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가정(佳亭)과 신흥동(新興洞)의 첫 자를 따서 가신동(街新洞)이라 하였다. 가정천(佳亭川)과 신흥천(新興川)을 따라 농사짓기에 편리한 산골짜기에 형성된 마을로, 조선 중기 이전에 주민들이 들어와서 생활의 터전을 잡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가신2리에 장수황씨, 가신1리에 풍산홍씨·계계유씨 그리고 신흥동에 청주한씨...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에 있는 고려장 터로 불리는 무덤 유적. 중앙탑면에서 노은면 방면의 신전마을을 지나 오른쪽으로 들어서면 신흥동에 이르는데, 가신리 고려장지는 이곳 북쪽 거먹골 서쪽 과수원 뒤쪽에 있다. 1998년 충주시의 지표 조사 당시 확인된 유적으로, 석재가 흩어져 있었다. 2000년 충주박물관의 노은면 일대 지표 조사에서 흩어진 석재와 함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처음에는 도랑가에 있는 느티나무에 개인이 해마다 떡을 해다 놓고 서낭제를 지냈으나 느티나무가 죽은 후에는 한동안 지내지 않았다. 그 뒤로 동네 젊은이들이 자꾸 죽어 나가는 일이 일어나므로 무당을 불러 굿을 하였고, 1995년부터 대동계를 중심으로 서낭제를 지내고 있다. 신당은...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신흥동에 있는 고려시대 야철지 유적. 충주는 우리나라 3대 철산지의 하나로 광맥이 발달하여 양질의 철광이 많은 곳이다. 일찍부터 제철과 관련된 유적과 일화가 많이 전해진다. 충주 탄금대에서는 백제시대의 제련로가 확인되었으며, 백제 때 축성된 탄금대 토성에서도 철 교역의 자료인 철정 40매가 출토되었다. 또한 『삼국사기』에 삼국통일...
-
1915년경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서 발견된 삼국시대에 조성된 금동 광배. 건흥5년명 금동불 광배는 금동삼존불에 활용되었던 것으로, 광배는 금동으로 제작되었으며 가운데 배치된 본존불은 남아 있지 않고 좌우에 보살상과 3구의 화불(化佛) 등이 배치되었다. 광배의 전체적인 형태는 거신광배(擧身光背)로, 하부는 좌우에 보살입상을 배치하였으며, 상부는 화불과 화염문이 표현되었다. 광배...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국망산에 있는 조선시대 절터. 명문과 주변에 산재한 자기, 토기편 등으로 보아 1653년 창건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언제 폐사되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충주시 북동쪽의 노은면소재지를 지나서 지방도 49호선을 따라가다 오른쪽으로 꺾으면 명성황후 피난지가 나온다. 이곳에서 신흥동을 거쳐 국망산에 이르게 된다. 광제암 사지는 국망산...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법동리에서 수리산못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권양촌과 수리산못」은 고려 말과 조선 초의 문신이자 학자였던 양촌(陽村) 권근(權近)[1352~1409]의 묘를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로 이장할 때 광중에서 물이 나오자 이 물길을 수리산으로 돌려 수리산에 못[池]이 생기게 되었다는 음택풍수와 관련한 풍수전설이다. 1982년 충청북도에...
-
유삼재를 시조로 하고 유한찬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북도 충주시 세거 성씨. 기계유씨는 신라 때 제6관등 아찬 유삼재(兪三宰)를 시조로 한다. 유삼재의 후손 유의신(兪義臣)이 통일신라가 망한 후에도 고려에 불복하므로 태조 왕건이 유삼재의 신분을 낮추어 기계(현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의 호장(戶長)을 삼았다. 이후 후손들이 기계를 본관으로 삼았고, 후대로 내...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문성1리에 있는 일제강점기의 관리 김석배의 공덕을 기리는 비.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일제강점기 토지 수탈이 이루어졌을 때 김석배의 노력으로 마을 주민들이 토지를 지킬 수 있게 되자 그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마을 주민들이 건립하였다고 전한다. 노은면에서 지방도 520호선을 따라 감곡 방향으로 가다 보면 문성리 문성교 부근 앞산 밑에 위...
-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행정가이자 향토사학자. 김예식은 충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법정대학을 1년 수료한 후 입대하여 병장으로 제대하였다. 충청북도 공무원으로 출발하여 중원군 문화공보실장을 비롯하여 충청북도 문화재계장, 지역경제과장 등을 거쳐 중원군 부군수, 충청북도 도민교육원장을 지냈다. 문화재부서를 담당하면서 향토문화에 대한 남다른 관심을 갖고 198...
