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대부터 현대까지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 부처의 가르침을 따르며 수행하는 종교.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는 불교가 보급되면서 일찍이 사찰이 건립되었다. 전승되는 기록이나 남아 있는 유물을 통하여 당시 밀양 지역의 불교가 융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찰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중산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 대법사(大法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의 비구니 선원이다. 대법사 경내에 있는 모과나무는 사명대사가 묘향산으로 들어갈 때 짚고 있던 지팡이를 꽂아 둔 것이 자라나 잎을 피웠다는 전설이 있다....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만어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소속 사찰. 만어사(萬魚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의 말사이다. 만어사는 삼국시대 금관가야의 시조인 수로왕이 46년에 창건하였다는 기록이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고 있으며 한국 고대 불교의 남방 전래설을 뒷받침하여 주는 전통 사찰이다....
-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소속 사찰. 무봉사(舞鳳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의 본사인 양산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무봉사 대웅전 안에는 1969년 보물로 지정된 밀양 무봉사 석조여래좌상(密陽舞鳳寺石造如來坐像)이 봉안되어 있다. 무봉사는 밀양 제1경으로 꼽히는 밀양 영남루 바로 옆에 있어 경치가 빼어나기로 유명하며 무봉사 가까이에는 작곡가 박시...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희곡리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 사찰. 보리암(菩提庵)은 1999년 부산에 거주하던 보명 보살이 신몽을 꾸고 창건하였다. 꿈에 동자가 나타나 창건주를 사찰 내의 대웅전이 들어선 곳으로 이끌었다고 한다. 보리암이 자리한 곳은 일찍부터 명당으로 알려진 보라마을 승학산(乘鶴山) 아래 용두목의 대나무밭이었다....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안태리에 있는 한국불교태고종 소속의 전통 사찰. 천태산 중턱에 자리 잡고 있는 부은사(父恩寺)는 가야시대에 건립되었다고 전하여지며, 밀양에서 가장 규모가 큰 태고종 사찰이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860년(철종 11) 복원되었다고 전한다. 부은사의 주 불전인 천불보전에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밀양 부은사 석조아미타불좌상(密陽父恩寺石造阿彌陀佛坐像...
-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원서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소속 사찰. 석골사(石骨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의 본사인 양산 통도사의 말사이며 밀양시 산내면 운문산 깊은 계속에 자리하고 있다. 석굴사(石窟寺)라고도 하며, 노전사(老殿寺), 석동사(石洞寺)라는 다른 명칭도 전한다....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행곡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 여여정사(如如精舍)는 1990년 금오산 자락 계곡 안쪽의 26만 4000㎡의 부지에 건립된 현대식 사찰이다. 여여정사에는 국대 최대 규모라고 알려진 자연 동굴 법당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밀양 여여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密陽如如精舍木造觀音菩薩坐像)이 있다....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가례리에 있는 화쟁교원 소속 사찰. 영산정사(靈山精舍)는 한국의 진귀한 불교 문화재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불교문화를 접할 수 있는 사찰이며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인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密陽靈山精舍古佛書)와 밀양 영산정사 석조여래좌상(密陽靈山精舍石造如來坐像)을 소장하고 있는 사찰이다. 영산정사에는 2020년 완공된 세계 최대 규모의 와불이 조성되어 있어 불교...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재약산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소속 전통 사찰. 표충사(表忠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임진왜란 때 승병(僧兵)을 일으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사명대사(四溟大師)의 충훈(忠勳)을 추모하기 위하여 세운 표충사당(表忠祠堂)과 서산대사, 사명대사, 영규대사의 충열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표충서원(表忠書院)이 있...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일제강점기 법당. 밀양 표충사 대광전(密陽表忠寺大光殿)은 표충사의 주 불전(佛殿)으로 석가여래, 약사여래, 아미타여래 삼존불을 봉안하고 있는 단층 다포식 팔작지붕 기와집이다. 