·외향·처향의 삼향을 기준으로 입록을 허락하였다. 그러나 어느 시기부터는 삼향직서, 생진직서, 대부직서라는 구분이 보이기도 한다.

2. 청금록

1책은 연대 불명이나 대체로 1618년부터 1740년대의 기록임이 추적 가능하다. 서문에는 서원 선비들이 옮겨가서 향교와 서원의 위상이 뒤바뀌었음을 지적하는 내용과 4조 완의가 기록되어 있다. 본문은 김덕익(金德益)부터 오명형(吳命亨)까지 기록되어 있다. 2책은 청금록 1책이 개안된 것으로 보이나 최초의 기록 인물이 이번(李蕃)이라는 점이 다르며 1618년부터 입록된 연대가 기록되어 있다.

3~4책은 서문 없이 이통효(李通孝)부터 기록되어 있는데, 3책은 1754년에서 1818년 이범수까지, 4책은 1754년부터 임흥성까지 기록되어 있다. 5책은 1848년의 서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청금록의 작성이 50여 년간 중단되었음을 아쉬워하며 중수하였음을 기록하고 있다. 한여(韓璵)부터 오영진(吳永鎭)까지 기록되어 있다.

6책은 일제강점기의 것으로 1922년 직원 서병호, 장의 노경·유병각·강영주, 대동사문회 공주지회 이정현·조봉의의 서문이 있다. 입록의 자격, 기록 순서, 추입조항, 임원 택정과 삭적사항 등이 적힌 10조의 조례가 첨부되어 있으며 현조를 기록하고 있다. 신승휴(申勝休)부터 안기선(安基璇)까지 총 474명이 수록되어 있다.

3. 절목·완문

1) 거접절목(居接節目)은 1865년 오봉순(吳鳳淳)·임인규(林寅圭)·오상천(吳相天)이 쓴 서문이 있다. 서문에서는 충청감사 조득림(趙得林)이 1천금을 내고 공주판관 조병노(趙秉老)가 유림들을 구재하여 500금을 마련, 30마지기의 전답을 마련하였음을 적고 있다. 1887년에서 1889년에는 향교생 운영 내용, 식대, 찬대와 같은 운영비가 세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1889년 기록 중 당시 공주향교의 장학 기금액이 총 1,674량, 전답 61두락이었다는 것이 주목된다.

2) 견역청절목(蠲役廳節目)은 1782년 작성된 것으로 세금[役]의 감면에 관련된 절목인데, 서문과 9조목으로 되어 있다.

3) 민역청절목(民役廳節目)은 1801년 작성된 것으로 모두 17조목이 기록되어 있고, 말미에 1년 수입과 지출 내역이 소상하게 기록되어 있다.

4) 백장절목(白場節目)은 1852년 작성된 것으로 서문과 5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1850년 제정된 백일장(白日場) 거접절목(居接節目)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5) 보폐절목(補弊節目)은 1895년 작성된 것으로 노병원(盧柄元)의 서문이 있고, 모두 5조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공주향교의 재정이 고갈되어 강학이 부실하여짐에 따라 공주판관 박모(朴某)가 엽전 100금을 희사하여 보충한다는 내용이다. 1903년에는 노성군수겸충남봉세관이 전답 25마지기를 지원하여 향교에 부속시킨 기록도 있다.

4. 경제 관련 문서

1) 향교사기점인안(鄕校沙器店人案)

향교사기점인안은 기묘년으로 정확한 연대는 불명하나 19세기 후반기인 것으로 보이며 모두 10인으로 부명과 거주지가 밝혀져 있어 전통적인 사기장인들이 공주향교에 부속되어 그릇을 조달하였음을 알려 준다.

2) 향교척기제한안(鄕校滌器祭漢案)

향교척기제한안은 계미년으로 정확한 연대는 불명이나 앞의 자료와 함께 19세기 후반의 자료로 보여진다. 모두 21명의 명단이 거주지와 함께 기록되어 있으며 중간의 변동 상황이 첨가되어 있다.

3) 향교전답도조기(鄕校田畓都租記)·추수기(秋收記)

향교전답도조기·추수기는 향교의 전답 추수기류로 여러 종류가 전하는데, 시대가 가장 오래된 것은 1821년의 향교둔토수세기이다. 이 문서에는 이석연·박환오·노기익 등의 서문과 10조목이 기록되어 있고, 도조기·추수기·간추기(看秋記)가 별도로 있다. 1881년의 교안(校案)도 도조기인데, 모두 10조목으로 되어 있으며, 토지 관리와 도조액을 명시하고 있다.

4) 노비안(奴婢案)

노비안은 공주향교의 노비 명단으로 1881년의 향교노비관노비개도안(鄕校奴婢官奴婢改都案)에는 이름, 나이, 생년 간지가 기록되어 있다.

5. 선생안

도선생안(道先生案)은 1922년 직원 서병호의 서문이 있는 문서로 1414년 부임한 관찰사 김여지(金汝知)로부터 근대의 안응모까지 총 400여 명의 감사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읍선생안(邑先生案) 역시 1922년 직원 서병호의 서문이 있는데 1401년 부임한 목사 맹사성(孟思誠)부터 최근의 시장 박찬무까지 총 300여 명의 명단이 기록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공주향교 소장자료는 공주향교와 공주 지역의 유력한 사족 집안의 기반을 살피는 자료로, 조선시대 향교가 어떻게 운영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