-
충청북도 충주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1630년경 영조 때에 청안현감을 지낸 정경연(鄭慶演)[1604~1666]이 산림이 우거진 이 땅에 들어와 외부와의 접촉을 피한 채 노모를 봉양하며 은거하였다. 이에 사람들은 정경연이 살던 곳을 노은고개[老隱峴], 또는 논고개[老峴]라 불렀는데, 이것이 유래가 되어 면의 이름도 노은현면(老隱峴面) 또는 노은면(老隱面)이라 하였다....
-
충청북도 충주시에 있는 노은면을 관할하는 행정 기관. 충청북도 충주시를 구성하고 있는 1개 읍[주덕읍], 12개 면[살미면·수안보면·대소원면·신니면·노은면·앙성면·중앙탑면·금가면·동량면·산척면·엄정면·소태면], 12개 행정동[성내/충인동·교현/안림동·교현 2동·용산동·지현동·문화동·호암/직동·달천동·봉방동·칠금/금릉동·연수동·목행/용탄동] 중 노은면의 행정 사...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문성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자기 주도적인 학습능력 신장으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실력인, 창의성 교육을 통한 잠재능력 계발로 정보산업사회에 경쟁력을 지닌 창조인, 이웃과 함께 살아가는 참된 인간성 함양으로 사회발전에 이바지하는 민주인, 심신을 연마하고 취미와 소질 계발로 조화롭게 성장하는 건강인,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한 공동체 의식함양...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전인교육으로 정서를 발달시키고 다양한 특기를 계발하는 어린이, 질서를 존중하며 서로 돕고 봉사하며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며 창조적인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어린이, 체력을 증진시키고 보건·안전·환경보호를 생활화하는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20년 4월 28일에 노은공립보통학...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에 있었던 노은초등학교 수상분교장. 아름다운 마음으로 꿈과 사랑을 키우는 어린이상을 추구한다. 전인 교육으로 정서를 발달시키고 다양한 특기를 계발하는 어린이, 질서를 존중하고 서로 돕고 봉사하며 나라를 사랑하는 어린이, 스스로 공부하고 탐구하며 창조적인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어린이, 체력을 증진시키고 보건과 안전, 환경 보호를 생활화하는 건전...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에 속하는 자연 마을. 논고개는 노은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노은은 본래 충주군 역인 노은현(老隱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논고개의 논은 ‘노은’에서 모음 ‘으’가 탈락함으로써 생긴 어형이다. 논고개의 한자 지명인 노현(老峴)과 노치리(老峙里), 별칭인 노고개가 이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논고개는 본래...
-
1971년 시인 신경림이 충주시 노은면을 배경으로 하여 쓴 창작시. 「농무」는 신경림이1971년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발표한 5편의 시 중 하나로, 1973년 월간문학사에서 같은 제목으로 시집 『농무』를 발간하였다. 작가의 출생지인 충주시 노은면이라는 작은 농촌 소재지의 장터를 배경으로 한 시이다. 충주의 작은 시골 장터 이미지와 유랑극 단원, 그리고...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에서 다랑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노은면 수룡리 팔송마을 뒷쪽에 낮은 고개가 하나 있는데, 이를 다랑고개라고 부른다. 「다랑고개 전설」은 최부자가 인심이 좋아 손님이 많이 찾아오자, 손님 접대에 불평이 많았던 최씨부인이 스님의 말만 듣고 언덕바위를 끊고 다랭이 물을 돌려서 최부자 댁의 명당 기운을 끊어버렸다. 그러자...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1리 원곡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던 마을 제사. 일제강점기까지는 지금보다 위쪽에 산신당이 있었으나 오래되어 무너졌다. 그 후 충주시의 지원을 받아 지금의 자리에 다시 지었다. 해마다 산신제를 지내 오다가 근래 몇 년 동안 제를 올리지 못하고 있다. 산신당은 충주시 일원의 제당 중 가장 규모가 큰 집으로, 3칸 기...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뒤에 있는 행덕산(行德山)[447.7m]의 이름과 같이 덕(德)을 크게 행한 마을이라 하여 대덕리(大德里)라 하였다. 대덕리는 차령산맥의 깊은 골짜기에 형성된 마을로 일찍이 전주이씨, 문화유씨, 광산김씨가 들어와 살았다. 1757~1765년에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 충원현조에 따르면 충원현 고장박리(古莊朴里...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 두벌매기는 초벌매기를 한 후 20일 정도 지나서 논에 물을 대 두었다가 논의 흙이 부드러워지면 물을 자질자질하게 잠길 정도로 뺀 후에 손으로 저으며 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속도도 빠르게 된다. 논매는 소리는 선소리꾼이 앞소리를 메기면 나머지 사람이 뒷소리를 부른다. 노은면 대덕리에서 두벌매기를 할 때...