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제강점기 제주 출신의 항일운동가. 어릴 때 2년간 한문을 수학하였으며, 1922년 애월읍 신엄리에 있는 일신학교(日新學校)에서 1년 동안 배웠다. 1926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에 있는 금구소학교(金歐小學校) 야간부에서 5년 동안 공부하였다. 전기제작소 공원으로 일하던 중 일본 공산당 당원 김귀영(金貴榮)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 사상에 공감하였다. 일본 제국주의를 타도하기 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용천수. 갯물은 바닥에서 솟아나고 유량이 적다 하여 ‘생이물’이라고도 전해진다. 갯물은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 남당물에서 서쪽으로 약 100m 떨어진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남당물이 남탕의 역할을 한다면 갯물은 여탕의 역할을 한다. 지금은 새로 정비되어 두 칸으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아낙네들의 빨래터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 2리에 있는 용천수. 주변에 거욱대[돌이나 나무 따위를 사람 형상으로 깎아 세운 것으로 궂은 액을 막기 위해 세웠던 조형물]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을에 상수도가 보급되기 전까지 광령 2리 주민들의 식수로 활용되었다. 물이 흐르는 쪽에 네모나게 물통을 만들고 그 뒤로 빨래하는 장소와 채소 씻는 곳 등으로 구분해 놓았다. 마을 복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에 있는 봉우리. 이 오름 서쪽에 형성되어 있는 마을이 검은덱이 을이라 하여 금덕리(今德里)라 하였는데, 지금은 애월읍 유수암리에 속하였다. 그러나 이 오름은 지경상 애월읍 소길리에 속한다. 이 오름 일대에는 예로부터 감은 덕, 검은 덕[암반, 너럭바위]이 많다는 데서 감은덱이 오름 또는 검은덱이 오름으로 불렀다. 한자 차용 표기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봉우리. 이 오름은 712.4m의 큰 봉우리와 727.5m의 작은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 727.5m의 봉우리는 위쪽에 위치하고 있고 굼부리(분화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봉이라 할 수 있으나 지도상으로 보나 외관상으로 보나 712.4m의 봉우리를 주봉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 오름 일대에 검은 돌이 많은데다가 그것이 먹과 같...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봉우리. 이 오름은 여러 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를 거느리고 있는 데다, 각 봉우리마다 별칭이 있다. 주봉에는 봉수를 설치하여 망을 보았다는 데서 망오름이라는 별칭이 있다. 이외에 작은 봉우리에 진오름·방에 오름·넙은 오름·상뒷 오름 등의 별칭이 있다. 이 오름은 예로부터 고내 오름이라 부르고 고내악으로 표기하였다. 그런데 조선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고내다. 고내는 일찍부터 한자화 되었지만 그 뜻은 확실하지 않다. 고내에는 고려 때부터 사람이 살았고 1280년(충렬왕 26)에 현촌이 설치된 것으로 보아 바다 수심이 깊은 해안선과 대양을 전망할 수 있는 고내봉이 있어 지세적으로 외적을 방어하는 지역으로 거주가 시작된 것으로 추측된다. 본래 제주군 신우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고려 시대 사찰의 터. 고내리 사지에서 발견되는 유물을 통해 추정해 볼 때 통일 신라 말기에서 고려 시대 사이에 창건된 사찰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일대는 지금까지도 ‘절골’, ‘절터왓’, ‘절왓’, ‘정골’ 등으로 불리고 있다. 해발 112m의 고내봉 앞으로 이어지는 일주 도로와 하가리로 향하는 아스팔트 주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탐라 후기의 생활 유적. 고내리는 제주도 서북부 해안을 끼고 동서 방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고내리의 유물 산포지가 확인되는 지점은 마을 동편에 위치한다. 유적의 범위는 약 10,000여 평에 이른다. 고내리 유적의 가장 남쪽 부분에는 고인돌 1기가 있다. 고내리 유적은 1994년과 1995년 애...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적선의 침범을 막기 위하여 바닷가를 돌아가며 돌담으로 쌓았던 성. 고려 원종(元宗) 때에 삼별초가 반란을 일으켜 진도에 웅거(雄據)하였다. 이에 원종이 사랑 고여림 등을 탐라에 보내 군사 1,000명을 거느리고 방비하게 함에 따라 환해장성을 쌓게 되었다. 『고지도첩(古地圖帖)』 중 「탐라전도」에는 애월개의 동쪽에 옛...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서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탐라 후기의 토기. 고내리식 토기는 한국 본토의 마지막 무문 토기 전통의 산화염 소성 토기이다. 고내리식 토기는 탐라 전기(200~500년)의 곽지리식 토기와 비교해 볼 때 차이가 심하다. 먼저 그릇 단면을 보면, 태토의 조직이 치밀한 것이 확인된다. 성형 과정에서 특히 곽지리식 토기와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는 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조선 시대 애월진 소속의 봉수. 고내봉수는 북동쪽으로 수산봉수(직선 거리 4.5㎞)와 남서쪽의 도내봉수(직선 거리 5.6㎞)와 교신하였으며, 동쪽으로 남두연대, 서쪽으로 애월연대와도 교신하였다. 소속 별장 6명, 봉수 24명이 배치되었다.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 해안가에서 남쪽으로 약 1㎞ 떨어진 해발 1...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포구. 고내포는 지금의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성창을 두고 이른 말로 성창은 대략 1230년(원종 11) 무렵에 축조 되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남사록』에서는 고내포에 병선도 감출 수 있다고 하였다.「제주삼현도」에서는 고내봉 자락에 고내리가 있다고는 기록하였으나, 그 앞에 있는 포구는 기록하지 않았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에 건립된 방사탑. 제주도에서는 잡석을 이용하여 탑을 쌓고, 그 위에 새나 사람 등의 형상을 올려놓은 탑을 방사탑이라 한다. 고성리 탑은 애월읍 고성리 마을 주거 지역 북쪽에 위치하며, 하천변에 축조되어 있다. 고성리 탑은 허튼층 쌓기를 하였고 속은 잡석 채움이 되어 있다. 탑의 크기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항파두리성 동북부 성 밖에 있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초기로 추정되는 무덤군. 유적은 고성리 항파두리성 동북부 성 밖의 잡목이 무성한 능선 일대에 위치한다. 약 60여 기의 고분이 분포해 있다. 이 유적의 고분군 중에서 일부 고분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다. 조사된 고분은 항파두리성에서 10-20m 떨어진 곳에 위치한 고분 3기이다. 고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항바두리 또는 옛성을이다. 항의 가장자리와 같이 항바두리 토성이 타원형으로 쌓아져 있어서 그렇게 부른 것으로 보인다. 고성(古城)은 항바두리 옛성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데서 유래한다. 1967년 전국에서 최초로 조성된 시범 양잠단지로 마을로 형성된 곳이다. 본래 제주군 신우면 지역으로 항파두리 또는 고성이라 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항바두리 또는 옛성을이다. 항의 가장자리와 같이 항바두리 토성이 타원형으로 쌓아져 있어서 그렇게 부른 것으로 보인다. 고성(古城)은 항바두리 옛성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데서 유래한다. 1271년(원종 12) 항파두리에 토성을 쌓기 시작한 때부터라고 볼 수 있다. 조선 중기에 우면(지금의 애월면)의 한 촌락으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용천수. 모래밭에서 솟아나는 용천수로 그 물량이 많고 수질도 매우 좋은 편이며, 남탕과 여탕으로 구분한 이용 시설이 만들어져 있다. 과물은 한라산에서 흘러내리기 시작한 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100리를 내려와 곽오름을 배경으로 바닷가에서 솟는 달콤한 감수라는 뜻으로 제주어로 돈물이다. 곽지 해변에 위치해 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봉우리. 이 오름은 세 개의 크고 작은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주봉을 큰오름이라 하고, 중간의 오름(100m)을 샛오름[새또롬]이라 하고, 작은 오름(100m)을 말젯 오름 말제또롬이라 한다. 이 오름은 예로부터 곽지 오름이라 부르고 곽지악(郭支岳)으로 표기하다가, 민간에서 소리가 과오름으로 변하였다. 지금도 한자로 쓸 때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질서를 잘 지키고 스스로 탐구하며 더불어 사는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정직·협동·봉사’이다. 1946년 9월 1일 설립인가를 받아 1946년 12월 17일 곽금 공립 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48년 4월 4일에는 본관 4개 교실을, 1953년 1월 30일에는 본관 3개 교실을 신축하였다. 1...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 패총에서 출토된 통일신라 시대의 장신구. 뒤꽂이는 뒷머리에 꽂아 머리 장식에 사용된 장신구의 일종이다. 골제 뒤꽂이로 해남 군곡리 유적과 창원 성산 패총에서 발견된 바 있다. 이것은 뼈의 단단한 부분을 다듬어 빗살을 만들었다. 앞면에는 거치문과 격자문 등이 시문되어 있다. 금속제 뒤꽂이는 공주 무령왕릉에서 출토되었다. 제주도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해변. 곽지 해변은 현무암층 위에 패사층이 퇴적되어 이루어진 패사질 해변으로 오른쪽으로는 10m 내외의 단애가 바다 쪽으로 길게 뻗어 있어 강한 쇄파대를 형성하며 연안류는 오른쪽에서 곽지 해변이 위치한 왼쪽으로 흐르고 있다. 북상하는 해류에 의하여 운반된 퇴적물과 인접 연안에 서식하는 패각류의 파편이 파랑에 의해 해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곽지는 일찍부터 한자화하여 곽지라 하였다. 마을 안 여러 곳에 잣(잔돌로 쌓아 놓은 곳)들이 있어 곽기리(郭岐里)라 하였다가 곽지리(郭支里)로 통용되었다고 한다. 선사시대 패총과 유물이 곽금초등학교 일원 서쪽부터 금성 일원 남동쪽으로 0.5㎞까지 발견되는데, 일찍부터 용수가 이용 가능한 곳에 취락이 넓게 분산되어 형...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서 출토된 고대 탐라 전기의 토기. 곽지리식 토기는 이전 단계인 무문 토기와 성형 기술상 크게 다르지 않다. 토기를 성형할 때 회전판을 이용한 흔적은 전혀 보이지 않으며, 쌓아 올린 점토대의 이음새도 매끄럽게 손질되지 않은 예가 많다. 또한 입술면이 정연하게 마무리된 것이 드물고 바닥에서 동체로 이어 올려 빚은 방식은 전 단계의 무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사찰 터. 이원진의 『탐라지』에는 곽지사에 대하여 ‘재주서사십오리금폐(在州西四十五里今廢)’라고 하여 “주의 서쪽 45리에 있었으나 지금은 폐사되었다”라는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 기록에 의하면 곽지사는 이원진이 『탐라지』를 기록할 당시인 1650년(효종 1)에 이미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동국여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에서 통일신라 시대에 해당하는 조개 무지. 유적은 제주시에서 남제주군 대정읍을 거쳐 서귀포시로 이어지는 해안 일주 도로변의 남쪽에 위치한다. 유적은 하천을 가까이에 둔 해발 20~40m의 완만하고 넓은 해안가 들판에 형성되어 있다. 유적의 주변에는 서남쪽으로 약 5㎞ 떨어진 지점에 빌레못 동굴이 있고, 동쪽으로 약 1...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와 금성리에 있는 포구. 곽지포는 지금의 애월읍 곽지리와 금성리에 있는 정짓내 하류에 있는 개맛을 두고 이른 말로, 곽지포는 그 당시「제주삼현도」에 있는 곽지촌(郭支村) 이라는 마을 이름을 취한 포구의 이름이다. 곽지포를 두고 김상헌(金尙憲)의 『남사록』과 이형상(李衡祥)의 『탐라순력도』에서는 곽지포(郭支浦), 그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에 있는 용천수. 