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983
한자 獨立運動家
영어음역 Dongnip Undongga
영어의미역 Independence Fighter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형국

[정의]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공주 지역에서 독립을 위해 투쟁한 활동가.

[개설]

일제강점기 공주 지역에서는 만세 시위운동, 동맹 휴교 투쟁, 사회 운동 등 다양한 형태의 민족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였다. 1935년의 조선총독부 자료에도 이러한 사실이 잘 나타나 있다. 주로 3·1운동 연루자인 「보안법」 위반자가 80명, 「치안유지법」위반자가 15명, 소작 쟁의나 노동 쟁의와 관련된 「폭력행위 등 처벌에 관한 법률」위반자가 11명, 공주고등보통학교 동맹휴교사건 15명, 기타 사상 범죄자가 9명 등 모두 138명으로 나타났다.

[3·1운동 시기]

1919년 3월 1일부터 4월 말까지 한국 전역에서 독립 만세 시위가 한창이었다. 공주 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3월 중순부터 4월 초순까지 공주시 유구읍 유구리, 공주시 정안면 석송리 등 10개 지역에서 전개되었다. 공주 지역의 만세 시위운동을 주도했던 독립운동가로는 황병주, 이정춘, 이기한, 이병억, 현석칠, 김관회, 현언동, 이규상, 이규남, 김수철, 김현경, 안성호 등이 있다.

[1920년대]

1. 학생운동

교육 도시였던 공주는 학생 운동도 활발하였다. 공주고등보통학교를 중심으로 1927년 6월, 1929년 12월 대대적인 동맹 휴교 투쟁을 전개하였다. 특히 1929년 12월 2일 단행된 동맹 휴교 투쟁은 광주학생운동을 계기로 민족 차별과 식민지 교육 거부를 슬로건으로 하여 6일간이나 지속되었다. 학생 운동을 주도한 인물은 이관세, 윤상원, 유종호 등이었다.

2. 사회운동

1920년대 후반은 학생 운동뿐만 아니라 사회 운동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공주청년회, 소년동맹을 중심으로 윤귀영, 안병두 등이 주도하였다. 사회 운동은 학생 운동과 연대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공주 출신의 동경 유학생 현창석이 우리조선독립그룹이라는 비밀 결사를 결성하고, 일본 내 주요시설 파괴 등의 후방 교란과 재일 조선인들의 무장 봉기를 계획하기도 하였다.

[1930년대]

일제의 민족 운동 탄압이 강화되었던 1930년대 전반기에는 비밀 결사 형태의 운동이 전개되었다. 박명렬공주시 우성면 방흥리 소작인과 읍내 점원을 조직에 가담시켜 적색 결사 단체를 조직하고자 하였다. 한편 1933년에는 윤귀영, 박종렬, 김태연 등의 혁신 청년들이 적색 비밀 결사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36년에는 구자훈, 천영관공주고등보통학교 학생 7명이 일본어 사용 금지, 신사 참배 거부, 악질 일본인 교사 배척 등을 목적으로 명랑클럽을 조직하여 민족 운동을 전개하기도 하였다.

[공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충청남도 공주 지역 출신의 독립운동가를 살펴보면 민족혁명당의 윤여복(尹汝福), 임시 정부 충청도 대표 오익표(吳翼杓), 신흥무관학교 교관 이관직(李觀稙), 항일구국군 특무 소위 강범진(姜范鎭), 철혈단 단장 김형동(金瀅東), 수원농림학교 건아단(健兒團)의 백세기(白世基) 등이 있다.

윤여복은 1935년 민족혁명당의 공작원으로 북중국과 동삼성에서 활동하였으며,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조선의용군의 군사 요원으로 활약하였다. 오익표는 1919년 4월 임시정부 의정원에서 충청도의원, 상해한인청년회 청년단의 통신부장을 역임하였다. 한편 구한말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출신의 이관직은 신민회가 건설한 신흥무관학교에서 교관으로 활동하였다.

1927년 만주로 망명한 강범진은 독립군 활동에 투신하였는데, 1931년부터 1933년까지 중국항일구국군에서 활동하였다. 김형동은 1915년 서일, 현천묵 등과 함께 항일운동을 하다 만주로 건너가 1919년부터 북로군정서에 가입하여 김좌진, 이범석 등과 함께 항일투쟁을 전개하였으며, 1925년에는 상해에서 테러 운동 단체인 철혈단을 결성하고 단장으로 활약하였다.

백세기는 1926년 수원고등농림학교에 재학하면서 항일 학생 결사 단체인 건아단의 창립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28년 9월 다른 회원들과 함께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18개월 동안 모진 고문을 당하다가 1930년 2월에 경성지방법원에서 면소 판결을 받았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09.11 [공주 출신의 독립운동가] 수정 <변경 전> 민족혁명당의 윤여복(尹女福), <변경 후> 민족혁명당의 윤여복(尹汝福),
2013.09.16 관련시청각 교체 1. 일제강점기 공주고등보통학교(GC017P1908) 사진 연결 삭제 2. 3.1운동 기념탑 건립기(GC017P2951) 사진 연결
2013.09.09 [3·1운동 시기] 수정 <변경 전> 황병주, 이정춘, 이기한, 이병억, 현설칠, 김관회, 현언동, 이규상 등이 있다. <변경 후> 황병주, 이정춘, 이기한, 이병억, 현석칠, 김관회, 현언동, 이규상, 이규남, 김수철, 김현경, 안성호 등이 있다.
이용자 의견
모** 윤여복의 여자가 한문으로 너여자 아닌가요? 확인해주세요.
  • 답변
  • 디지털공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9.06
모** 윤여복. 여자가 산문으로 너여자입니다.
  • 답변
  • 디지털공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4.09.06
박** [3.1운동시기]<현석칠,김현경(순점),이규상, 이규남 이상 포상자, 미포상자 김관회, 김수철, 양재순, 현언동, 김사현,안성호, 박루이사, 이활란, 신성우> 꼭 수정해 주세요(유죄 판결문에 있음).
  • 답변
  • 디지털공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확인 후 인물 추가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9.0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