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1리에 있는 고려시대 야철지 유적. 쇠부리업이 행해진 증거를 확인하는 데 꼭 필요한 것은 철광석, 철광석을 녹여 생긴 찌꺼기인 쇠똥, 노벽편 등이다. 많은 쇠똥이 흩어져 있는 주변에서 철광석과 노벽편을 확인한다면 쇠부리업이 행해진 명확한 증거가 된다. 여기에 송풍관 조각이나 토기 조각과 자기 조각 등이 확인되면 시대까지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고묘군. 노은면 면소재지에서 장호원 방면, 수상초등학교에서 대덕저수지 방향으로 들어서면 저수지를 지나 상원곡마을에 이른다. 대덕리 유적은 상원곡마을 동쪽 산자락과 능선, 뒤쪽의 밭에 위치한다. 소나무 군락지 뒤쪽 밭은 예로부터 고려 장터가 있었던 곳으로 전하며, 정남향으로 무덤의 입지로 좋은 위치이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에서 초벌 논매기를 할 때 부르던 농업노동요. 「대덕리 초벌 논매는 노래」는 노은면 대덕리에서 초벌 논매기를 할 때 논매는 작업을 독려하기 위하여 부르는 민요이다. 초벌 논맬 때는 긴방아 소리로 시작해서 중거리 소리, 자진방아 소리로 다양하게 부르고 있다. 1977년 청주교육대학에서 『논문집』13에 실려 있는데, 이는 박진이 197...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에 있는 저수지. 북서쪽에는 원통산(怨慟山)[645m]이 있고 북쪽에는 승대산(僧代山)[567m]이 있으며 원통산과 승대산 사이에는 질마재, 질마루재, 질마루고개 등이 있다. 남서쪽의 노은면 안락리 서쪽에는 안산이 있고 동남쪽에는 은고개가 있다. 원통산 남동사면과 질마재에서 동남류하는 개울과 질마루고개에서 남류하는 상원곡천이 대덕저수지로 유입...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에 있는 가정용 세제 제조업체. 가정용 세제 등 화합물 및 화학제품을 생산·판매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1월 1일 동양물산으로 시작하여, 2005년 5월 17일 동양나노테크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주요 생산제품은 섬유유연제, 주방세정제, 세탁세제, 다림질보조제 등 가정용 화학제품이다. 최근 들어 제품 다각화 전략을 추진하여 은나노 비...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3리에 있는 조선 말기 명성황후 피난지. 1882년(고종 19) 6월 9일 임오군란(壬午軍亂)이 일어나자 신변의 위협을 느낀 명성황후는 서울을 탈출하여 고향인 여주의 민위영 집에 숨었다가, 장호원에 있는 민응식의 향제를 거쳐 충주목사 민응식의 집을 찾아가던 중 자취를 감추기 위해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국망산 밑 신흥동 이시영의 집으로 피신하였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신전리(薪田里)[섭밭], 문암리(文岩里)[문바위], 저전리(楮田里)[닥밭골], 우성리(于城里)[우리재]를 통합하고 문암리와 우성리의 이름을 따서 문성리(文城里)라 하였다. 문성리는 비교적 평야 지대에 형성된 마을로 주민들은 농사를 주업으로 이어 오고 있다. 신전리에는 김해김씨 후손들이, 저전리에는 안동권씨 후...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문성리 문암마을에 있는 선사시대 바위구멍. 바위구멍은 인위적으로 바위에 구멍을 쪼거나 갈아서 만든 것이다. 바위구멍은 상당한 작업 시간이 요구되며, 작업자의 의도가 들어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주목된다. 선사시대의 바위구멍은 고인돌의 덮개돌 표면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죽은 이의 안녕을 비는 행위로 보거나 가족 관계, 별자리 등으로 보는 등 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문성리에 있는 자연 휴양림. 문성자연휴양림은 도시 사람들에게는 산림 속에서 휴양과 삼림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고, 여기에 더하여 산림 생태계의 보전과 관리를 강화하고, 숲에 대한 교육과 연구 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산림 문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충주시에서 자주봉[483m] 우리재 밑에 조성한 자연 생태 숲이다. 2004년...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조선 태종의 아들인 경녕군의 자손들이 들어와 양반의 법도를 지키며 살았던 마을이라 하여 법동리라고 하였다. 일찍이 전주이씨 경영군파 후손들이 들어와 마을을 형성하고 세거하였다. 1757~1765년에 편찬한 『여지도서(輿地圖書)』 충원현조에 법동리로 기록되어 있으며, 1898년(대한제국 고종 2)에 편찬된 『충청북도 각군...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법동리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해 지내던 마을 제사. 충주시 노은면 법동리는 노은면 서쪽 끝으로, 감곡면 경계 지역에 속하며 자자기라고도 부른다. 법동리 산신제는 매년 음력 정월 보름날 제관을 10여 명을 뽑을 정도로 성하다가, 그 수가 점점 줄고 주민들의 관심도 적어지면서 제를 지내지 않게 되었다. 특별한 이유 없이...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법동리 서덕천에 있는 조선시대 야철지 유적. 충주는 지질구조상 옥천 지향사에 해당된다. 이 옥천계의 변성퇴적암은 충주 부근에서 남서 방향으로 옥천을 지나 익산 북쪽 약 15㎞까지 띠 모양으로 길게 분포한다. 