관전동물은 관청(官廳) 소유의 땅에 세워진 마을에 있는 용천수라는 데서 유래하였으며 이 용천수 인근에 귀일 소주 공장이 있다 하여 ‘공장물’이라 부르기도 한다. 관전동물은 제주시 외도동과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 경계 지점인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관전동물은 다른 용천수와 달리 모두 네 칸으로 나누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제주인의 꿋꿋한 기상을 지니고 미래 세계를 스스로 열어 나가는 슬기롭게 튼튼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성실하게·슬기롭게·굳세게’이다. 1940년 5월 광령간이학교로 인가되었다가 1943년 4월 15일 광령 공립 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48년 11월 3일 4·3사건으로 교실이 전소되어 폐교되었다가 1...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광령이며, 광령의 뜻은 확실하지 않다. 마을 이름은 오랜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속칭이 전혀 없이 한 가지 이름으로만 불려 온 특징을 갖는다. 본래 제주군 애월면 지역으로 광령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광령리가 되었고, 1963년 12월 12일 광령1리, 광령2리, 광령3리로 나뉘었다. 1...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이신굴이다. 유신동으로 불리는데 이는 이신굴의 한자 차용 표기이다. 고려 중엽부터 유목민들이 거주하였는데, 조선 성종 때 농토가 비옥하고 기후 조건이 온화하며 급수원이 있는 양호한 입지 조건을 따라 집단 이주자들이 정착한 것으로 전해진다. 본래 제주군 애월면 지역으로 광령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준이다. 광령의 서북쪽에 있는 마을로 1956년 광령3리로 독립하였다. 준이의 한자 표기는 자중동으로 광령3리의 본 이름이다. 고려 공민왕 10년경 송자종이란 사람이 육지로부터 입주하여 설촌했다고 전하며 그에 따라 마을의 이름도 ‘자종’으로 굳어진 듯하다. 조선 태종 때 송씨 몰락으로 폐동되었다가 조선 말기 강씨...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었던 일제 강점기 때 검은색의 오지 그릇을 만들었던 가마터. 광령리 노랑굴터에서 남쪽으로 약 50㎝ 떨어진 곳으로, 마을 어귀에 있는 민정석유 건물 남쪽 면에 인접한 소로로 5m 정도 올라간 곳에 위치해 있었다. 광령리 검은굴은 지름 4~5m 정도의 둥근 가마였다. 요지는 남쪽은 높고 북쪽은 낮은데, 도요를 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탐라 성립기에서 탐라시대 전기에 이르는 고인돌군. 유적은 제주시의 서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유적은 대체로 광령천 서쪽의 평탄한 대지상에 자리한다. 1986년 제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실시된 지표 조사에서 고인돌 16기가 확인되었다. 최근에 새로 발견된 고인돌을 포함하여 모두 17기 정도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 오지그릇을 구웠던 가마터. 오지그릇은 붉은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약간 구운 다음, 오짓물을 입혀 다시 구운 질그릇으로 검붉은 윤이 나며 단단하다. 노랑굴은 제주 지역 가마의 한 종류로 그릇 표면이 노란 갈색을 띠는 오지그릇이나 반오지그릇을 구웠던 가마를 가리킨다. 당시 남죽동 노랑굴에서 제작된 그릇들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1리 사라마을에 있는 조선 시대의 방사탑. 제주도에서는 잡석을 이용하여 탑을 쌓고, 그 위에 새나 사람 등의 형상을 올려놓은 탑을 방사탑이라 하며, 애월읍 광령1리 사라마을에 위치한 방사탑을 광령리 사라 방사탑이라 한다. 애월읍 광령1리 사라마을 가운데 ‘대석(大石) 동산’이라는 큰 바위가 있는 곳을 향한 돌탑이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절동산 인근에 있는 고려 시대 사찰의 터. 현재 광령리 사지에서 절터로 추정되는 곳은 과수원으로 조성되어 있는데, 이곳뿐만 아니라 향림사 일대에 다수의 기와편과 청자 등의 자기편이 산재해 있다. 또한 이곳에서는 문둔체 2점을 비롯하여 다량의 기와편이 수습되었다. 1960년경에는 석불도 있었다고 전해지나 현재는 확인할 수 없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탐라 성립기에서 탐라시대 전기에 이르는 생활 유적. 유적은 제주특별자치도의 서북부 지역에 위치하며, 2개의 구역으로 구분된다. 광령리 유적은 영구 유수천이 외도천의 지류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주변에 위치한 외도동 유적과 함께 반경 2㎞ 정도의 비교적 광범위한 유물 산포 범위를 보인다. 이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에 있는 용천수. 아무리 가물어도 마르지 않는 질 좋은 생수라서 콜레라가 돌 때도 이곳은 한 사람의 희생자도 없었다고 전해진다. 구시물은 삼별초의 식수원이었다. ‘구시(구유, 槽)+물’의 합성어이다. 구시물은 샘 모양이 소구시(여물통)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 나무와 돌로 만든 수로를 파서 만든 것이라는 뜻도 포함되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구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래의 주역이 될 예절 바르고 창의적인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슬기와 용기를 지닌 튼튼한 어린이’이다. 1923년 4월 1일 사립 일신 학교로 설립되었다가 1939년 6월 1일 구엄 공립 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48년 12월 19일 4·3 사건으로 학교 건물이 전소되었으며 1950년 6월 1일 구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옛엄쟁이이다. 18세기 중반 이전에 엄쟁이에서 옛엄쟁이로 분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불교 전성기인 신라 말엽 내지 고려 중엽에 이르러 사람들이 거주하였다. 서쪽으로는 하천 하류의 삼전사, 남쪽으로는 원동산의 원수사가 있는 곳에 살았다. 본래 제주군 신우면 지역으로 엉장으로 되었으므로 엄정이·엄장·염장이라 하였는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구엄리에 있는 도대불. 구엄리 선창은 엄장포라 불리는데, 이 선창 동쪽의 해안 암반 위에 도대불이 세워져 있다. 도대불이 축조되기 이전에는 나무를 세워 그 위에 잠망등을 달아 선창의 위치를 알리곤 했다. 구엄리 도대불은 1950년대에 상자형 도대불을 축조하고 상단에 철제탑을 세워 호롱불로 불을 밝혔다. 조업을 나가든 나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봉우리. 이 오름은 궤물 오름에서 소리가 변하여 궤미 오름으로 바뀌었는데, 괴오름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많다. 이 오름은 예로부터 궤물이 있는 오름이라는 데서 궤물 오름이라 부르다가 한자 차용 표기로 괴수악(怪水岳)으로 표기하였다. 그러다가 궤물 오름이 궤미 오름으로 바뀌고 한자 차용 표기도 괴수악(槐水岳)[궤물 오름] 또는 고...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에 있는 오름. 궷물 오름은 오름 동쪽 굼부리[분화구]에 ‘궷물’이라는 샘이 솟아난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궷물 오름 바로 남동쪽에는 노꼬메 오름이 자리하고 동남쪽에는 족은노꼬메 오름이 자리한다. 궷물 오름의 면적은 138,366㎡ 둘레는 1,388m, 높이는 480m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귀리에서 겉보리 농사를 지을 때 부르는 민요, 또는 연희로 꾸민 민요놀이극. 애월읍의 상귀리와 하귀리 지역에서는 겉보리(보리의 일종) 농사를 지을 때 주로 「쉬 는 소리」, 「돗거름 밟는 소리」, 「쉬 짐 싣고 가는 소리」, 「밭 가는 소리」 등의 민요를 부른다. 이들 민요를 묶어서 「귀리겉보리 농사일 소리」라고 부르며, 연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2리에 있는 사립 중학교. 인성 교육을 강화하여 민주시민의 자질을 기르며, 교수 학습 방법을 개선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과 창의적인 능력을 기르며, 우리의 얼을 계승하고 환경을 가꾸는 자랑스런 한국인을 기르며, 건강한 체력과 의지력이 강한 심신을 기르며, 교육 공동체가 함께 하는 학교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훈은 ‘부지런히 배우고 올바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에 있는 봉우리. 이 오름은 일찍부터 극락 오름이라 부르고 한자 차용 표기로 극락악(極樂岳)으로 표기하였다. 이 오름 서북쪽에는 유수암리(流水岩里)가 자리하고, 서쪽에는 고성 2리가 있다. 전사면은 오래된 소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등성이 일부에는 말들의 방목지로 이용되고 있다. 높이는 313.5m, 비고 64m, 둘레는 1,341m, 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제주교구 사찰. 극락사는 원래 현재의 위치가 아니라 제주시 애월읍 금덕리 1919번지의 극락봉 자락에 자리 잡고 있었다. 극락봉은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와 고성리 사이에 있는 오름이다. 이 극락봉의 극락사 일대에는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찰 유적들이 산재해 있어, 고려청자 편, 분청사기 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에 있는 무환자나무 및 팽나무 군락. 1974년 4월 13일 제주도기념물 제6호로 지정되었다. 16그루의 팽나무 고목들이 무리를 이루고 있으며, 그 사이에 무환자나무 1그루가 있다. 무환자나무의 키는 12m이며, 둘레는 1~2m이고, 팽나무의 키는 16m이며, 둘레는 6m이다. 무환자나무 잎은 호생하는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9...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모슬개 또는 모실개이다. 모슬개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데서 이름 지어졌다. 19세기 말 금성리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는데, 금성이라는 이름은 잣르라는 지역에 잣담이 성처럼 쌓여 있는 것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1370년대 후반 왜구 침공으로 마을이 없어지기도 하였다. 본래 제주군 신우면 지역으로 모슬개 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탐라시대 전기의 생활 유적. 유적은 금성천과 인접하여 동쪽의 해발 약 10~15m 되는 비교적 평탄 대지상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해안변과 인접해 있다. 유물은 대체로 금성리 마을회관을 중심으로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이 유적은 인접한 금성천을 따라 곽지리 패총과 함께 연결되고 있다. 유적은 지표 조사 결과 확인되었으며, 정...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고대의 석축 유적. 이 유적의 서쪽 끝은 금성천과 맞닿아 있다. 따라서 유적이 있는 곳의 지형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하천을 따라 급격히 경사져 있다. 이 석축은 동에서 서로 길게 연결된 채 확인되었다. 석축은 흑갈색 점토·잔자갈·덜 소성된 토기편·현무암제 할석 등이 혼용되어 축조되었다. 석축의 외벽은 약간 다듬어진 현무암제 할석(...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탐라시대 전기에서 후기에 이르는 조개무지. 유적은 금성천의 북서쪽에 위치한다. 금성리 석축 유적과 인접해 있다. 1995년 국도 12호선 확포장 공사 구간 내 유적 발굴 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패총은 탐라시대 전기에 해당하는 석축 유적에 대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석축 외벽의 북쪽 경사진 층에서 혼토 패각층이 조사되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한대오름 해발 900m지경에서 발원하여 금성리 바다로 흘러드는 하천. 금성천은 한대오름에서 발원하여 검은들먹오름과 다래오름 일대에서 계곡방향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다. 과오름과 폭낭오름 일대에서 또 다른 주류가 발원하여 새별오름과 이달오름을 거쳐 흐르다가 어음2리 해발 220m 지경에서 한대오름 줄기와 합류하여 바다로 흐르...
