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노이형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723
한자 盧以亨
영어음역 No Yihyeong
영어의미역 No Yihyeong
이칭/별칭 대래(大來),무척와(無慽窩)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목천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수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신
출신지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목천리
성별
생년 1694년연표보기
몰년 1760년연표보기
본관 만경(萬頃)
대표관직 함경도도총관

[정의]

조선 후기 충청남도 공주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만경(萬頃). 자는 대래(大來), 호는 무척와(無慽窩)이다. 충신 노응환(盧應晥)의 5대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노현급(盧賢及), 할아버지는 노결(盧潔), 아버지는 노언상(盧彦相)이다. 어머니는 풍천임씨로 임강(任矼)의 딸이다.

[활동사항]

조선 후기의 유학자인 도암(陶庵) 이재(李縡)[1680~1746]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1725년(영조 1)에 과거에 급제하였다. 집안이 본래 궁색하였으므로 관리로서의 녹봉을 받으면 모두 부모에게 드리고 허락을 받아 사용하였으며, 사직한 후에는 낚시질을 하여 부모를 봉양하였다고 한다.

1728년 무신년(戊申年)에 난이 일어나자 공주향교로 달려가 향중에 통문을 돌려 의병을 모으던 중에 반군이 평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만두었다. 1730년 오수찰방으로 있을 때 자신의 녹봉으로 관내의 빈민들을 구제하는 등 선행을 베풀었으므로 백성들이 고을 감사와 어사에게 오찰방이 더 오래 머물러 있도록 청하기도 하였다.

이후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거쳐 1734년(영조 10) 예조좌랑(禮曹佐郞)에서 예조정랑(禮曹正郞)으로 승격하였으며, 이후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注官)을 거쳐 신창현감을 지냈다. 1739년(영조 15)에 종묘령(宗廟令)·영희전령(永禧殿令)을 지내고 공조좌랑(工曹佐郞)과 함경도도총관을 역임하였다. 1760년(영조 36)에 운산촌에서 67세로 세상을 떠났다.

추월헌(秋月軒) 이광석(李光錫)이 지은 노이형의 행장에 따르면, 노이형이 이순보(李醇甫)와 함께 고향인 공주 운산(雲山)에 운산서숙(雲山書塾)을 열고 후학을 교육하였다고 한다.

[저술 및 작품]

『무척와집(無慽窩集)』이 있다.

[묘소]

묘소는 충청남도 공주시 월미동 고조개(古鳥介)에 있다.

[상훈과 추모]

죽은 후 생전에 후학을 교육하던 운산서숙(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목천리)에 영정을 봉안하였다. 이후 운산서원으로 개칭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