1974년 12월 28일 표충사 대광전이라는 명칭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밀양 표충사 대광전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의 조선 후기 대방 건물. 밀양 표충사 만일루는 표충사의 대방(大房) 건물이다. 대방은 요사(寮舍)의 중심 건물로 스님들이 참선, 설법, 식사 등 여러 용도로 사용하던 공간이다. ‘무량수각(無量壽閣)’ 또는 ‘서래각(西來閣)’이라고도 불린다. 선방(禪房) 48칸과 약 108평[약 357㎡]의 부지는 48가지 원(願)을 세우고 108가지의 번뇌에서...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밀양 표충사 명부전(密陽表忠寺冥府殿)은 지장보살과 시왕상을 모신 불전으로 저승의 유명계를 상징하는 불교 건축물이다....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불전. 팔상전은 석가모니의 생애를 하천(下天), 탁태(託胎), 강탄(降誕), 출가(出家), 강마(降魔), 성도(成道), 전법륜(轉法輪), 입열반(入涅槃) 등 여덟 가지의 모습으로 나누어 표현한 탱화와 석가모니불을 봉안한 불교 건축물을 일컫는다. 밀양 표충사 팔상전(密陽表忠寺八相殿)은 석가모니불을 모시고 있으며, 탱화는 현존하지 않는다....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행곡리에 있는 암자. 해선암(海仙庵)은 1990년 정서목이 창건하였다. 부산에 거주하던 창건주 정서목이 신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부산 금정산 만덕에서 13년 동안 기도하다가 밀양 천태산의 마고할미를 찾아가라는 신몽을 꾸고 해선암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주(主) 요사채로 사용하는 집은 180여 년된 가옥이라고 한다. 해선암의 모든 기도 관련 건물은 창건주가 직접...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 소속의 전통 사찰. 홍제사(弘濟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의 본사인 양산 통도사의 말사이며 전통 사찰 제59호로 지정되었다. 홍제사에는 사명대사비라고도 불리는 밀양 표충비가 세워져 있다. 나라에 국난이 있을 때마다 ‘땀 흘리는 비’로 알려진 밀양 표충비는 1742년(영조 18) 사명대사의 뜻을 기리기 위하여 사명대사...
절 터
-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에 있는 사찰 터. 영원사(瑩源寺)는 사찰의 이름은 전해지고 있으나, 창건 연대와 폐사 연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것이 없다. 다만 금석문 및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몇몇 문헌에만 존재가 알려져 있다. 현재 영원사 터에는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승탑(密陽瑩源寺址寶鑑國師僧塔)과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묘응탑비(密陽瑩源寺址寶鑑國師妙應塔碑)가 있다....
불상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만어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석조 불상. 밀양 만어사 석조여래좌상(密陽萬魚寺石造如來坐像)은 만어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석조 불상이다. 2019년 8월 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57호로 지정되었으나,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 무봉사에 소장되어 있는 통일 신라의 불상. 무봉사(舞鳳寺)는 통일신라 때 법조대사가 영남루(嶺南樓)의 전신인 영남사(嶺南寺)의 부속 암자로 창건하였다. 밀양 무봉사 석조여래좌상(密陽舞鳳寺石造如來坐像)은 원래 영남사지(嶺南寺址)에 전하여 오던 것을 무봉사로 옮겨 온 것이다. 원래 대좌와 광배(光背)가 없었는데, 근처에 땅속에 묻혀 있던 광배를 불상에 붙이고 대...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안태리 부은사에 소장되어 있는 석조아미타불좌상. 밀양 부은사 석조아미타불좌상(密陽父恩寺石造阿彌陀佛坐像)은 조선 후기 불상으로 재료는 불석(佛石)이다. 전체적으로 큰 얼굴에 어깨는 좁은 편이며 신체에 비하여 무릎이 높은 편이다.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이며 둥근 머리에는 중간(中間) 계주(髻珠)와 정상(頂上) 계주를 표현하였다. 오른손은 촉지인을, 왼손은 설...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행곡리 여여정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보살상. 밀양 여여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密陽如如精舍木造觀音菩薩坐像)은 원래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 범어사에서 소장하고 있었는데, 여여정사가 2008년 개창되면서 옮겨졌다. 2009년 3월 5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77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유...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가례리 영산정사에 소장되어 있는 통일신라 불상. 밀양 영산정사 석조여래좌상(密陽靈山精舍石造如來坐像)은 현재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가례리의 영산정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결가부좌로 앉아 왼손에는 약함(藥函)을 들고 있어 약사여래상임을 알 수 있다. 약사여래는 중생의 아픈 곳을 치료하여 준다는 의미로 약사유리광여래(藥師琉璃光如來) 또는 대의왕불(大醫王佛...