-
조선 후기 제주 출신의 무신. 본관은 광산. 아버지는 김경집이다. 애월읍 납읍리에 사는 큰 진사라 불리던 정헌(靜軒) 김용징(金龍徵)의 문하에서 한학을 배웠다. 서당의 훈장을 하면서 한의술에도 능하였다. 1886년(고종 23) 무과에 병과(丙科)로 합격하였으나 그 해 여름에 서울에서 콜레라로 죽었다. 곽지리 경민장(警民長) 김명관(金明寬)이 서울에 올라가 운구...
-
조선 전기 제주로 유배된 문신.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여운(汝雲), 호는 척재(惕齋) 혹은 월포(月浦). 일명 김경흥(金景興)이라고도 한다. 고려 충정왕 때 진사시에 합격하여 도첨의사사헌납을 지냈으며, 공민왕 때 밀직사대언이 되었고, 자제위(子弟衛)에서 일하였다. 신돈(辛旽)[?~1371]이 조정에 들어오자 이존오(李存吾)[1341~1371]가 1366년(공민왕 1...
-
조선 말기 제주에서 민란을 일으킨 유생.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영보(英甫), 호는 동곡(桐谷)이다. 일명 김준현(金俊鉉)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김문환(金文煥)이다. 1858년(철종 9)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민폐를 예방하기 위해 관리가 공무 수행 중 지켜야 할 지침서인 절목(節目)를 작성하여 관리들에게 경고하였다. 유학을 연구하고, 영호남의 유림과 교유하며 식견을 넓혔다....
-
조선 중기 제주 출신으로 정려(旌閭)를 받은 열녀. 김천덕은 재색(才色)이 뛰어났고,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곽지리의 사노(私奴) 김연근(金連根)과 혼인하였다. 혼인한 지 20년이 되는 해 남편이 진상품을 수송하기 위해 항해 중 화탈도와 추자도 사이에서 배가 침몰되어 과부가 되었다. 3년 동안 상청에서 아침저녁으로 죽은 사람에게 음식을 올리면서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
조선 후기 제주 출신으로 문과에 급제한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아버지는 김정실(金鼎實)이다. 1763년(영조 39) 7월 제주에서 심래복(沈來復)[?~1763], 조영득(趙榮得), 유동혼(柳東渾) 등이 영조를 내쫓고 왕족인 이훈(李壎)을 임금으로 추대하는 역모가 발각되었다. 이에 조정은 1763년 10월 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기 이수봉(李壽鳳)[1710~?]을 제주위유어사(濟...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용천수.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 없지만 옛날 이 용천수로 인해 남당이라는 당집이 세워졌고 주민들이 당집을 찾아 가족의 건강과 집안 번성을 위한 치성을 드리던 장소였다고 한다. 남당물은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 해안가에 위치하고 있다. 남당물은 인위적인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여름철 무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에 있는 조선 시대 애월진 소속의 연대. 남두연대는 동쪽으로 수산봉수(직선 거리 2.5㎞), 서쪽으로 고내봉수(직선 거리 2.7㎞)와 교신하였으며, 별장 6명, 봉군 12명을 배치하였다. 해안 도로가 시작되는 구엄리에서 도로를 따라 서쪽으로 2㎞ 정도를 가면 ‘남뜨르’라 불리는 동산 위에 남두연대가 있다. 이 연대는 1977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었던 조선 후기에 세워진 교육 기관. 조선시대에 설립된 사설 교육 기관으로 재생과 늠료를 두었다. 서당은 종래의 여러 교육 기관과 성격이 다르지만 교육 기관이라는 이유로 특권적인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의식이 강하였다. 이러한 특권적인 보호는 특히 군역 면제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남서학당은 제주목 상가에 있었는데, 지금의 제주특별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올바른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슬기롭게 배우며 미래의 꿈을 가꾸어 가는 창의적인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참되게·슬기롭게·튼튼하게’이다. 1946년 9월 1일 애월읍 납읍리 사장밭에 납읍 국민학교로 개교하였으며 1947년 5월 1일 4개 교실을 신축하였다. 1948년 12월 17일 4·3사건으로 교사가 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과납 또는 납이다. 과납이라는 이름은 문서상 이외에는 거의 통용되는 이름으로, 과오름 남쪽이라는 데에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확실하지는 않다. 납읍(納邑)은 1675년(숙종 1)에 자연 지세가 여러 마을이 모여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읍과 같고, 납(納)자는 입주한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최초의 거주는 1300년 경...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에 있는 옛 사찰터. 납읍리 마을의 서쪽 일명 ‘절빌레’는 현재 도로 개설과 함께 주택지 등이 들어서면서 ‘절빌레’의 원형이 완전히 손상된 상태여서 그 흔적을 찾기 어렵다. 또한 이 절빌레 북쪽에는 절물이라 불리던 용천수도 있었으나 지금은 매립되어 사라지고 말았다. ‘절빌레’ 바로 앞은 사찰 터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옛 납읍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에서 정월 초정일에 마을 수호신을 위해 지내는 유교식 마을 제사. 납읍리의 마을제는 홍역신인 서신과 마을 수호신인 토신, 손님신으로 인물 재해지신인 포신의 삼위를 위해 지내는 유교식 마을 제사이다.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지내는 무속식의 당제와 달리 남성 중심으로 석전제의 형식을 빌려 지내는 철저한 유교식 의례로, 1986년 4...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와 소길리 사이에 있는 봉우리. 이 오름은 큰 오름인 큰노꼬메와 작은 오름인 족은노꼬메로 나뉜다. 큰노꼬메는 노꼬메 큰오름이라 하고 족은노꼬메는 노꼬메 족은오름이라고 한다. 이 오름은 일찍부터 놉고메 또는 놉구메라 부르고 한자 차용 표기로는 고고산(高古山) 또는 고구산(高丘山) 등으로 표기하였다. 그런데 녹고산(鹿高山)으로 표기하면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와 고성리 경계에 있는 오름. 노로 오름은 노로[노루]가 많이 살았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노리 오름이라고도 하며 한자를 차용하여 장악(獐岳)이라고도 한다. 노로 오름 동북쪽에는 붉은 오름, 남동쪽에는 세성제 오름, 남서쪽에는 한대 오름이 있다. 노로 오름의 면적은 571,141㎡, 둘레는 3,856m,...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봉우리. 눈오름 또는 누운 오름은 제주도 여러 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로 나지막하게 누워 있는 듯한 오름을 일컫는다. 이 오름들의 형세가 마치 누워 있는 것과 같이 나지막하다는 데서 붙인 것이다. 한자 차용 표기로는 주로 와악(臥岳)으로 표기하였다. 이 오름의 북쪽에는 봉성리가 있으며, 북서쪽에는 어도 오름이 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1936년에 강승태(姜昇泰)가 연 증산교 계통의 신종교 교단. 무극대도교의 신앙 대상은 옥황상제(증산)이자 단군(檀君)이다. 강승태는 안덕면 동광리에서 1936년 무극대도교를 창립하였고, 일제에 의해 8년형을 받아 복역하다가 해방 후에 나왔다. 1946년 1월 그는 교인들을 모아 교단을 재건하였고, 교단을 이끌다가 1960년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에 있는 대한불교 법화종 사찰. 대원정사는 1933년 4월 16일 애월읍 구엄지경의 원수원에 최청산이 초가 3동을 건축하여 창건했으며, 당시 사찰 이름은 원천사였다. 1942년 6월에는 금륜이 기와 법당 1동을 증축하여 사찰 이름을 수산사라 개명하였다. 1948년 제주 4·3사건 때에 토벌대에 의해 사찰이 철거당하고 주지였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금성리에 있는 조선 시대 명월진 소속의 봉수. 도내봉수는 북동쪽으로 고내봉수(직선 거리 5.3㎞), 남서쪽으로 만조봉수(직선 거리 7.5㎞)와 교신했으며, 동쪽으로 귀덕연대, 서쪽으로 우지연대와도 교신하였다. 소속 별장 6명, 4봉수 24명을 배치하였다. 제주시 한림읍 귀덕리 해안에서 남동쪽으로 약 3.8㎞ 떨어진 해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오름. ‘독’은 바위 또는 돌을 뜻하는 고유어이며 독물 오름은 ‘독물이 있는 오름’이라는 데서 유래되었다. 한자를 차용하여 옹수악(瓮水岳, 甕水岳) 또는 독수악(獨水岳)이라고도 한다. 독물오름은 시간이 흐르면서 ‘동물 오름’으로 실현되어 동수악(東水岳)과 같은 한자 차용 표기가 생겨났다. 독물 오름 꼭대기에는 큰 바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1리에 있는 용천수. 독짓골은 무수천 서쪽의 들을 말한다. 절이 있었다고 하는데 독짓굴물은 독짓골의 샘을 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독짓굴물 주변에는 여러 샘과 무수천이 있다. 애월읍 광령리에는 고려 중엽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다고 한다. 독짓굴물 외에 절물을 비롯해 정연·거웃대물·자중동물·행중이물 등 곳곳에 맑게 솟...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서 따비로 떼밭을 일구거나 단단한 땅을 파면서 부르는 노동요. 예부터 제주에서는 쟁기로 갈 수 없는 거친 떼밭이나 돌밭 등을 일구기 위해서 따비라는 농기구를 사용하였다. 따비는 삽과 같은 농기구이나 날이 더 뾰족하여 단단하고 거친 땅을 일구는 데 적격이었다. 떼밭을 일구는 작업은 혼자서도 하지만, 주로 여러 사람(동네 일꾼)이 모여서 집단으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산간 지대에 있는 오름. 만수 동산에서 ‘만수’의 뜻이 확실히 알려진 바는 없다. 한자를 차용하여 만수 동산(晩水同山, 萬水同山)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만수 동산이 만세 동산으로 와전되면서 ‘만세를 부르던 동산’으로 잘못 해석되는 경우가 간혹 있다. 만수 동산의 서북쪽에는 사제비 동산이 있으며 북동쪽에는 민대가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남편의 복수를 하는 아내 이야기. 우리나라 여러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중에 매고할망과 비슷한 마고(麻姑)나 마고할미가 등장하는 이야기는 흔한 편에 속한다. 매고나 마고는 원래 중국의 여신 이름에서 전래된 것으로 알려졌는데, 우리나라 이야기에서는 단순히 노파라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제주에서는 묻혀 죽은 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 터. ‘순천송광사장고려판천순판불전(順天松廣寺藏高麗板天順板佛典)’이라는 기록에 따라 최근 제주 묘련사에서 불경 판각이 행해졌다는 기록이 밝혀지면서 고려시대 제주 불교를 새롭게 해석할 근거를 마련한 중요 사찰로 관심을 모르고 있다. 위 기록은 1296년에 작성되었으며, 오랜 제작 기간을 고려한다면 해인사 『팔만대장경』...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일대에 있는 옛 사찰 터. 현재 이곳은 잡초가 우거져 접근할 수 없고, 절터 인근은 경작지로 조성되어 있어 조사가 어려운 것은 물론, 관련 유물도 매우 적은 편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제주목(濟州牧) 「불우조(佛宇條)」에는 “재서남이십칠리(在西南二十七里)”라 하여 서남쪽 70리 거리에 있다고 되어 있고, 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에 있는 제주 지역 전통 가옥. 제주도의 초가집은 큰 거리에서 집으로 드나드는 길 골목인 올레로 인해 외부로부터 집 안의 모습이 차단됨으로써 독립적 공간을 이룰 수 있었다. 마당에 들어서면 대문에 해당하는 이문을 달았거나, 정낭 시설을 하였다. 또한 가옥은 대개 안거리와 밖거리가 마당을 가운데 두고 마주보고 서 있게 구성되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에 있는 봉우리. 물메는 예로부터 물미 또는 물메로 부르고 한자 차용 표기로 수산(水山)으로 표기하였다. 이 오름 꼭대기에 샘물이 있었기 때문에 붙인 것이다. 조선 시대 물메에 봉수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수산봉(水山烽)이라 하다가, 봉수를 폐지하면서 수산봉(水山峰)으로 한자를 바꾸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원래 이름은 물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21세기를 열어 가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지닌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다. 1968년 8월 14일 물메 국민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1969년 3월 3일 3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84년 3월 5일 병설 유치원 1학급을 개원한 데 이어 1993년 5월 20일 농어촌 급식 학교로 지정되었다. 199...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산간 지대에 있는 오름. 민대가리 동산의 ‘대가리’는 ‘머리’의 속어이고 ‘민’은 ‘나무 따위가 전혀 없다’는 의미로 곧 ‘풀과 잔디로만 이루어진 민둥산’이라는 데서 유래하였다. 근래에는 촛대와 같이 솟아 있다 하여 ‘촛대봉’이라고도 한다. 민대가리 동산 남서쪽에는 만수 동산이 있으며 서북쪽에는 사제비 동산이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1리에 있는 봉우리. 정상을 중심으로 활처럼 길게 뻗어 내린 등성 마루는 하귀리와 광령리를 잇는 동쪽 봉우리까지 이어진다. 예로부터 바굼지 오름이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파군산(破軍山) 또는 파군봉(破軍峰) 등으로 표기하였다. 바굼지는 바구니의 제주어이다. 곧 오름의 형세가 바굼지를 엎어 놓은 것과 같다는 데서 붙인 것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 있는 봉우리. 예로부터 바리메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로는 발산(鉢山)으로 표기하였다. 바리메는 바리+메의 구성으로, 바리는 바리때를 이르고, 메는 뫼의 변음이다. 곧, 오름 굼부리[분화구]를 포함하는 형세가 바리때와 같다는 데서 붙인 것이다. 나중에 바리메를 발이악(發伊岳)으로 표기하면서 발이 오름이라 하기도 하였으나, 이는 잘못...