조선계층은 고생대층으로 수안보 부근을 기점으로 제천, 단양을 지나 강원도의 영월, 산척 등에 분포하며, 회백색 규암·석영편암·석회암...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에 있는 대한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보련사는 1948년에 창건되었다. 절이 위치한 연하리는 노은면 법정리동의 하나이며, 원래는 충주군 노은면 지역으로, 1914년의 행정구역 통폐합 때 하남리, 입장리, 보련리(寶連里), 연하리, 저전리, 우성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연하’와 ‘하남’의 이름을 따서 연하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 가...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 보련산에 있는 삼국시대 절터. 보련사지의 연원은 삼국시대까지 올라간다. 보련사의 창건과 연혁에 대한 문헌의 기록은 없으나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보련동(寶蓮洞)’이란 지명과 함께 보련사에 급전(給田) 150결을 주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보련사가 천룡산(天龍山)에 있다고 하였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에 있는 고려시대 산성. 보련산성은 충주시 노은면과 앙성면의 경계인 해발 764m의 보련산 정상부와 남쪽의 해발 664m 봉우리 남쪽을 에워싸는 석축산성으로 험준한 동향의 협곡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입보농성용 산성이다. 고려시대 몽고침입기의 천룡산성(天龍山城)에 해당하며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나오는 봉황성(鳳凰城)과도...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서 보련산에 있는 산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노은면 연하리와 앙성면 용포리의 면계를 이루는 곳에 보련산이 있으며 이곳에 산성이 있다. 「보련산성 전설」은 딸 보련과 아들 장미라는 남매 장수가 생사를 건 성 쌓기 내기를 하는 과정에서 축성한 성이라는 축성유래담이자, 어머니가 아들의 편을 들어 결국 보련은 억울하게 죽었다는 비극...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문. 1716년(숙종 42)에 명정(命旌)된 문화인 유충건(柳忠健)과 아들 유시량(柳時亮), 손자 유송제(柳松齊)의 3대에 걸친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문이다. 유충건은 유몽정(柳夢鼎)의 손자로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했으며, 광해군 때 주부(主簿)를 역임하였다. 36세에 모친상을 당하자 죽을 먹으며 시묘(侍墓)하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법동리에서 상여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충주시 노은면 법동리의 수리산 상봉에 ‘상여와 상주가 곡을 하고 서있는 모양’을 한 상여바위가 있다. 「상여바위 전설」은 부모에게 불효한 자식에 대한 징계담이자 암석전설이다. 1982년 충청북도에서 발행한 『전설지』에 실려 있는데, 당시 노은면 법동리에 살고 있던 주민 이희진·오갑진·...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서정기의 본관은 대구(大邱)이고, 아버지는 서병창(徐炳昌)이다. 선린상업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에 유학한 서상경(徐相庚)의 영향을 받아 1925년경부터 인간의 절대 평등과 자유를 주장하며 국가를 타파의 대상으로 삼았던 아나키즘(무정부주의) 운동에 가담했다. 충주에서 서상경 등 3인의 동지와 회합하고, 서울에 올라가 아나키즘 계열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리에 있는 골프장. 2005년 6월 공사를 착공하여 2008년 6월 11일 모든 시설물에 대한 준공 절차를 완료하고, 같은 해 6월 12일 회원 초청 친선 경기를 마침으로써 정규회원제 골프장으로 개장하였다. 센테리움 컨트리클럽의 부지 규모는 1,420,840㎡이다. 코스 규모는 회원용 18홀과 대중용 9홀을 합쳐 총 27홀이며, 코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법동리와 음성군 감곡면 월정리를 연결하는 고개. 고갯마루에 성황당이 있어 성황당고개·서낭고개라고도 하고, 지대가 비교적 높아 노은면 쪽 마을을 다락골·다락들이라 하였으므로 다락고개로도 불린다. 솔고개라는 이름은 성황당 당목이었던 소나무가 크고 아름다워 붙여진 이름인 듯하다. 주변에 잘 발달된 소나무 숲이 있다. 남북으로 뻗어 있는 차령산지 본줄기인...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노은면 수철리와 천룡리의 이름을 따서 수룡리라 하였다. 본래 충주군 노은면의 동쪽 지역으로 1914년 충주군 노은면의 수철리(水鐵里), 노현리(老峴里), 산막동(山幕洞), 원우리(院隅里), 천룡리(天龍里), 매여울[梅灘里]과 충주군 가흥면의 팔송리(八松里) 일부를 통합하여 수철과 천룡의 이름을 따서 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에 있는 고려장 터로 불리는 고려시대 고묘군. 중앙탑면에서 노은면 방면 지방도 599호선을 따라가다 효죽교를 지나 오른쪽으로 들어서면 거의 끝 쪽이 아랫동막마을이다. 이 마을 서북쪽 사면의 임야와 밭에 해당한다. 1998년 충주시 문화유적지표조사에서 발견된 유적으로, 조사 당시 마을 주민들이 고려장 터라 부르던 곳이다. 석재가 흩어...