-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남명리 천황사에 소장되어 있던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밀양 천황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密陽天皇寺石造毘盧遮那佛坐像)은 통일신라 때 석불 좌상이다. 머리 부분과 두 손이 파손되었지만 우아하고 사실적인 형태와 생동적인 양감을 표현하고 있어 8세기 중엽 석굴암 불상과 같은 사실적이면서도 이상적인 모습을 잘 계승하고 있다. 1994년 10월 17일 밀양 천황사 석불좌상이라...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 좌상. 밀양 표충사 목조관음보살좌상(密陽表忠寺木造觀音菩薩坐像)은 표충사 호국박물관 입구 정면에 있는 단독 유리 진열장 내 8각의 목조 대좌 위에 봉안되어 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승병장인 사명대사가 진중(陣中)에서 원불(願佛)로 모시기도 하였고, 회답겸쇄환사(回答兼刷還使), 즉 강화사(講和使)로 일...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삼존불상. 밀양 표충사 목조석가삼불좌상(密陽表忠寺木造釋迦三佛坐像)은 밀양 표충사 대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삼존불상이다. 석가모니좌상을 주존으로, 협시불로 왼쪽에 약사여래, 오른쪽에 아미타여래로 구성되어 있다. 준엄한 모습과 당당한 체구에 표현 기법이 뛰어난 작품으로 조성 시기는 18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며 규모가 큰 대작...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상. 밀양 표충사 목조지장상 및 석조시왕상(密陽表忠寺木造地藏像및石造十王像)은 밀양 표충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다. 2008년 1월 1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9호로 지정되었다가, 이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조선 후기 보살상. 밀양 표충사 석조보살좌상(密陽表忠寺石造菩薩坐像)은 2008년 1월 10일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27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고려 전기 불상. 밀양 표충사 석조석가여래좌상(密陽表忠寺石造釋迦如來坐像)은 밀양 표충사 팔상전(八相殿)의 주존(主尊)으로 중앙 수미단 위에 봉안되어 있고, 석가여래후불도를 배경으로 앉아 있다. 2008년 1월 10일에 표충사 석조석가여래좌상이라는 명칭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58호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밀양 표충사...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보살상. 밀양 표충사 석조지장보살반가상(密陽表忠寺石造地藏菩薩半跏像)은 손상 없이 완형으로 표충사 호국박물관 내에서 소장하고 있다. 그러나 복장물이 흩어졌다는 것은 다소 아쉬운 점이다. 2008년 1월 1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61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
불화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만어사에 있는 1880년에 그려진 아미타오존도. 「밀양 만어사 아미타오존도(密陽萬魚寺阿彌陀五尊圖)」는 1880년 정행(正涬), 정첨(正添)에 의하여 조성되었는데, 안정된 화면 구성과 세련된 필선, 비례를 잘 갖춘 인물 표현이 돋보이는 불화이다. 2019년 8월 1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655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 어울암에 있는 근대 개항기 불화. 「밀양 어울암 칠성도(密陽어울암七星圖)」는 1893년 화승(畵僧) 증언(證彦)·인우(仁雨)·일원(日圓)에 의해 제작된 탱화로 치성광여래삼존 및 칠성여래의 정연한 화면 구성과 개성있는 성군 표현에서 화승의 세밀한 필치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2019년 8월 1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58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
-