-
일제강점기 제주 출신의 항일운동가. 어릴 때 2년 동안 한문을 배우고 1926년 8월에 일본으로 건너가 오사카[大阪]에서 금구소학교(金甌小學校) 야간부를 졸업하였다. 화하류전기제작소(靴下留電氣製作所)에서 공원으로 일하던 중 일본 공산당 당원 김귀영(金貴榮)의 영향을 받아 사회주의에 공감하였고, 무산 아동에게 항일 의식을 교육하는 것이 일본 제국주의를 타도할 수 있는 방법이라 여겼다...
-
조선 후기 제주 출신의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아버지는 찰방 변성보(邊聖輔)[1727~1798]이며 애월읍 남읍리에서 태어났다. 1814년(순조 14) 제주찰리겸위유어사(濟州察理兼慰諭御使)로 이재수(李在秀)[1770~1822]가 부임하고 과거 시험을 실시하여 문과에 4명, 무과에 60명을 합격시켰다. 이때 변경준은 문과에 급제하여 문과의 초시와 복시를 치루지 않고 바로 전시에...
-
조선 후기 제주 출신으로 문과에 급제한 문신.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중여(重汝)이다. 아버지는 변희로(變希蘆), 어머니는 남평문씨이다. 아내는 강씨이며, 형은 변시익(變是翼)과 변시한(變是翰)이 있다. 1727년(영조 3) 제주에서 실시된 과거에서 시제(試題) ‘해불양파삼년부(海不揚波三年賦)’로 혼자 합격하여 문과의 초시와 복시를 치루지 않고 바로 전시에 응시할 수 있는, 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도내미이다. 도는 입구로서 어귀를 뜻하는 제주도 방언이고, 내는 넘[越]의 변음으로 도를 넘는 곳이라는 뜻이다. 도내미오름(현 어도오름) 근처에 마을이 형성되어 지어진 이름이다. 마을의 설촌은 구전에 의하면 1600년(선조 33)에 설촌된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중반 어도내미을이라 하였는데, 이는 어름비(현재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2리에 있는 제주 지역의 문화 진흥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 문화 예술 단체.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의거하여 제주 지역 문화 진흥을 위한 문화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94년 제주시제주문화원이 설립된 이후 북제주 지역의 문화 활동을 위한 기관의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2003년 8월 19일 북제주문화원 설립 발기인대회를 열었다. 20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산간 지대에 있는 오름. 붉은 오름은 오름을 덮고 있는 송이와 흙이 붉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붉은 오름이라고도 하며 한자를 차용하여 적악(赤岳) 또는 토적악(土赤岳)이라고도 한다. 붉은 오름 서남쪽에는 노로 오름[노리 오름]이 있으며 남쪽에는 세성제 오름이 있다. 붉은 오름의 면적은 411,978㎡, 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봉우리. 예로부터 빈네 오름이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로는 채악(釵岳) 또는 잠악(簪岳) 등으로 표기하였다. 오름의 형세가 빈네[비녀의 제주어]와 같다는 데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빈네 오름 남쪽 기슭으로 빌레내가 지나는 것으로 보아, 빈네는 빌레[너럭 바위]의 오기로 보인다. 빈네 오름 서쪽에는 폭낭 오름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 있는 구석기시대 중기의 동굴 유적. 빌레못 동굴 구석기 유적은 제주시 애월읍 어음2리 70번지 일대 중산간 지역인 ‘빌레못’ 연못 주변에 위치한다. 화산 폭발로 생긴 용암 동굴 내에 형성되어 있다. 주변에는 대부분 임야로 초지가 형성되어 있다. 1971년에 제주도 산악회원에 의해 처음 발견된 후, 1973년 3월에 조사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산간 지대에 있는 오름. 사제비 동산에서 ‘사제비’의 뜻은 확실하게 알려진 바가 없으며 사제비오름 또는 새제비 동산이라고도 한다. 인근 묘비에 새겨진 ‘조접(鳥接)’이라는 표기에서 ‘새재비’의 유래를 찾기도 한다. ‘조접’은 새접 또는 새접이의 표기로 볼 수 있다. 새접이의 뿌리를 ‘새잽이’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것은 ‘새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사제비동산 인근에 있는 약수터. 사제비동산은 제비가 죽어 있는 형국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사제비가 아니라 새제비동산이라고도 한다. 사제비동산 인근에 있는 묘비에 조접(鳥接)이라는 표기가 ‘새재비’를 뒷받침해 준다. 조접은 ‘새접’ 또는 ‘새접이’의 표기로 볼 수 있다. 새접이의 뿌리를 ‘새잽이’에서 찾을 수 있는데 새잽...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산간 지대에 있는 오름. 산세미 오름의 ‘산세미’는 ‘살아 있는 샘’이라는 뜻으로 끊임없이 솟아나는 샘이 있는 오름이라는 데서 유래하였다. 한자를 차용하여 활천악(活泉岳)이라고도 한다. 이후 산세미 오름이라는 음성형이 시간이 흐르면서 산시미 오름으로 바뀌고 이를 한자로 차용하여 산심악(山心岳)으로 와전되기도 하였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 산간 지대에 있는 오름. 살핀 오름의 ‘살핀’은 ‘살피다’의 관형사형으로 볼 수도 있고 ‘살[矢] 피다’의 관형사형으로도 볼 수 있으나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다. 살핀 오름은 붉은 오름 남동쪽에 있는 나지막한 오름으로 살핀 오름 남쪽과 남서쪽에는 세성제 오름이 연이어 서 있다. 살핀 오름의 면적은 112...
-
천혜적인 수려한 자연 경관으로 제주도는 일생에 한 번은 꼭 찾아보고 싶은 곳 중의 하나로 꼽히는 ‘환상의 섬’이다. 21세기 해양 시대를 맞아 세계의 많은 학자들은 소위 베세토(beseto) 라인의 중심축에 제주가 위치하고 있어 동북아시아의 중심 지역으로 제주가 부상할 것이라 예견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주의 이면에는 제주인들의 처절한 항쟁의 역사가 자리잡고 있다. 항쟁의 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상가리의 옛 이름은 웃더럭이다. 가락은 더럭의 한자 차용 표기인데 가(加)는 더의 훈가자 표기, 락(樂)은 럭의 음가자 표기이다. 더럭은 고유어로 보이는데 그 뜻은 확실하지 않다. 고려 충렬왕 때 거주가 시작되었으며, 1300년(충렬왕 26)에 본리는 고내현 가락촌이 되었다. 1444년(세종 26)에 도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 일대에 있는 옛 사찰터. 상가리 사지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괴양못이라 불리는 연못이 일부 남아 있다. 이곳은 괴양물, 혹은 과양물로 불린다. 원래 괴양물 일대에는 아주 큰 연못이 조성되어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도로 확장 공사로 거의 매립되었다. 괴양물 주변 경작지 일대 가운데 고내 오름 남쪽에서 자기편이 다수 수습되었다. 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원래 귀일현, 귀일을이라 하다가, 18세기 초반경부터 웃귀일[上貴]이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238년(고종 25)에 고씨에 의해 처음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1608년에 하귀리와 상귀리로 분리되었고, 고성리가 상귀리에서 1884년(고종 21)에 분리되었다. 본래 제주군 신우면 지역으로 광석동·광석·상귀일·상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 불수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방사탑. 제주도에서는 잡석을 이용하여 탑을 쌓고, 그 위에 새나 사람 등의 형상을 올려놓은 탑을 방사탑이라 하며, 애월읍 상귀리에 위치한 방사탑을 상귀리 방사탑이라 한다. 이 탑에 대해 알려진 것은 없으나, 지금은 없어진 옛 불수동 사람들이 축조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상귀리 방사탑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 일대의 옛 사찰터. 애월읍 상귀리에는 부처물이라는 용천수가 있고, 서쪽에는 속칭 버정내라는 하귀천이 흐르고 있으며, 동쪽에는 해발 약 100m의 파군봉이 자리 잡고 있다. 부처물이 있어서 불수동(佛水洞)이라고 불리는 이곳의 주변 지형은 비교적 평탄하나 부처물이 있는 곳에는 하천과 산이 있어서 비탈을 이루고 있다. 이곳 부처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에 있는 고려 후기의 와요지. 항파두리 토성 북쪽 200m 지점에 있었던 상귀리 와요지는 고려 후기 삼별초 군사가 항파두성 안에 기와지붕 건물을 지을 때 기와를 생산, 보급했던 곳으로 알려진 곳이다. 고성리에서 장전리 방향으로 가다 보면 항파두성 북쪽에 장수물과 구시물이 보인다. 이 구시물 서북쪽으로 제주도 농업기술...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에 있는 용천수. 새로 만들어진 물이라고 해서 새물이라고 전해진다. 용출지점은 거대한 용암류 하부에서 용출하고 있으며, 해안도로보다 약 10m 저지대에 위치하고 있다. 새물은 예전에 안방물과 함께 마을 주민들의 식수원으로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생활용수와 빨래터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여름철에는 피서객과 어린이들의 물놀이 장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오름. 새별 오름은 예로부터 새벨 오름 또는 새빌 오름이라고도 하였는데 ‘새벨’ 또는 ‘새빌’이 ‘샛별’의 제주어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한자를 차용하여 효성악(曉星岳) 또는 신성악(晨星岳, 新星岳)이라고도 한다. 새별 오름 서쪽에는 이달이 오름이 있으며 동남쪽에는 독물 오름과 궤미 오름이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제주의 토속적인 멋을 느끼게 하는 관광농원. 위치가 조금 외진 데 있어 주로 예약된 일본 관광객 및 제주시나 인근 주민들이 가족 단위로 많이 찾는다. 통나무로 지은 본관 건물과 초가집이 2채로, 본관 1층은 예식장, 2층은 식당을 겸하고 있다. 또한 꿩요리 전문점으로 유명하다. 숙박 시설, 통나무 집 식당[수용 인원 300여 명], 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고려시대 사찰 터. 서천암은 고려시대 고승인 혜일 스님이 수도하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하여 『탐라지(耽羅志)』, 『남사록(南槎錄)』 등에 서천암의 존재와 더불어 혜일 스님의 시가 기록되어 있다. 이원진의 『탐라지(耽羅誌)』에는 ‘재조공천상(在朝貢川上)’이라고 기록...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선운정사에 있는 조선 시대 석조 약사여래 좌불상. 약사여래는 사람들의 질병을 고쳐주는 약사 신앙(藥師信仰)의 대상이 되는 부처로 약사유리광여래(藥師瑠璃光如來)·대의왕불(大醫王佛)이라고도 한다. 선운정사 석조약사여래좌상은 조선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으로, 제주도에 있는 석불 중 가장 오래된 불상이며 통일 신라 시대 이래 유행한 약기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의 광령리·봉성리와 서귀포시 색달동 경계에 걸쳐 있는 봉우리. 세성제 오름은 3개의 봉우리가 연달아 있는데, 제일 큰 봉우리를 큰오름이라 부르고, 두 번째 봉우리를 셋오름, 세 번째 오름을 말제 오름 또는 족은 오름이라 부른다. 