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 원모롱이에 있는 고려시대 야철지 유적. 충주는 일찍부터 우리나라 3대 철산지의 하나였다. 비록 현재는 모든 철광이 폐광되어 운영되고 있지 않으나, 196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철광산이 대소원면 만정리의 충주 철산, 괴산 불정면 관전리의 어래 철산, 중앙탑면 창동리의 창동 철산, 충주시 연수동의 연수동 철산, 대소원면 금곡리의 금곡...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에 있는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의 복합 유적. 충주나라C.C사업부지 유적은 충주시에서 노은면 수룡리 일대에 조성 중인 충주 나라C.C 조성 공사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사업 예정지에 매장문화재가 있음이 확인되어 발굴 조사되었다. 이 유적이 위치한 곳은 노은면 수룡리 일대에서 중앙탑면 하구암리로 이어지는 최단거리 교통로 지역인데, 바로 인...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에 있는 폭포. 넓은 진달래꽃밭으로 일대 장관을 이루는 보련산[765m] 정상에서 남동쪽으로 내려오는 길에 수룡폭포가 있다. 자연 경관이 수려하고 야생 동식물의 서식 환경이 우수한 곳으로 보련산 일대와 같이 화강암질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안보면의 매학폭포(일명 신선폭포)가 화강암의 수직절리를 따라 매끈하고 밝은 색을 띤다면 수룡폭포는 약...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 신태학의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경상북도 상주에서 태어나 의당 박세화에게 배웠다. 1908년(융희2) 43세로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로 옮겨와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주권 회복을 위해서는 인재의 양성이 필요하다고 결심하여 평생 후학을 기르는 데 힘을 기울여 왔다. 당시 일본인들이 부산과 서울 간...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시에 신대리(新垈里)와 효죽리(孝竹里) 등을 병합하면서 신대리와 효죽리에서 한 자씩을 따서 신효리(新孝里)라 하였다. 신효리는 북쪽의에 보련산(寶蓮山)[764.9m]과 남쪽의 자주봉 산기슭에 자리한 전형적인 배산임수(背山臨水) 지형이면서 충주에서 오는 길과 만나는 관문으로 일찍부터 마을이 형성되...
-
충주시 노은면 신효리 깊은들에 있는 고려시대 토기산포지. 노은면 신효리에서 충주시 중앙탑면쪽으로 가다 보면 오른쪽으로 노은 수룡초등학교가 있던 곳이 나타난다. 이 학교부지 뒤쪽으로 구릉을 하나 넘으면 진골저수지가 있다. 신효리 깊은들 토기산포지는 진골저수지의 서쪽으로 500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신효리 깊은들 토기산포지는 충주박물관에 의해 실시...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2리에 있는 삼국시대 요지 유적. 신효리 뒷골 유적은 노은면 구 수룡초등학교 뒤편 진골저수지에서 무쇠점마을로 넘어가는 첫 번째 고개의 동쪽 사면으로 남쪽의 평풍산[395.6m]에서 뻗어내린 능선상에 위치한다. 중부내륙고속도로 건설 구간 문화 유적 지표 조사에서 충주박물관에 의해 삼국시대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경질 토기 조각...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2리 겨자실에 있는 고려시대 야철지 유적. 신효리는 본래 충주군 노은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대리·외대방동·내대방동·효죽리·원대리와 매탄리의 일부가 병합되어 생긴 마을이다. 신효리란 명칭은 신대리와 효죽리의 첫 글자를 따서 명명되었다. 신효2리는 신효1리와 수룡1리 사이에 있는 지방도 520호선 양옆의 한포천을...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2리 원터마을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신효리 원터마을 주변에서 고분이 확인되어 조사된 곳은 중부내륙고속국도 북충주IC에 한국도로공사 충주지사 건설부지 내에서 확인된 수룡리 유적이 있다. 이 수룡리 유적에서는 삼국시대 돌방무덤 4기를 비롯하여 고려시대 돌덧널무덤 2기, 고려시대 이후의 움무덤 40기, 회곽묘 6기 등 다수의 유구가 확...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2리 원터마을에 있는 고려시대 유물산포지. 신효리 원터마을은 중앙탑면 소재지에서 노은고개를 넘어 음성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다. 옛날에 길손이 머물며 쉬어가던 원(院)이 있었던 곳으로 전한다. 유적지는 신효2리 3반에 해당하는 곳이며, 3반은 금부리와 원터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20여 가구가 생활하고 있으며, 고추·가지·콩 등을 주...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리 재앙골에 있는 고려시대 토기와 자기 산포지. 충주시 노은면과 주덕읍을 연결하는 지방도 599호선은 신효리 신대마을에서 남쪽으로 갈라져 주덕의 덕련리·장록리·제내리를 거쳐 주덕읍 소재지인 신양리까지 연결된다. 신대마을에서 한포천을 건너는 신효교를 지나면 바로 중부내륙고속국도가 지난다. 그 아래로 통과해야 주덕으로 갈 수 있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2리 진골에 있는 고려시대 유물산포지. 