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571
한자 大聖壇
영어음역 Daeseongdan
영어의미역 Alter for Confucian Sages in Gongju
분야 종교/유교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목동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춘진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단소(壇所)
건립시기/연도 1961년연표보기
관련인물 공자|주희|이이|김장생|이귀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목동리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목동리 돌마루마을 와룡산 정상에 에 있는 공자와 주희, 이이, 김장생, 이귀 등 5인을 제향하는 단소(壇所).

[건립경위]

대성단은 유교의 조종(祖宗)인 공자의 인의예악(仁義禮樂) 사상을 추모하기 위하여1960년에 송석(松石) 이병연(李秉延) 등이 통문을 돌려 인근 지역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건립하기 시작하였다. 8월 3일에 이인면 목동리 와룡산에 공자의 단부터 축단하였고, 이듬해 4현의 단을 건축하여 1961년 봄에 준공하였다. 음력 4월 3일을 제향일로 정하여 함흥의 문회서원(文會書院)과 강릉 오봉서원(五峯書院)의 예에 따라 향사를 올렸다. 일반적으로 향교나 서원에서는 선현에 대한 제향을 위해 사우를 건립하고 위패를 봉안하여 제사를 올리는 데 반해, 대성단은 위패 대신 제단을 설치하여 묘제를 지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런 방식의 향사는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보기 드문 사례이다.

대성단의 명칭은 이병연이 증조부 이용하(李用夏)가 찬술한 『삼성록(三成錄)』에서 공자, 주자, 이이가 각각 성인의 학문, 현인의 학문, 선비의 학문을 모아 대성했다는 데서 비롯되었다. 이병연은 증조부의 정신을 계승하면서도 자신이 찬술한 『대성단전말기(大成壇顚末記)』에서 김장생은 예학으로 대성하였고 이귀는 명륜으로 대성하였으므로 위패를 삼성(三聖)[공자, 주희, 이이]의 아래에 김장생이귀를 제향한 이유를 밝혔다. 대성단에서는 최근까지도 음력 4월 3일에 이병연의 후손과 마을 사람들이 대성단 제향에 참여하여 제를 올리고 있다.

[위치]

공주시청에서 봉정 교차로를 지나 국도 40호선을 타고 3.5㎞ 가면 주봉 교차로가 있다. 여기에서 이인면소재지를 지나 2㎞ 정도 가면 목동리가 나온다. 대성단은 목동리 돌마루마을 와룡산 중턱에 있다.

[형태]

대성단은 정단과 별단으로 구성되었는데, 정단에는 공자를 모시고 별단에는 주자, 이이, 김장생, 이귀의 순서로 가묘와 단을 설치하였다. 각 제단에는 묘표 상석, 향로석이 설치되어 있다. 단소의 입구에 대성단 기적비를 세웠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