세성제 오름은 세 개의 봉우리가 연달아 이어져 있기 때문에, 예로부터 세진 오름 또는 세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쉐질이다. 소의 제주도 방언 쉐와 길의 제주도 방언 질이 합쳐져 소의 길의 의미를 가지며 쉐질 주변에 형성된 마을에서 유래한다. 19세기 초반에 쉐질을 표준어 소길로 인식한 뒤 이를 좋은 뜻을 가진 한자 소길(召吉)로 표기하였다. 1300년경 성씨·송씨·허씨가 입촌했다고 하며, 1600년경에 마을이 형성되었다. 19...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소길리 망곡동산 북쪽에 있는 고려시대의 고분. 유적은 소길리 망곡동산 북쪽에 자리한 꽃동산에 위치한다. 유적은 도굴로 인해 부장품들이 사라진 상태이며, 현재는 석관만이 남아 있다. 이 유적은 본래 좌랑못 남쪽 양시우씨 밭에 있었다고 한다. 이후 마을 인구가 불어나 식수 문제로 거리못에 우마의 출입을 금지하기 위한 표석을 세울 때 이 유적의 석...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소가 못에 빠져 죽은 이야기. 「쇠죽은 못」은 애월읍 하가리 근처에 있는 큰 못에서 전해 내려오는 지명담의 일종으로, 개선될 수 없는 삶의 궁핍상을 전설의 비극적 결말로 풀어내고 있다. 제주시 이호동에 사는 김재수가 구연한 것을 현용준이 채록하여 1976년에 출판한 『제주도 전설』에 실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믈메 또는 물미이다. 수산(水山)은 물메의 한자 차용 표기이다. 정상에 물이 있는 물메오름[水山峯]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데서 수산리라 하였다. 1373년(공민왕 22)에 최영 장군이 목호란을 평정할 때 적극 협조했던 진이백(秦李伯)이 이곳에 정착하여 살았다고 한다. 이후 여러 성씨들이 이주하여 살면서 마을이 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제주성(濟州城) 소속의 봉수. 수산봉수는 북동쪽의 도원봉수(직선 거리 8.7㎞)와 남서쪽의 고내봉수(직선 거리 4.3㎞)와 교신을 하였으며, 조부연대와 남두연대에 서로 교신하였다. 소속 별장 6명, 봉군 24명을 배치하였다. 수산봉수는 제주시 애월읍 구엄리 해안가에서 남동쪽으로 약 1.2㎞ 떨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에 있는 인공 저수지. 1959년 3월 식량 생산을 목적으로 한 농업용 저수지로 속칭 답단이내[川]를 막고 저수지 공사를 시작하여 1960년 12월 12일 수산저수지를 준공하였다. 이때 오름가름 및 벵디가름에 거주하는 70여 세대가 철거해야 했으며 이들은 제주시와 번데동, 구엄리 모감동 등으로 이주하였다. 제주에서 보기 드물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푸른 꿈을 안고 비상하는 건강한 교양인을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성실’이다. 1971년 3월 1일 신엄 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3월 3일 개교한 데 이어 4월 20일 8개 교실을 준공하였으며 1974년 9월 1일 교가를 제정하였다. 1985년 7월 1일 임간 야외 교실을 완성하였으며 1996년 9월 27일 급...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새엄쟁이다. 18세기 중반 이전에 엄쟁이에서 새엄쟁이[新嚴]가 분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1500년경 사람이 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1765년(영조 41)경에 제주목 우면에 속한 마을로 신엄장리·중엄장리·구엄장리가 기록되어 있다. 1905년 이후에 중엄은 신엄에 포함되었다. 본래 제주군 신우면 지역으로 구엄리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때의 방사탑. 제주도에서는 잡석을 이용하여 탑을 쌓고, 그 위에 새나 사람 등의 형상을 올려놓은 탑을 방사탑이라 하며, 애월읍 신엄리에 위치한 방사탑을 신엄리 방사탑이라 한다. 신엄리, 속칭 ‘중숫물’이라는 지경에 돌탑 1기가 있는데, 이 돌탑은 허(虛)한 것을 보강하고 사악(邪惡)한 것을 막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용천수. 신이물은 옛날 신의 계시에 의해서 이 용천수가 발견되었다는데서 유래되었다. 바다 가까이에서 용출하는 까닭에 밀물 때는 물맛에 소금기가 있으나 썰물 때는 수량도 많고 시원하다. 촘촘히 쌓아있는 환해장성이 물통 주변을 보호하고 있어 용천수와 더욱 조화를 이루고 있다. 신이물 주변은 자연석으로 둘러쳐 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가리 산간 지대에 있는 오름. 안천이 오름의 ‘안천이’가 사람 이름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한자를 차용하여 안천악(安川岳) 또는 안천이악(安川伊岳)이라고도 한다. 안천이 오름 동북쪽에는 족은바리메와 바리메가 있으며 남쪽에는 검은들먹 오름, 북쪽에는 노꼬메 오름이 있다. 안천이 오름의 높이는 742m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 지식 기반 사회에 부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력과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지성·창조·활달’이다. 1953년 4월 7일 상업과 6학급으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53년 4월 25일 애월 상업 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1968년 5월 20일 교가를 제정하였으며 1972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 1리에 있는 종합 체육 시설. 애월 국민 체육 센터는 시민의 건강 증신과 체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2008년 8월 23일 개관하였다. 도내 유일의 해수(海水) 수영장과 헬스장을 갖추고 지역 주민 에게 개방 운영되고 있어 제주시 서부 지역과 애월읍 지역 주민들의 생활 체육의 장이 되고 있다. 2008년 5월 5일 애월 국민 체육 센터가 준공되어 같...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공공 도서관. 농어촌 지역 청소년들의 면학 분위기 조성, 지역 주민들의 정보 이용과 문화활동 및 평생교육 증진에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97년 4월 21일 제정된 북제주군 공공도서관 설치운영조례와 동년 5월 1일 제정된 북제주군 공공도서관 설치운영조례시행규칙에 의거하여 동년 5월 1일 애월읍 도서관을 개관하였다. 20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올바른 인성을 지니고 꿈을 키워 가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건강한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순진하게 배우자, 심원하게 닦자, 용감하게 나가자’이다. 1947년 6월 18일 애월 중학원 설립 인가를 받은 데 이어 1947년 7월 5일 3년제 애월 공립 초급 중학교 설립 인가를 받아 1947년 10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에 있는 실내 체육관. 구 북제주군의 체육 시설은 학교 체육 시설이 전부일 정도로 매우 취약한 상황이었다. 그중 1978년 한림읍에 건립된 한림읍민관이 1990년대 초반까지 구 북제주군의 체육 요람의 구실을 담당했다. 1984년 제주도에서 열린 제13회 전국 소년 체육 대회 때에도 총 26개 개최 종목 중 구 북제주군에서는 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슬기로우며 미래를 주도할 창의성 있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슬기롭게·참되게·씩씩하게’이다. 1923년 5월 15일 신우 공립 보통학교로 인가를 받아 1923년 9월 4일 개교하였다. 1934년 4월 1일 부설 고성 간이 학교로 다시 인가를 받은 데 이어 1935년 4월 25일 애...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 2043번지에서 하귀 2리 1869-1번지에 이르는 도로. 제주시 애월읍을 지나는 애월 해안로는 애월~하귀의 바닷가 도로로 해안 절경이 빼어나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 많은 해안 도로이다. 또한 군도 22호선의 일부 구간이기도 한데, 군도 22호선은 2011년 국토 해양부에서 선정한 우리나라 대표 경관 도로 52선 중의 하나로 ‘바람 불어 좋은 절경...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원불교당. 원불교는 전라남도 영광(靈光)에서 출생한 소태산(少太山) 박중빈(朴重彬)이 법신불(法身佛) 일원상(一圓相)의 진리를 믿음의 대상과 수양의 표본으로 삼아 1916년에 개창한 종교이다. 원불교의 이상은 진리적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을 통하여 낙원 세계를 실현시키는 것이며, ‘Ο’을 상징으로 나타내어 불교의 현대화·대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일 것 같으나, 일찍부터 한자화했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애월이라는 음성형만 확인할 수 있다. 은 해안가라는 뜻인데, 은 월(月)의 뜻인지 확실하지 않다. 애월개 주변에 형성된 마을이라는 데서 애월리가 붙여졌다. 애월은 곽지 일원과 더불어 선사시대의 조개무지와 민무늬토기 파편 등이 발견되어 오래 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도대불. 애월읍 애월리 애월포 일대는 고려 원종 때 삼별초가 제주에 들어와서 항파두성을 쌓고 관군이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애월목성을 축성하였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에 1581년(선조 14)에 김태정 제주목사가 애월진성을 석축하였는데, 그 일부가 지금도 남아 있다. 지금의 애월리 도대불은 1930~1935년 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절왓 일대의 옛 사찰터. 마을 사람들은 애월리 사지에 금불상이 묻혀 있다고 믿고 있다. 애월리 사지에 절이 있었다면 식수는 ‘하물’을 사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하물’은 애월 우체국 앞에 있는 용천수로서 지금은 사용되지 않지만 표지석을 세워 잘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이곳은 잡목들이 우거져 있어 조사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탐라시대 후기의 생활 유적. 유적은 제주특별자치도 서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유적은 애월초등학교 입구에 위치한 용천수가 솟아나는 주변의 밭에 자리한다. 1998년 제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실시된 지표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이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유적은 유물 분포 범위가 약 200여 평 미만으로 소규모...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조선 시대 애월진 소속의 연대. 애월연대는 동쪽으로 고내봉수(직선 거리 2.7㎞), 서쪽으로 귀덕연대(직선 거리 3.2㎞)와 교신하였으며, 소속 별장 6명, 봉군 12명이 배치되었다. 애월연대는 애월진이 있었던 애월초등학교에서 서쪽으로 600m 정도 떨어진 곳에 있으며, 속칭 ‘연디왓’이라 불린다. 밖으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가리에 있는 팽나무. 1982년 제주도의 나무로 지정되었고, 수령이 900년이 넘는다. 최고령목으로 보호되고 있는 도지정 나무인데, 제주 4·3사건 당시에도 이 아름드리나무 안에 숨어 지냈다고 한다. 