노은면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은 고려시대부터 확인된다. 몽고가 고려를 침입할 때 천룡산성에서 몽고병과 싸우다가 힘이 부족하여 항복한 기록이 나온다. 조선시대에는 노은면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보련사에 대한 기록이 보인다. 『조선왕조실록』의 세종 6년(1424) 4월 5일의 기록에, 불교를 교종과...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1898년(고종 35)에 발간된 『충청북도 각군읍지』 충주군조에 “충주군 노은면 마을 남쪽 안락골의 이름을 따서 안락리(安樂里)로 하였다”라는 기록으로 보아 안락리라는 지명은 안락골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안락리는 배산임수(背山臨水) 지역으로 비교적 넓은 평야지대가 있어 문화유씨 등이 일찍부터 들어와 세거하였다. 『여...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저전리(楮田里)와 우성리(于城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연화동과 하남의 첫자를 따서 연하리라 하였다. 국망산과 보련산 등의 높은 산 아래에 좁게 펼쳐진 계곡에 아주신씨, 여양진씨 등이 들어와 세거하였다. 1760년에 발간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충원현조에 따르면 노은면의 보련동리(寶蓮洞里)로...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 보련골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 보련골은 노은면소재지인 입장마을에서 도랑을 건너 동쪽에 형성된 마을이다. 예전부터 음력 10월에 택일하여 산 중턱에 있는 산제당에서 산신제를 지내왔다. 동네 몇몇 대표가 올라가 고사를 지냈는데 60여 년 전부터 지내지 않고 있다. 그런데 동네에...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 가마골에 있는 조선 전기의 분청사기 가마터 유적.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는 “충주에 자기소가 보련동에 1곳 있고, 도기소가 월호현에 1곳 있는데 모두 하품(下品)이다”고 기록되어 있다. 보련동은 현재의 지명에는 없으나 노은면의 보련산과 관련지을 수 있다. 노은에서 앙성으로 가는 지방도 599호선을 따라 2㎞...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 하남마을 주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충주시 노은면 소재지인 연하리 입장마을에서 앙성 쪽으로 넘어가는 ‘하남고개(하내미고개)’ 아래에 있는 마을이 하남마을이다. 이 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12월 중에 손이 없는 날을 택하여 산신제를 올려왔다. 예전의 산제당이 너무 퇴락하여 무너질 위험이 있자, 새마을사...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에 있는 대한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용화사는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159번지[가신1길 27-3]에 있는 대한불교 태고종 사찰로 1983년에 창건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용화사라는 이름의 사찰들이 많이 있는데, 충주시의 용화사도 그 가운데 하나이다. 용화사에는 중생구제를 위해 도솔천(兜率天)에서 내려온 미륵불이 봉안되어 있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와 앙성면 지당리에서 음성군 감곡면에 걸쳐 있는 산. 차령산지 본줄기에 해당하는 산이다. 북쪽으로 이문고개를 넘어 오갑산[609m]으로 이어지며, 남쪽으로 행덕산[447m]·솔고개·수레의산[679m]과 연결된다. 동쪽에 질마루고개를 사이에 두고 승대산[567m]과 이웃하여 있고, 나아가 둔터고개·국망산[770m]·하남치·보련산[76...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 기계유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1625년(인조 3) 유백증에게 발급된 공신녹권. 유백증은 1612년(광해군 4) 진사가 되고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 1621년(광해군 13) 병조좌랑이 되었다. 1623년 인조반정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 3등에 올라 기평군(杞平君)에 봉해졌다. 성품이 강직하여 여러 차례 직언을 하다가 화를...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충경공 유백증을 그린 초상화. 「유백증 초상」은 유백증(兪佰曾)[1587~1646]이 정사공신 3등으로 인정되었을 때 그린 공신도상이다. 제작 시기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충경공 유백증 정사공신 녹권’이 1625년(인조 3)에 공신도감에서 발급된 것으로 보아 공신으로 책록된 즈음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에 있는 조선 전기 사헌부감찰을 지낸 유용량과 부인 안동권씨 합장묘. 유용량은 문화유씨 하정공파로, 자는 순부(純夫), 호는 백곡(栢谷) 이다. 조부는 고양군수 증이조참판(高揚郡守贈吏曹參判) 유순행이며, 부친은 부제학 공조참판을 역임한 유희저(柳希渚), 모친은 정부인 죽산안씨이다. 유용량은 1495년(연산 1) 9월 23일에 출생하...
