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543
한자 天眞寶塔
영어의미역 Tower Shaped Natural Hermitag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탑과 부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53[중장리 산47-1]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이왕기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천진보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천진보탑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천진보탑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성격 불탑
재질 화강암
높이 10m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53[중장리 산47-1] 지도보기
소유자 공주시
관리자 공주시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신흥암 뒤에 있는 자연 석탑.

[개설]

자연스럽게 생긴 높은 바위가 마치 석탑과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불교적인 전설과 결합되면서 천진보탑이라는 명칭이 붙여지게 되었다. 천진보탑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68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건립경위]

천집보탑에 얽힌 전설에 의하면 석가모니 부처가 열반한 후 인도 아소카 왕이 구시나가라국에 있는 사리탑에서 부처의 사리 8곡(斛) 4두(斗)를 발견하였다고 한다. 이를 시방 세계에 나누어줄 때 사천왕 가운데 북방을 담당한 비사문천왕(毘沙門天王)을 계룡산에 보내어 천연 석탑 안에 사리를 두었는데, 백제 구이왕 때 아도화상이 이 사리를 발견하여 천진보탑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를 계기로 갑사를 창건하게 되었다고 한다.

[위치]

갑사 뒤쪽 정동쪽 방향으로 약 1.3㎞ 정도 떨어진 높은 산 중턱에 높이 솟아 있는 자연 상태의 바위이다. 근처에 신흥암이 있다.

[형태]

바위가 중첩되어 높이 쌓은 탑과 같은 모습이다.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생긴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