경상남도 밀양시 가곡동 용궁사에 있는 1749년 혜식이 그린 고승 진영. 「밀양 용궁사 대송당 묘원 진영(密陽龍宮寺對松堂妙圓眞影)」은 1749년 화승(畵僧) 혜식이 그린 묘원선사의 초상화로 가부좌를 한 전신상이다. 2014년 1월 23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6호로 지정되었다. 이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요고리 운주암에 있는 1890년에 그려진 신중탱화. 신중탱화는 의식도량을 청정하게 할 뿐만 아니라 사찰 및 전각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는 탱화이다. 「밀양 운주암 신중탱(密陽雲住庵神衆幀)」은 화면 하단 묵서 화기를 통하여 1890년 4월 표충사에서 제작하여 이후 운주암으로 옮겨진 탱화임을 알 수 있다. 2008년 5월 22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48호로 지...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율동리 정혜암에 소장되어 있는 아미타여래가 설법하는 모습을 묘사한 조선 후기 불화. 「밀양 정혜암 아미타불회도(密陽定慧庵阿彌陀佛會圖)」는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탱화로 아미타여래와 협시보살 및 아난존자와 가섭존자를 표현한 흑지 바탕에 백선으로 그린 선묘불화이다. 2015년 1월 15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89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고승 진영 및 감로도. 「밀양 표충사 고승 진영 및 감로도(密陽表忠寺高僧眞影및甘露圖)」는 25점의 고승 진영과 1점의 감로 탱화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사명대사 진영과 서산대사 진영, 기허대사 진영은 현재 표충사 내의 표충사(表忠祠)에 봉안되어 있는 진영으로 봄과 가을로 제향을 봉행하고 있다. 그 외의 진영은 표충사...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호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근대 개항기 탱화. 「밀양 표충사 대원암 조왕도(密陽表忠寺大願庵竈王圖)」는 단독의 조왕(竈王)을 묘사한 탱화이며, 화기를 통하여 1903년(고종 40) 표충사 내원암에서 조성하여 표충사 대원암으로 옮겨 봉안한 유래를 확인할 수 있다. 2008년 1월 1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30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호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900년에 그려진 불화. 「밀양 표충사 대원암 칠성도(密陽表忠寺大願庵七星圖)」는 1900년 부산광역시 동래구 금정산 미륵암에서 화사(畵師) 경수(敬秀)에 의해 제작되어 표충사 대원암으로 옮겨 온 탱화로 안정된 채색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2008년 1월 10일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431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봉안되어 있는 1882년에 그려진 아미타구품도. 「밀양 표충사 아미타구품도(密陽表忠寺阿彌陀九品圖)」는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에 근거하여 아미타불의 서방 극락 세계를 묘사한 그림으로, 극락에서 설법하는 아미타삼존과 중생들의 왕생 장면, 설법을 듣기 위하여 모여드는 시방제불 및 청중 등을 그렸다. 원래 극락의 모습은 왕생인(往生人)의 근기(根...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1861년에 그려진 아미타불회도. 「밀양 표충사 아미타불회도(密陽表忠寺阿彌陀佛繪圖)」는 면본채색(綿本彩色)에 액자 형태로 제작된 탱화로 아미타불을 주존으로 하고 좌우에 6대보살과 6대제자, 사천왕, 2금강을 묘사하고 있다. 2008년 1월 1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68호로 지정로 지정되었다. 2018년 12월 20일 「표충사 아미타...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1885년에 그려진 아미타삼존도. 「밀양 표충사 아미타삼존도(密陽表忠寺阿彌陀三尊圖)」는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대광전 내부 향우측 불단 위에 견본채색(絹本彩色)의 액자 형태로 봉안되어 있는 탱화이다. 화면 중앙에 입상의 아미타불을 본존으로 하고, 본존 좌우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협시로 묘사하였는데, 일종의 아미타내영도와 같은 성...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1858년에 그려진 지장보살도. 「밀양 표충사 지장보살도(密陽表忠寺地藏菩薩圖)」는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지장보살상 및 석조시왕상 등과 함께 1858년 성주(聖注), 정환(定煥), 덕예(德藝), 오연(悟演) 등이 조성하였다. 규모도 큰 편이고 좋은 안료를 사용하여 세밀하게 묘사한 격조 높은 탱화이...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호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8폭의 조선 후기 병풍. 임진왜란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는 일본을 장악하고 쓰시마를 통하여 조선과의 국교 재개를 희망한다는 내용을 조선으로 전달하였다. 또한 1603년 사쓰마[薩摩][현재 가고시마 지역]에서 억류되어 있다가 귀국한 김광(金光)은 일본의 국교 재개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일본은 다시 전쟁을 일으...