-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자선사업가이자 정치인. 이은재는 보성고등학교를 중퇴하고 고향으로 내려와 담배 20정을 경작하였다.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지역 주민들을 구호하였으며, 마을 경로당을 건립할 때에 성금을 기탁하였다. 1991년에는 충청북도의회 의원으로 당선되어 도정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 밖에 충주엽연초생산협동조합장, 새마을운동중원군지회장, 농협중앙회중원군...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2리에 있는 장수황씨 집성촌. 가신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신흥동(新興洞), 주동(注洞), 가정리(佳亭里), 안락일리(安樂一里), 문암리(文岩里) 각 일부를 병합하면서 가정리의 ‘가’와 신흥리의 ‘신’을 합쳐 가신리(佳新里)로 명명했다. 법정리인 가신리는 3개의 행정리(가신1리·가신2리·가신3리)로 구성되는데 이중 장수황씨...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법동리에 있는 전주이씨 경녕군파 집성촌. 법동리(法洞里)는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의 8개 법정리 중 하나로 법동이란 이름은 옛날 사찰 법당이 있어서 유래한 것으로 전한다. 경녕군 묘가 현 충주시 주덕읍 사락리 응동에 있다. 전주이씨 법동리 집성촌은 경녕군의 7세손 이성(李成)이 임진왜란 전후 위토(성묘의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 낙향한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자는 선여(善餘). 증조할아버지는 송강 정철(鄭澈), 할아버지는 강릉부사를 지낸 정명(鄭溟), 아버지는 좌찬성에 추증된 정직(鄭溭), 어머니는 사헌부감찰을 지낸 박준(朴峻)의 딸 비안박씨이다. 슬하에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정주(鄭澍), 통덕랑에 오른 정린(鄭潾), 상의원정을 지낸 정필(鄭泌), 정섭(鄭涉), 영의정을...
-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체육인이자 기업인. 정상희는 노은초등학교와 양정중학교를 거쳐 1930년 중국 상하이교통대학 1년을 수료하고 1935년 일본 메이지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1939년 협신산업상사 대표를 지냈으며, 1949년 삼호방직 부사장을 지냈다. 1957년 제일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 사장을 거쳐 1968년 삼호방직무역주식회사 회장에 취임하였다. 1969년...
-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서예가. 정태오는 어린 시절 서당에서 한학과 서예를 배웠는데, 당시부터 서예에 소질이 뛰어나 배일 사상이 강한 유학자였던 효제(曉齊) 최한구(崔翰求)에게 전통적 수련 방법으로 서예를 익히게 되었다. 그 후 청년기에는 농사에 전념하였으며, 해방 후에는 사회 운동에도 참여하였다. 재직하던 검찰청에서 퇴직한 정태오는 서울에 있는 동양문화연구소에...