제주에는 마을마다 팡돌(쉼돌)과 그 가운데 큰 나무가 자리하는데, 대부분이 팽나무(폭낭)이다. 팽나무가 많기도 하였거니와 높이 자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에 있는 세 사람의 정려비를 한데 모신 조선 후기의 정려각. 『박씨삼정문록(朴氏三旌門錄)』에 따르면 박계곤(朴繼崑)[1675~1731]은 성품이 돈후하고 몸가짐이 신중했으며, 효도와 우애가 남달라 몸을 아끼지 않고 어버이를 공양하여 자식 된 직분을 다 하였다고 한다. 박계곤의 딸인 박씨 부인은 이항춘(李恒春)과 혼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조선 중기의 진성. 애월진성에는 조방장 1명, 치총 2명, 성정군 84명, 유직군 86명, 서기 7명 등 총 180명이 병력이 있었다. 관할은 1봉수(고내 봉수), 2연대(남두 연대, 애월 연대)였다. 애월진성은 처음에는 고려 원종 때 삼별초가 들어와서 관군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목성(木城)이었다. 이를 방어 시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포구. 애월포는 지금의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큰돈지·샛돈지·족은돈지를 두고 이른 말이다. 애월포는 「제주삼현도」에 나와 있는 애월촌이라는 마을의 이름을 취한 포구 이름이다. 『남사일록』에 의하면 애월포는 제주도 북쪽에 있는 다섯 개의 연육포구 중 하나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남사록』에서는 이곳에 당시 명...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연안항. 1968년 6월 16일 애월항 방파제 연장 공사에 국고 120만 원이 투자되어 동년 8월 10일 준공됨으로써 총 70m의 방파제가 완공되었다. 1971년 12월 21일 애월항은 수산청 고시 제44호에 의거 제1종 어항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따라 1972년부터 시작된 애월항 항만공사는 총 공사비 8억 7900백만 원이 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해안가를 돌담으로 쌓은 성. 애월환해장성은 왜구 등 적을 막기 위해 애월읍 해안가를 돌아가면서 단단히 쌓은 약 360m의 환해장성이다, 왜적이나 적선들이 쳐들어왔을 때 쉽게 정박할 수 없도록 쌓아놓은 환해장성은 제주 지역의 지형상 전도에 걸쳐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거의 사라지고 없으며, 현재 총 5,120m...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봉우리. 예로부터 도내미 또는 도노미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도내산(道內山)으로 표기하였다. 이 도내미 가까이에 형성되었던 마을을 도내미 을이라 하여 도내산리(道內山里)로 표기하였다. 그러다가 18세기에 도내산리를 어도내산리(於道內山里)로 바꾸었다. 어도내산리에서 內[내]와 山(산)을 표기에서 생략하여 어도리(於道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건강하며 슬기롭게 탐구하는 자주적인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참되고 바르게, 슬기롭고 튼튼하게’이다. 1943년 4월 1일 어도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43년 6월 3일 개교하였다. 1949년 3월 10일 제주 4·3 사건으로 교사가 전소되어 폐교되었다가 1949년 9월 1일 다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일대에 있는 옛 사찰터. 어도리 사지의 뒤편은 동산 모양의 지형이라 절동산이라 부르고 있다. 4·3 사건 이전에는 마을이 형성되어 있었으나 군인들에 의해 소개된 후 잃어버린 마을이 되었다. 예전에는 절동산 북서 방향 ‘상수모를’ 쪽에 절물이 있었다고 전하나 지금은 사용하지 않아 매립되었다. 애월읍 봉성리 노인 회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금성리에 있는 도림사 내의 용천수. 절새미터 인근은 1565년(명종 20) 때 제주도로 귀양 왔다가 제주목사 변협의 잔혹한 폭력에 의해 장살당한 보우 대사의 적거지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허응 보우 대사는 조선 불교의 중흥조로 일컬어지는 선사로서 선교 양종을 다시 일으켜 세웠다. 그러나 1565년 문정왕후가 세상을 떠나자 곧...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부멘이다. 설촌 문씨가 부부 갈등으로 가출한 후 남은 송씨 부인이 남편 얼굴을 보고 죽는 것을 소망해서 부면이(夫面伊)란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일찍부터 부멘이라 하였다. 이 마을에 맨 처음 문씨와 송씨 부부가 정착하였다고 한다. 18세기 말까지 독립된 행정 마을이었으나 19세기 초반부터 어음에 통합되었다. 1948...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1964년부터 옛 어름비와 돌깍이 일대를 어음2리라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1504년 갑자사화 당시 홍문관 교리였던 박후신이 노복 30여 명을 거느리고 유배되었는데, 그 일대에 비옥한 황무지를 개척하여 자기 호를 따라 정자촌(正字村)이라 칭하고 거주한 것이 오늘의 어음2리의 시초이다. 본래 제주군 신우면 지역으로 한라산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신엄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여우 잡은 관리 이야기. 한림읍 월림리에 사는 홍태효(남, 83세)가 구연한 것이 채록되어 1985년에 출판된 『제주도전설지』에 실렸다. 안영장은 목사청에서 일보는 관리였는데, 용기와 학식을 겸비하여 주위에서 칭송이 자자하였다. 어느 날, 늦게 일을 마친 안영장이 말을 타고 하가리 집으로 돌아오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에 있는 연못. 연화못은 넓이가 3,780여 평으로 봉천수에 의한 연못으로는 제주도에서 가장 넓다. 연화못은 연꽃이 많은 연못이라는 데서 비롯되었다. 연화못은 마을 안에 위치하고 있어 갈수기에는 농업용수로 이용할 뿐만 아니라 연꽃·수련·소리쟁이·쇠무릎 등과 각종 수생 식물을 비롯하여 어류 등 다양한 종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에 있는 용천수. 항파두리성 북쪽 극락사 경내에 있는 생수로 구시물과 함께 삼별초군의 식수로 사용되었다. 옹성(雍城)은 무너지지 않는 성이란 뜻인데 생수가 솟아나는 지형을 보고 붙인 이름인 듯하다. 또 오생물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옹성물의 와음이거나 아니면, 성 밑으로 나는 다섯 개의 샘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즉 거제비·자귀남...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송냉이와 용를이다. 사방의 소나무군[松浪]과 마을 동쪽의 용마루[龍旨] 동산으로부터 얻은 이름이다. 1950년대 초반 신엄에서 분리되어 용마루의 용이 흥한다는 뜻으로 용흥리라 하였다. 마을 농경지에서 약 2천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기시대의 유물인 돌칼과 돌도끼가 출토된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취락이 형성된 것...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소길리 원동마을 터에서 제주 4·3 당시 토벌대에 의해 학살당한 원동마을 주민들의 영혼을 위로하기 위해 열렸던 굿. 원동마을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소길리에 있는 마을로, 1948년 음력 10월 13일 마을 주민들이 토벌대에 의해 무참하게 학살당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사건으로 6가구 60여 명 중 34명의 주민이 희생당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 파군봉에 있는한국 불교 태고종 사찰. 파군봉(破軍峰)을 끼고 흐르는 병풍천 지경에는 예로부터 ‘부처물’이라는 용천수가 샘솟는 부처물동이 위치한다. 부처물동 인근은 조선시대 이래로 월영사(月瀛寺)가 자리 잡고 있던 유서 깊은 곳이다. 주위의 지형은 비교적 평탄하나 부처물이 있는 곳에는 하천과 산이 있어 다소 비탈을 이룬다. 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 월영사에 있는 목조 불상. 1950년경 정용하가 남선사를 창건하면서 백양사에서 모셔와 봉안한 것이다. 이후 남선사가 폐사되면서 월영사의 전 주지인 설우가 월영사를 창건하면서 모셔왔다. 월영사 소장 목조여래좌상의 크기는 전체 높이 51㎝, 어깨 너비 22.5㎝, 상호 높이 18㎝이다. 나발(螺髮)의 머리 위에 큼직한 육계가 솟...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봉우리. 윗세 오름은 크고 작은 봉우리 세 개가 연달아 이어져 있는데, 제일 위쪽에 있는 큰 오름을 붉은 오름이라 하고, 가운데 있는 오름을 누운 오름, 아래쪽에 있는 오름을 족은 오름이라 하였다. 예로부터 윗세 오름 또는 웃세 오름으로 불렀다. 위에 있는 세오름이라는 데서 붙인 것으로, 아래쪽에 있는 세오름에 대응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흐리믈과 검은데기인데, 흐리믈은 우물, 검은데기는 바위언덕을 의미한다. 조선 개국 초기에 마을이 형성되었고, 생수가 용출하여 사계절 끊이지 않고 물이 흐르는 언덕이란 의미로 흐리믈이란 지명이 생겨 오랫동안 불렸다. 본래 제주군 신우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폐합 때 흐리물과 검은데기를 금덕리라 하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일대의 고려 시대 사찰 터. 유수암리 사지 일대에는 ‘절터’, ‘절왓’, ‘절물’이라는 사찰과 관련된 지명이 남아 있다. 절물이 자리 잡고 있는 극락봉은 해발 고도 314m의 오름으로 고성리와 금덕리 경계에 자리하고 있다. 절터는 절물에서 하천을 건너 보이는 북동쪽의 경작지로 추정된다. 고려 시대 청자편, 분청사기편, 조선...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산새미 오름 북쪽에 있는 고려 후기 김수 장군의 묘로 불리는 무덤. 유적이 위치한 산새미 오름은 해발 650m의 높은 곳이다. 항파두리성 내성에서 남쪽으로 약 5㎞ 정도 떨어져 있다. 김수 장군의 묘로 추정되는 무덤이 이 오름의 북쪽에 있다. 산새미 오름은 1270년 9월 고려 정부군의 영광부사 김수 장군과 그 휘하의 고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에 있는 용천수. 김통정 장군이 이끄는 삼별초군이 항파두성을 근거지로 삼으면서 고성리의 구시물과 옹성물을 비롯하여 이 유수암천까지 식수로 사용하게 되면서 유수암천의 초기 형태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유수암천의 머릿돌 곁에 세워진 비석 내용의 일부를 옮기면, “한라산 서북나래 드리운 곳에 우뚝솟은 절마루! 그 아래 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봉우리. 이달이 오름은 두 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는데, 두 봉우리를 아울러서 이달이 오름이라고 한다. 높은 봉우리를 큰오름이라 하고, 베락맞은그정·큰그정·족은그정 등이 있다. 그리고 낮은 봉우리는 족은 오름이라 하며, 촛대 오름 또는 촛대봉이라고도 부른다. 예로부터 이달이 오름이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봉우리. 예로부터 이렁 오름 또는 이스렁 오름이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이사랑악(伊士郞岳·伊士良岳) 등으로 표기하였다. 이렁, 이스렁은 고유어로 보이는데, 그 뜻은 확실하지 않다. 이스렁 오름 북쪽에는 망체 오름[쳇망오름]이 있고, 남쪽에는 볼레 오름, 동남쪽에는 영실과 영실 계곡이 각각 있다. 식생으...