불교문서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가례리 영산정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불전 중심의 조선시대 고전적. 밀양 영산정사 고불서(密陽靈山精舍古佛書)는 조선시대 불교계에서 중요하게 여긴 불전이 대부분인 33종 52권의 고전적이다. 강원 이력 과정의 교재, 선 문헌, 신앙과 의례, 승려 문집 등으로 나누어진다....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소장되어 있는 사명대사와 사명대사의 가족들에게 내려진 교지. 밀양 표충사 사명대사 관련 교지(密陽表忠寺四溟大師關聯敎旨)는 총 7점으로 사명대사에 내려진 교지 1점, 아버지 임수성(任守成)에게 내려진 교지 2점, 어머니 서씨(徐氏)에게 내려진 교지 1점, 할머니 박씨(朴氏)에게 내려진 교지 1점, 증조할아버지 임효곤(任孝昆)에게 내려진 교지 1...
불교유물
-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 영천암에 봉안되어 있는 원나라 양식의 중국 종. 밀양 백운사 범종(密陽白雲寺梵鐘)은 중국 원나라 때 제작된 철로 만든 종으로 한국 종과는 재료와 구조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1972년 2월 12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7호로 지정되었으며,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에 있는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에서 출토된 사리 장엄구 일괄.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密陽表忠寺三層石塔出土遺物一括)은 1995년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해체 보수 과정에서 탑신부와 기단부에서 출토된 금동 불상과 사리함, 청동탑 편, 상평통보, 개수기비 등의 유물을 말한다. 2017년 10월 31일 보물 제194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 호국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유물. 밀양 표충사 유물(密陽表忠寺遺物)은 사명대사(泗溟大師) 유정(惟政)과 관련한 문서를 비롯하여 조선 후기 표충사에서 사용한 유물로 총 19건 82점이다. 1993년 12월 27일에 표충사 소장유물이라는 명칭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93호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밀양 표충사 유물로...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사명당 유정의 활약상을 담은 실기를 판각한 책판. 밀양 표충사 송운대사 분충서난록 목판(密陽表忠寺松雲大師奮忠紓難錄木板)은 1739년(영조 15) 표충사에서 간행된 『송운대사 분충서난록(松雲大師奮忠紓難錄)』의 목판이다. 송운(松雲)은 사명당(泗溟堂) 유정(惟政)의 또 다른 법호(法號)이다. 5대 법손인 태허(太虛) 남붕(南鵬)의 주도로 표...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표충사와 사명대사의 활동에 관한 내용을 새긴 조선 후기 목판. 밀양 표충사 제영록 목판(密陽表忠寺題詠錄木板)은 임진왜란으로 조선의 국운이 존망의 위급에 처했을 때 사명당(四溟堂) 송운(松雲)이 의승병을 모아서 세운 전공과 산성 수축이나 승군 수습 등의 활동 및 표충사의 건립에 관한 사실 등을 알 수 있는 자료로 총 34판으로 구성되어 있...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소장되어 있는 사명대사 유정이 입었던 조선 후기 가사와 장삼. 사명대사의 금란가사와 장삼(泗溟大師의錦襴袈裟와長衫)은 사명대사 유정[1544~1610]이 입었던 가사와 장삼이다. 장삼은 검은색이나 흰색으로 만든 길고 소매가 넓은 승복이다. 가사는 승려들이 입던 법의(法衣)로 장삼을 입고 장삼 위에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 후기의 향완. 향완(香垸)은 절에서 마음의 때를 씻기 위해 향을 피우는 데 사용하는 도구로서 향로라고도 부른다.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表忠寺靑銅銀入絲香垸)은 1957년에 처음 발견되었고, 1962년 12월 20일에 국보 제75호로 지정되었다. 그 후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국보 지정 번...
탑과 부도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만어사에 있는 고려 후기 삼층석탑. 밀양 만어사 삼층석탑(密陽萬魚寺三層石塔)은 단층 기단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기단부는 4매의 판석으로 이루어진 지대석과 4매의 돌로 구성된 면석, 2매의 석재로 구성된 갑석으로 조성하였다. 탑신부는 옥신석과 옥개석이 각각 1석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각 층 옥신에는 우주가 모각되어 있다. 옥개 받침...