-
일제강점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본관은 영일(迎日). 호는 계운(桂雲)·백양(白洋). 아버지는 정낙중(鄭洛中)이다. 정태희는 1919년 3·1운동 후 중국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평양에서 동지들과 함께 대한국민총회(大韓國民總會)를 조직하고 임시정부를 지원하며 농민들의 지식을 개발하는 등 독립운동에 헌신하기로 다짐하였다. 그해 12월 상해로 망명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법동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주덕성당 소속 천주교 교회. 노은면 법동리의 천주교 신자들은 본당인 주덕성당과의 거리가 멀어 신자들이 주일 및 평일 미사에 참여하기 어려웠다. 이에 천주교주덕성당 법동공소를 설립하여 공소예절과 미사를 통해 신앙생활을 열심히 할 수 있도록 하고자 설립하였다. 노은면 법동리 지역은 중부 지역 천주교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에 있는 천주교 청주교구 주덕성당 소속 천주교 교회. 노은면 안락리 지역은 행정구역상 충주시에 속하면서도 지리적으로는 음성군 감곡면과 접경 지역에 있어, 중부 지역 천주교 전파의 시발점이던 감곡성당(일명 매괴성당)의 영향을 받아 일찍이 천주교에 입교한 신자들이 많이 있었다. 이에 따라 노은면 안락리와 가신리 일대의 천주교 신자들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에 있는 산. 이병연(李秉延)이 편찬한 지리서인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서 주산은 충주에서 북쪽으로 50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안락리 안락골의 주산은 풍수지리형국의 주산(主山)이라서 붙어진 이름으로 안락골의 진산이 되고 있다.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 안락골(일명 안락동)과 신니면 화석리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에 있는 버섯 생산·판매 조합. 새송이버섯은 조직이 치밀하고 육질이 뛰어나다. 맛이 자연산 송이와 거의 비슷하고, 영양학적으로도 비타민C가 풍부하며, 필수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기호도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새송이버섯의 수분 함량은 다른 버섯보다 낮아 비교적 저장력이 좋은 편이지만, 중원버섯영농조합은 신선한 버섯을 소비자에...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와 음성군 감곡면 지당리 경계에 있는 터널. 중원터널의 중원이란 이름은 충주의 옛 지명인 중원경에서 따 왔다. 중원터널은 왕복 4차선인 중부내륙고속국도에 폭 23.6m, 길이 988m로 만들어진 왕복 6차선 터널이다. 입구는 아치형으로 만들어졌고, 내부에는 전등과 환풍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편도 3차선 왕복 6차선 터널...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에 있는 진상흥의 공덕을 기리는 비. 진상흥은 연하리 대동계장으로 약 10여 년간 봉사하였고, 노인정을 창설하여 15년간 노인회장을 역임하면서 유언으로 연하리 마을회관 부지를 희사함에 따라 그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1989년 9월 24일 진상흥 기공비를 건립하였다. 노은면에서 앙성면으로 가는 구도로 옆의 마을회관 앞에 위치하고 있다...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연하리에 있는 진용학의 공덕을 기리는 비. 연화마을 앞들의 황무지를 개간하여 옥토로 만든 진용학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연하리 주민들이 1975년 8월 17일 세운 비이다. 노은면 연하리 연화마을 입구 개인 주택 담장 뒤쪽에 세워져 있다. 비좌개석의 형태로 지붕돌은 73×49×46㎝이며, 비신은 44.5×19×120㎝이고,...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가신리에 있는 조선 중기 사당. 조선 왕조에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공신들의 충절을 높이 사 이들의 관직을 추증하면서 시호를 내리고 사당을 짓도록 하였다. 더욱이 가문 의식의 형성으로 존조경종(尊祖敬宗)이 강화되어 사당을 건립하여 조상을 제사하려는 노력도 늘어나 사당이 수없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충주에서 장호원 방향 520번 지방 도로를 타...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안락리에 있는 노인 요양 시설.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와 「노인복지법」 제35조 및 제39조에 의거, 노인 복지 시설의 설치·운영을 통하여 노인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2003년 12월 16일 법인 허가를 받아 2004년 1월 6일 법인 설립을 하였다. 2004년 11월 14일 충주평화의 집을 착공하여 2005년 10월 15일 준공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수룡리에 있는 한국도로공사 강원지역본부 소속 충주 지역 지사. 중부내륙고속도로 연풍IC~여주JCT 구간의 개통과 더불어 연장 70.9㎞의 고속도로를 유지 및 관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2002년 12월 20일 중부내륙고속국도 여주~충주 구간의 개통과 함께 한국도로공사 충주지사가 개소하였으며 2004년 7월 15일 개통된 충주~괴산 구간...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 원통산에서 발원하여 노은면 중심부를 흘러 중앙탑면 봉황리에서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20.50㎞이며, 노은면 대덕리 원통산에서 발원하여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다가 수룡리에서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하류까지 가게 된다. 충주 지역에서 차령산지를 개석하면서 동·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하천으로는 한포천을 비롯하여 북쪽의 앙성천, 남쪽의...
-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대덕리와 음성군 감곡면 영산리 경계에 있는 산. 충주시 서쪽 끝에 있어 음성군과 경계를 이룬다.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뻗어 있는 차령산지 본줄기 일부로, 원통산[645m]·행덕산·솔고개·수레의산[679m]으로 이어지는 지맥에 속한다. 암석은 호상편마암으로 이루어졌으며, 경사가 가파르지만 대부분 낙엽수림이 우세한 식생으로 덮여 있다. 특...
-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출신의 효자.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양여(養汝). 모당 홍이상(洪履祥)의 후손이다. 증조부는 첨지중추부사 홍만최(洪萬最), 조부는 홍문관교리 홍중현(洪重鉉), 아버지는 홍인보(洪寅輔)이고, 어머니는 수원최씨이다. 홍차기(洪此奇)가 태어나기 전에 아버지 홍인보는 살인범의 누명을 쓰고 옥살이를 하고 있었다. 어머니 수원최씨는 홍차기가 열 살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