-
일제강점기 제주 출신의 소설가. 애월초등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일본의 아이치현[愛知懸]에 있는 서미잠사학교(西尾蠶絲學校)를 거쳐 경성사범학교 강습과와 혜화전문학교 흥아과(興亞科)를 졸업하였다.일제강점기에 전라남도 곡성의 삼기공립보통학교, 전라남도 함평의 함평공립소학교, 함경북도 경성공립농업학교, 제주공립농업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다. 1944년 『국민문학』 8월호에 「이여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출신의 소설가. 1940년 3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외국어전문학교 산하의 제1외국어학교에 입학하였으나 1년 3개월 만에 중퇴하고 노동자가 되었으며, 주로 일본 문인들과 교류하며 문학 활동을 하였다. 일본청년문학자협회 회원이 되면서 『청년작가』 1942년 7월호에 모이야마 이페이[森山一兵]이라는 이름으로 일본어 소설 「밭당님(畑堂任)」을 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용천수. 어떤 사람은 과거 애월진을 수비했던 장군이 이용했다고 하여 장군물이라고 하고, 김신현(金信鉉)의 재정 지원으로 장익준(張翼駿)이 치수를 했기 때문에 장공물이라고 부른다고도 전한다. 현재 이 샘에는 치수비가 보존되어 있다. 하물에서 동남쪽으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5~6평 정도의 용천이다. 하물이 과거 여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에 있는 샘. 항파두리성과 관련한 용천수로는 오성물·구시물·장수물·유수암천·장털 등이 있다. 그 중 장수물은 삼별초의 김통정 장군이 관군에게 쫓기다가 토성을 뛰어넘었을 때, 바위에 파인 발자국에서 물이 솟아나게 되었다는 전설이 깃들어 있는 곳이다. 토성의 서쪽에 있으며, 물이 솟아 흐르는 주변에는 바위들이 둘러져 있으며, 주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장전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예절 바르며 미래를 열어 갈 창의적인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올바르게 슬기롭게 튼튼하게’이다. 1946년 8월 21일 장전 공립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하였으며, 1949년 1월 25일 제주 4·3 사건으로 전소되어 폐교되었다가 1950년 5월 25일 재인가를 받아 다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진밧 또는 장밧이다. 긴 밭이라는 뜻으로 장전(長田)은 한자 차용 표기이다. 진밧은 김통정 장군이 대몽항쟁 당시 장전 일대를 군사훈련 장소의 책임자에게 지급한 토지의 명칭에서 유래한다. 대몽항쟁 군사들과 제주 사람들이 촌락 형태를 이루어 집단적으로 살기 시작한 마을이다. 1948년 4·3사건 때 정부 소개령으로 가옥...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장전리에 있는 옛 사찰터. 장전리 사무소에서 소길리 입구 표지판이 있는 길을 따라 남쪽으로 500m 정도 가다 보면 마을의 포제청으로 이용되는 정자가 있다. 이곳에서 우회전하여 서쪽으로 난 시멘트 포장길을 따라 약 320m 정도 가다가 좌회전하여 비포장 도로를 달리면 길 왼쪽에 철대문으로 막아놓은 곳이 있다. 장전리 사지는 이곳 막...
-
조선 후기 대정현감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호는 녹담(鹿潭). 아버지는 이차방(李次房)이다. 1770년(영조 46) 향시에 합격하고 대과에 응시하려 출항하였으나 풍랑을 만나 유구(琉球)[일본 오키나와]의 호산도(虎山島)에 표착하였다. 온갖 고생 끝에 1771년(영조 47) 2월에 서울에 도착하여 식년시에 응시하였으나 불합격하자 5월 8일 귀향하여 『표해록(漂海錄)』을...
-
1771년 장한철(張漢喆)이 폭풍을 만나 표류하다가 귀국한 경험을 쓴 표류기.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서 태어난 장한철은 1770년 12월 25일 과거 시험을 보기 위해 서울로 가다가 풍랑을 만나 류쿠제도(琉球諸島)[오키나와]에 표착을 한다. 『표해록』은 장한철이 류큐제도에 표착한 뒤 일본으로 가는 상선을 만나 구조된 뒤, 우여곡절 끝에 한양에 가서 과거에 응시하고 낙방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새별오름에서 매년 개최되는 목축 문화를 계승한 들불 축제. 제주선인들은 험난한 자연환경을 인내와 도전 정신으로 극복하여 왔고, 또 자연에 순응하며 지혜롭게 역사를 일구어 오는 동안 제주만의 독특한 민속 문화를 잉태하여 왔다. 이러한 제주선민들의 옛 생활풍속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계승, 발전시킨 정월대보름 들불축제는 제주의 전통 민속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2리에 있는 사립 전문 대학교. 내실 있는 교육 환경 구축으로 100% 취업 목표, 21세기를 선도하는 교육, 학생 복지를 우선으로 하는 것이며 교훈은 ‘성실하고 예절 바른 진취적 기상의 젊은이’이다. 1991년 12월 학교 법인 제주 교육 학원 설립 인가를 받아 1992년 12월 제주 관광 전문 대학을 설립하였다. 1997년 6월 부속...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에 있는 난대림 지대. 면적 33,980㎡[10,000평]에 이르는 넓은 곳에 금산 공원이 있고, 이곳에 원시림으로 우거진 울창한 상록 수림이 있다. 현재 자연림의 원형을 보존하고 있는 표본 지역으로서 원 식생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제주 납읍리 난대림은 제주시의 서부 지구에서 평지에 남아 있는 유일한 상록 수림으로 상록...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수산리에 있는 곰솔나무. 나무 모양이 특이하여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나이는 400년 이상 되었다. 소나무의 줄기가 붉은 것과는 달리 해송은 새까만 껍질을 가지므로 흑송(黑松)이라 하였는데, 순수 우리말로 검솔이라 하다가 곰솔이 되었다. 2004년 5월 14일 천연기념물 제441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나무의 높이는 10m, 가슴 높이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와 신엄리에 있는 연자마(硏子磨) 2기(基). 연자마는 농기구의 하나로서, 둥글고 판판한 돌판 위에 직경 120㎝ 안팎의 둥근 돌로 웃돌을 세우고 이를 말이나 소가 끌어 돌림으로써 곡식을 찧는 연장이다. ‘연자방아’라고도 하며, 제주도에서는 주로 말이 끌기 때문에 ‘말방에’, ‘말가레’라 하는데 가레는 맷돌의 사투리이다. 따라서 연자매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어음리에 있는 용암 동굴. 제주 어음리 빌레못 동굴은 1971년에 발견되었으며 1978년부터 실시된 세 차례의 한·일합동조사를 통해 마침내 세계에서 제일 긴 동굴로 공인받게 되었다. 평평한 암반을 뜻하는 제주어 ‘빌레’와 연못의 ‘못’이 합쳐져 ‘빌레못’이라는 명칭이 유래하였다. 속칭 ‘소라굴’이라고도 한다. 제주 어음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2리에 있는 사립 정신 지체 특수 학교. 스스로 행하여 자활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이며 교훈은 ‘스스로 행하자’이다. 1985년 1월 29일 학교 법인 금오 학숙 설립 인가를 받아 1987년 3월 21일 초등 4학급, 중학 2학급의 제주 영송 학교를 설립하였다. 1989년 12월 4일 유치부와 고등부를 증설하였으며 2001년 2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에 있는 공립 특수 목적 고등학교.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를 주도할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건전한 세계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스스로 탐구하여 세계로 나아가자’이다. 2003년 5월 19일 자율 학교 지정에 따른 학교헌장이 제정되어 2004년 3월 5일 제주 외국어 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이때 제주도 교육청 지정 자율 학교로 지정...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에 있는 삼별초가 최후까지 대몽항쟁을 벌인 유적지. 13세기에 고려를 침략한 몽고군에 저항하여 싸운 삼별초의 최후의 항쟁지이다. 1271년(원종 12) 5월 삼별초를 이끌고 제주도에 들어온 김통정 장군은 이곳에 내·외성으로 된 항파두성을 축조했다. 외성은 길이가 15㎞에 이르는 토성이었고, 내성은 둘레 800m의 석성이었다. 이 성을 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감귤을 재배하는 농민의 협동조합인 제주감귤농업협동조합의 지소. 협동조합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농민이나 중소 상공업자, 일반 소비대중들이 상부상조(相扶相助)의 정신으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물자 등의 구매·생산·판매·소비 등의 과정을 협동으로 영위하는 조직 단체를 말한다. 애월읍 지역은 1960년대부터 1...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휴양 숙박 시설. 객실은 한실과 양실로 구성되어 총 14개가 있으며 부대시설로 로비라운지, 한식당, 승마장, 당구대, 공연장 등을 갖추고 있다. 제주그린리조트에서는 1997년 국내 최초로 제주 지역의 특색을 살린 몽골리안 마상쇼를 개발해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선보이고 있으며, 제주그린리조트가 있는 새별오름은 정월대보름 들불축제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있는 특수 선교 방송사. 극동방송은 1970년 일본 오키나와극동방송 이전 후보지로 제주를 선정하고 재단법인 아세아방송국을 설립했다. 윌킨손(Georgelyn Willkenson) 선교사가 아세아방송 설립위원장을 맡아 개국 업무를 추진하다 1971년 8월 순직하였다. 김장환(金章煥) 목사가 그 후임으로 선임되었다. 명칭은 국제 복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새별오름에서 억새꽃 풍광을 주제로 개최되는 가을 축제. 1993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억새군락지에서 도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 특유의 가을 풍광인 억새를 주제로 한 관광 문화 축제를 기획하면서 시작되었다. 개막축하쇼, 걷기대회, 베스트커플, 즉석이벤트, 체험프로그램, 어린이사생대회, 억새를 소재로 한 작품전시회, 제주 관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2리에 있는 노인 복지 의료 시설. 원불교 교조 박중빈(朴重彬) 대종사의 삼동윤리(三同倫理)를 바탕으로 ‘무자력한 타인의 부모라도 내 부모같이 보호하라’는 부모보은을 통한 복지 활동을 실천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86년 9월 30일 원불교 사회복지법인 삼동회에서 제주원광요양원 설립을 결의하여 1988년 4월 1일 제주원광요양원을 개원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에 있는 제주 지역 조각 미술의 향상 및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창립된 미술 단체. 제주 지역 조각 미술의 향상 및 발전을 도모하고 회원의 권익을 옹호하며, 회원 상호간 친목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88년 제주조각회로 창립하여 창립총회 및 창립조각회전를 개최하였다. 2000년 제주조각회에서 제주조각가협회로 명칭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가리에 있는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 산하 농업 지원 기관. 제주시 농업의 발전과 농업인의 복지 향상을 도모하고 농업 과학 기술의 진흥을 위한 시험 연구 사업과 농촌 지도 사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957년 5월 28일 제주시 농사교도소가, 1957년 6월 5일 북제주군 농사교도소가 설립되었다. 1962년 4월 1일 각각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라1동에 있는 씨름 경기를 보급·육성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체육회의 가맹 경기 단체. 대한민국의 민속 경기인 씨름을 도민에게 널리 보급하여 도민 체력을 향상시키며 건전하고 명랑한 사회 기풍을 진작하는 한편, 씨름인 및 그 단체를 통할 지도하고 우수한 선수를 양성하여 제주 체육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8·15 해방을 맞아 제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 1리에 위치한 제주특별자치도립 소속 예술단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른 제주특별자치도립 예술단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으로 인해 제주시립 교향악단과 제주시립 합창단을 제주특별자치도립 제주 예술단으로 통합하여 현재의 제주특별자치도립 제주 예술단으로 운영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립 제주 예술단은 제주 시민의 정서 함양과 지방 문화 예술의 창달에 그 목적...