-
경상남도 밀양시 청도면 소태리 천죽사에 있는 고려시대 오층석탑. 밀양 소태리 오층석탑(密陽小台里五層石塔)은 1109년(예종 4)에 건립된 오층석탑이다. 전형적인 방형의 신라 탑과는 달리 단층의 기단(基亶) 위에 5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기단 구성의 형식이 독특하고 탑신(塔身)에서도 특색이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기단 각 면에는 안상(眼象)이 2구씩 새겨져 있고, 탑신은 1층...
-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숭진리에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 밀양 숭진리 삼층석탑(密陽崇眞里三層石塔)은 단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기단은 각면에 양 우주는 있으나 탱주는 표현하지 않았다. 탑신부는 3층의 옥신과 옥개석을 각각 한 돌로 조성하였는데 2층 옥개와 그 위의 3층 옥신은 한 돌로 조성한 점이 특징이다. 각 층 옥신에는 우주가 모각되어 있으며 옥...
-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영원사지에 있는 보감국사 혼구의 탑비.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묘응탑비(密陽瑩源寺址寶鑑國師妙應塔碑)는 고려 후기의 고승 보감국사 혼구(混丘)[1251~1322]가 입적한 후 보감국사의 행적을 기록한 비석으로 비신은 잃어버렸고 귀부(龜趺)와 이수(螭首)가 남아 있다. 1972년 2월 12일 영원사지 보감국사 묘응탑비라는 명칭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호로...
-
경상남도 밀양시 활성동 영원사지에 있는 고려 후기 승탑. 밀양 영원사지 보감국사 승탑(密陽瑩源寺址寶鑑國師僧塔)은 영원사지에 흩어져 있던 부재를 모아서 복원한 것이다. 지대석과 기단석 및 탑신을 완전히 갖추지는 못하였지만 팔각원당형의 승탑 형식과 옥개석 기왓골과 서까래, 부연의 조각이 우수한 고려시대의 승탑이다. 1972년 2월 12일 영원사지 보감국사 승탑이라는 명칭으로 경상남도...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삼층석탑.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密陽表忠寺三層石塔)은 단층 기단 위에 삼층의 탑신을 올린 통일신라 때 석탑이다. 1968년 12월 19일 보물 제467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보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다....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 있는 통일신라의 석등. 밀양 표충사 석등(密陽表忠寺石燈)은 8각형의 간주석(竿柱石)을 갖춘 기단 위에 화사석(火舍石)과 옥개석, 정상에 보주를 올린 통일신라 때 석등이다. 1972년 2월 12일 표충사 석등이라는 명칭으로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호에 지정되었다가, 2018년 12월 20일 밀양 표충사 석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 후 20...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에 있는 임진왜란의 승병장 사명당 송운대사 유정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조선 후기 비석. 밀양 표충비(密陽表忠碑)는 임진왜란 당시 승병장이었으며, 종전 이후 일본에 건너가 포로로 끌려간 조선인들을 환국시킨 사명당(四溟堂) 송운대사(松雲大師) 유정(惟政)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비석이다. 일명 ‘사명대사비’라고 불리기도 한다. 국가에 큰 어려움이나 전쟁의 징...
제
-
경상남도 밀양시 초동면 오방리에 있는 사찰인 광제암에서 전승되고 있는 불교 의례. 예수재는 살아 있는 동안에 공덕을 미리 닦아 사후에 지옥에 떨어지지 않고 극락왕생하고자 하는 신앙에 기반을 둔 불교 의식이다. 곧, 사람이 자신의 업을 죽기 전에 불교 의식으로 미리 씻는 것이다. 대부분의 불교 의식은 사후에 행하여지는데 예수재는 살아 있을 때 행하여지며, 생전예수제로도 일컬어진다....
행사
-
경상남도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표충사에서 불교문화와 사찰 생활을 체험하는 프로그램. 표충사 템플 스테이(Pyochungsa Temple Stay)는 표충사에 숙박하면서 한국의 불교 문화와 사찰 생활을 체험하는 것을 일컫는다. 템플 스테이는 2000년대 초반 국책 사업으로 지정되면서 한국을 대표하는 관광 프로그램 중 하나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