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등산 봉수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590
한자 高燈山烽燧臺
영어의미역 Beacon Fire Station of Godeungsan Mountain in Bukgye-r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북계리 산 36-1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춘진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7년 6월 5일연표보기 - 고등산 봉수대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기념물 제1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고등산 봉수대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기념물 제13호에서 공주시 기념물로 변경
성격 봉수
건립시기/연도 조선시대
높이 2.5m
길이 5m
둘레 78m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북계리 산36-1 지도보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북계리 봉화산에 세워진 조선시대 봉수.

[개설]

고등산 봉수대공주시 옥룡동월산성 봉수대에서 연결받은 봉화를 북쪽에 있는 쌍령산 봉수대로 연결하는 봉수이다. 고등산 봉수대는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서는 확인되지 않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처음 보인다. 이후 『여지도서(輿地圖書)』, 『충청도읍지(忠淸道邑誌)』, 『호서읍지(湖西邑誌)』에서도 모두 동일하게 확인된다.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독성이 봉수로 확인되며 독성 봉수가 청주 지역으로 연결되어 있다. 독성이 과연 고등산인지를 불분명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이후 월성산 봉수대에서 이어 받은 봉수는 천안 방향으로 연결되면서 봉수의 노선이 변경되었고, 이러한 노선은 19세기 말까지 지속적으로 이어졌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따르면 고등산 봉수대는 제5로 봉수의 간선에 자리하고 있다.

[위치]

정안면 북계리의당면 두만리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해발 184m의 봉화산 정상에 있다.

[형태]

봉수대는 둘레 78m의 둥근 석축의 형태이며, 석축 북쪽에 원형의 고대가 설치되어 있다. 고대는 직경 5m, 높이 2.5m 정도로, 비록 퇴락하였지만 봉수지 자리로 추정되며, 봉수 시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대 앞 평평한 대지에 봉수와 관련된 건물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 민가 1채가 남아 있어 원형을 파악하기 어렵다. 석축의 남쪽에 출입구 흔적이 있으며 폭 2m로 계측된다.

[현황]

봉수지 내에 비록 잡초가 우거져 있으나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고등산 봉수대는 1997년 6월 5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13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조례에 따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에서 공주시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공주 지역에 남아 있는 세 개의 봉수를 이어주는 중간 지점에 있는데, 조선시대 통신 체계를 추측할 수 있는 단서가 되고 있다. 또한 타 지역과 공주 간의 연결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