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옛 이름은 중엄쟁이다. 동쪽으로는 구엄리, 서쪽으로는 신엄리의 중간에 위치하여 중엄장이(中嚴莊伊)라 불리어 왔다. 1560년경에 용천수와 바다에서 고기를 잡으면서 거주가 시작되어, 1744년(영조 20)에 약 32호의 가구가 마을을 형성하였으며, 이때부터 중엄장이라 불리게 되었다. 1857년(철종 8)에 중엄리로 개칭되었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납읍리에서 부르는 ‘김매는 소리’의 하나. 「진사대 소리」는 「긴사대 소리」라고도 부르는데, 「자진사대 소리」와 「김매는 아외기 소리」·「김매는 홍애기 소리」 등과 함께 주로 여성들이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이다. 농사의 종류에 따라 김매는 시기도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김매는 작업은 조와 콩·고구마 등 여름 농사와 관련하여 김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봉우리. 예로부터 쳇망 오름 또는 망체 오름이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천망악(川望岳) 또는 망체악(望體岳) 등으로 표기하였다. 쳇망 또는 망체는 체에 대응하는 제주어로, 오름의 형세가 체와 같다는 데서 붙인 것이다. 쳇망과 망체는 대나무 따위로 둥글게 만들어 곡식에서 겨나 티끌·싸라기를 걸러내는 데 쓰는 용구를 이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에 있는 고려 시대 사찰 터. 태산사지 바로 동쪽에는 유수암천이 있고, 절동산 위로 올라가면 평평하게 땅을 고른 듯한 잔디밭이 나타난다. 이 잔디밭 주변을 둘러싼 동산 기슭에는 무환자나무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는 옛 태산사의 승려들이 염주를 만들 때 사용하려고 심어놓은 나무라고 한다. 여러 환경을 고려해 볼 때 태산사의 창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1리에 있는 용천수. 샘 구멍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온 물은 1차로 음용수가 되고 풍부한 물줄기는 다시 40평 크기의 또 다른 샘물통으로 모아지는 모양을 하고 있다. 병풍내라는 하천에 있는 물이라는 뜻이다. 병풍내는 하귀1리와 하귀2리의 경계선이 된다. 펭풍은 병풍의 제주 방언이다. 샘가 주위를 커다란 바위들이 마치 병풍을 두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봉우리. 예로부터 폭낭 오름[퐁낭]이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팽목악(彭木岳)으로 표기하였다. 폭낭은 팽나무의 제주어로, 유난히 눈에 띄는 폭낭이 있는 오름이라는 데서 붙인 것인데, 현재 그 폭낭이 어느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폭낭 오름의 북쪽에는 궤미 오름과 독물 오름이, 동북쪽에는 레 오름이, 남서쪽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하가리의 옛 이름은 알더럭이다. 가락은 더럭의 한자 차용 표기인데 가(加)는 더의 훈가자 표기, 락(樂)은 럭의 음가자 표기이다. 더럭은 고유어로 보이는데 그 뜻은 확실하지 않다. 18세기 초반 이전부터 더럭못 아래쪽을 알더럭이라 하였다. 고려시대부터 화전민이 모여 살다가 1418년(태종 18) 현촌 고내리에서 분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에 있는 제주 전통 초가. 제주 초가는 마당을 사이에 두고 안거리[안채]와 밖거리[바깥채]가 서로 마주 보는 一자형 평면 구조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가리 문귀인 가옥 또한 4칸의 안거리와 3칸의 밖거리가 마당을 사이로 一자형 평면 구조로 마주하고 있다. 특히, 안거리는 큰구들, 고팡, 상방, 책방과 작은구들, 정지로 구성된 4칸형의 전형적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에 세워진 방사탑. 제주도에서는 잡석을 이용하여 탑을 쌓고, 그 위에 새나 사람 등의 형상을 올려놓은 탑을 방사탑이라 하며, 애월읍 하가리에 있는 방사탑을 하가리 탑이라 한다. 하가리 방사탑은 상가리와 하가리 마을 길가 옆에 있다. 현재 ‘상가동동’이라고 쓰여 있는 버스 표지에서 서쪽으로 약 40...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가리에서 음력 정월에 유교식 마을제를 지냈던 제청. 하가리의 유교식 마을제는 이사제, 또는 포제로 불렸는데, 제단은 원래 마을 안의 고내봉 남쪽 보섭코지에 있었다. 옆 마을과의 경계에 있다고 하여 1898년 앞동산의 현재 위치로 옮겨 왔다. 마을제는 80여 년 전까지만 해도 걸궁으로 경비를 마련할 만큼 중요한 마을 행사였다고 한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 1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마음과 튼튼한 몸으로 알찬 실력을 진닌 창의적인 학생을 기른다.’는 것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교훈은 바른 생각 참된 행동이다. 2011년 6월 13일 가칭 신하귀 초등학교 설립 공사를 착공하여 10월 28일 하귀 일 초등학교로 교명을 확정하였다. 2012년 1월 11일 제주특별자치도 도립 학교 설치 조례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의 바르고 몸과 마음이 건강한 창의적인 어린이를 육성하는 것이며 교훈은 ‘올바르게 슬기롭게 튼튼하게’이다. 1940년 3월 25일 하귀 심상소학교로 인가를 받아 1940년 9월 1일 2학년 2학급으로 개교하였다. 1981년 2월 5일 1학급의 병설 유치원 설치 인가를 받았으며 1994년 2월 24일 노천 수영장...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예전에는 동귀리였으나 1953년부터 귀일리와 함께 알귀일[下貴]에서 나뉘었다. 동귀리의 옛 이름은 군랭이인데 이의 한자표기인 군랑(軍浪)을 통해 삼별초 당시 항파두리성의 전초기지 및 군항지로 이용했다는 데서 비롯되었다고 추정한다. 삼국시대부터 촌락이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1609년(광해군 1) 동서 방리 설치 때 하귀(下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1리에 있는 지방어항. 애월읍 하귀1리에는 ‘한개’라는 포구가 있었으며 이증의 답사기에서는 한개를 귀일포라고 하였다. 한개는 ‘크다’의 뜻을 지닌 ‘한’과 ‘개’로 이루어진 말이다. 포구의 규모는 그리 크지 않으나 그 바깥 ‘한개코지’와 ‘남당머리’ 사이의 수심이 7m 안팎으로 깊어 예로부터 큰 배도 정박할 수 있었기 때문에 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에 속한 행정리. 예전에는 귀일리였으나 1953년부터 동귀리와 함께 알귀일[下貴]에서 나뉘어졌다. 고려시대 귀일촌의 중심 마을로서 지석묘가 있는 걸로 보아 신석기시대부터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추측된다. 1147년~1170년에는 대촌으로 설정되어 예로부터 주거지로 적합한 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본래 제주군 신우면 지역으로 귀일현이 있어서 귀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에 있는 탐라 성립기에서 탐라시대 전기에 이르는 고인돌군. 1986년 제주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실시된 지표 조사에서 고인돌 3기가 확인되었으며, 최근에 가문동 해안가에서 조간대 고인돌 1기가 추가로 조사되었다. 이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1985년 이 유적의 주변에 위치한 외도동 고인돌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에 있는 도대불. 하귀리 도대불이 위치했던 하귀리 선창은 일명 군항포로 불리는 곳이다. 고려 원종 때 삼별초가 제주로 들어올 당시 항파두성의 전초 기지 및 군항으로 이용되었던 선창이 바로 이곳으로, 지금도 그때의 역사를 증언하는 지명이 곳곳에 남아 있다. 하귀리 도대불은 석유를 이용한 남포등을 켜서 불을 밝혔으나, 1970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귀리에 있는 탐라 성립기에서 탐라시대 전기에 이르는 생활 유적. 유적은 제주특별자치도 서북부 지역에 위치한다. 유적은 하귀리 마을 입구에 해당하는 국도 12호선 양쪽의 비교적 평탄한 대지상에 자리한다. 2007년 하귀 지구 택지 개발 공사와 관련하여 호남문화재연구원에 의해 실시된 발굴 조사에서 확인되었다. 조사 결과, 탐라 성립기에서 탐라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애월리에 있는 용천수. 하물은 바위틈에서 용출하는 용천수로 그 양이 풍부하고 수질이 좋아 상수도가 보급되기 전 애월 주민들의 식수로 이용되었다. 하물은 큰물이란 뜻이다. 하물은 마을 중심에 있으며 주민들의 생활용수와 부녀자들의 빨래터와 노천 목욕탕으로 사용했었다. 이곳은 마을의 정보를 서로 교환하는 장소이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에 있는 제주마를 보호·육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기관. 1922년 4월 5일 설립 인가된 조선경마구락부는 5월 20일 최초로 경마를 시행하였다. 1942 3월 1일에는 조선마사회가 설립되었으며, 1949년 9월 29일 조선마사회에서 한국마사회로 명칭을 바꾸었다. 한국마사회는 「한국마사회법」 제1조에 근거하여 경마의 공정한 시행과 원활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산간 지대에 있는 오름. 한대비케 또는 한뎃비케라고도 하며 한자를 차용하여 한대악(漢大岳)이라고도 한다. ‘한대’의 뜻은 확실하지 않으며 ‘비케’는 ‘비크래기’라고도 하는 비탈진 곳을 이르는 제주어이다. 한대 오름의 동북쪽에는 노로 오름, 동쪽에는 세성제 오름, 남쪽에는 돌오름, 서쪽에는 검은들먹 오름과 레 오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에 있는 고려 후기 기와를 구웠던 가마터. 제주시 애월읍 상귀리 항파두리성 내 북쪽 200m 지점에 위치한다. 항파두리 기왓가마터 남쪽에는 구시물, 서쪽에는 장수물이라는 용천수가 있다. 항파두리 기왓가마터의 지형은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다. 가마는 지형을 따라서 축조된 듯하다. 현재 노출되어 있는 것은 화구(火口)...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고려 시대의 토성. 항파두리 토성은 제주 지역의 삼별초 지휘부가 들어섰던 곳으로 항몽의 주요 거점이었다. 성을 축조할 때는 방어의 일차적 요소인 지형도 중요하지만 생활에 필요한 음용수 역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항파두리 토성의 음용수는 성의 북서쪽 외곽에 발달된 구시물 등의 용천수와 각 하천의 웅덩이 등에 고인 담천수였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항파두리성 안에 있는 고려시대의 건물지. 유적은 고성리 항파두리성 안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2002년의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학술조사 및 종합 기본정비 계획』에 따르면, 현재 확인된 항파두리성 안의 건물지는 대궐터와 그 밖에 3곳이 더 있다. 대궐터는 내성 안 삼별초의 수뇌부가 거주하는 중심 건물지로 지적되고 있다. 나머지 3곳...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출신의 현대 국어학자. 본관은 연주(延州), 호는 연암(延岩)이다. 1920년 8월 16일 제주도 제주시 애월읍 어도리 구몰동에서 태어났다. 2004년 1월 2일 제주도 제주시 용담동 자택에서 향년 84세로 세상을 떠났다. 제주학의 제1세대로서 평생 제주도 방언 연구에 주력하여 그 기틀을 마련하였다. 1943년부터 1944년까지 일본 관서대학 전문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에 있는 봉우리. 제주도에는 레 오름이 여러 군데 있는데, 이 오름도 그 중 하나이다. 이 오름은 일찍부터 레 오름이라 부르고 한자 차용 표기로는 월라악(月羅岳)과 월내악(月乃岳)·월라봉(月羅峯)·다율악(多栗岳) 등으로 표기하였다. 레는 다래의 제주어로, 다래가 많이 났던 오름이라는 데서 붙인 것이라고 한다. 이 오름 북...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리에 있는 봉우리. 예로부터 남 오름, 낭 오름, 나 오름이라 불렀으며, 한자 차용 표기에 따라 진목악(眞木岳)으로 표기하였다. 곧 오름에 남, 낭[참나무]이 많았기 때문에 붙인 것이다. 나 오름은 시간이 흐르면서 처나오름으로 변하여 천아오름으로 인식하고 천아악(天娥岳)[天娥峰]으로 쓰면서 잘못된 표기와 해석이 나오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