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인간 및 재화 또는 정보가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는 공간적 이동. 교통이란 인간 및 재화 또는 정보의 공간적 이동을 의미한다. 교통 기관의 발달은 생활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경제 생활 및 사회 문화를 발달시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좁은 의미에서의 교통은 그 중 인간과 재화의 공간적 이동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도로
-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사람이나 차가 다니는 비교적 넓고 큰 길. 공주시 지역은 과거 수로 교통이 발달하였으나 일제 강점기 이후 철도 교통과 도로 교통이 급격히 발달하였다. 1933년 건설된 금강교는 공주가 철도 교통 대신 도로 교통의 중심으로 다시 발전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공주시의 도로 포장률은 국도 100%, 지방도 78.7%, 시·군도 57.7%로 도로 정비가 비교적...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서 봉암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평안북도 신의주시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총 길이는 498.7㎞이다. 그 중 왕복 2차선은 152.9㎞, 왕복 4차선은 279.6㎞, 왕복 6차선은 64.9㎞이다. 미포장 도로는 636m, 미개통 도로는 400m이고, 도로 포장률은 99.8%이다. 전국 25개 남북 노선 가운데 하나로 대전지...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화헌리에서 정안면 인풍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23호선은 전라남도 강진군 강진읍에서 충청남도 천안시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총 길이는 394.1㎞이다. 그 중 왕복 2차선은 276.2㎞, 왕복 4차선은 117.9㎞이고,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전국 25개 남북 노선 가운데 하나로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관리한다. 전체 길이 100m 이상의 장대교가 14개...
-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녹천리에서 반포면 온천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32호선은 충청남도 태안군 소원면에서 대전시 중구 용두동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총 길이는 165.6㎞이다. 그 중 왕복 2차선은 144.9㎞, 왕복 4차선은 33.5㎞, 왕복 6차선은 7.2㎞이고,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전국 24개 동서 노선 가운데 하나로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관리한다. 전체 길이 100...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용봉리에서 장기면 제천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36호선은 충청남도 보령시 청라면에서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총 길이는 386.8㎞이다. 그 중 왕복 2차선은 250.3㎞, 왕복 4차선은 126㎞, 왕복 6차선은 10.5㎞이고,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전국 24개 동서 노선 가운데 하나로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관리한다. 전체 길이 1...
-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청흥리에서 유구읍 문금리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39호선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서 경기도 의정부시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총 길이는 222.8㎞이다. 그 중 왕복 2차선은 117.6㎞, 왕복 4차선은 99.8㎞, 왕복 6차선은 5.4㎞이고,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전국 25개 남북 노선 가운데 하나로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관리한다. 전체 길이 100m...
-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분강리에서 중동까지 연결되는 국도. 국도40호선은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예산군 덕산면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총 길이는 72.3㎞이다. 그 중 왕복 2차선은 64.9.㎞, 왕복 4차선은 7.4㎞이고, 도로 포장률은 100%이다. 전국 24개 동서 노선 가운데 하나로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관리한다. 소교량이 18개 소 있으며, 충청남도 보령시에 1987년 완공한 성...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인풍리에서 탄천면 화정리까지 연결되는 고속국도. 천안~논산간고속국도는 천안시 목천읍 응원리의 경부고속국도 천안분기점에서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의 호남고속국도 논산분기점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총 길이는 82.00㎞이다. 인천국제공항고속국도에 이어 국내에서 두 번째로 민간자본에 의해 건설된 도로이다. 천안~논산간고속국도의 개통으로 서울~논산의 운행 거리가 경부고속...
교량
-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서 금강을 가로질러 신관동의 전막으로 연결되는 철교. 공주는 예로부터 서울과 전라도를 연결하는 육로·수로가 만나는 교통의 요지였다. 조선시대에는 충청감영이 공주에 설치되면서 교통·행정·군사적 요충지로 발전하였다. 이때 공주 지역에서는 금강을 건너기 위해 주로 나무로 만든 배를 연결하여 그 위에 판을 깔아 만든 ‘주교(舟橋)’, 즉 배다리를 이용하였다. 배다리...
-
충청남도 공주시 옥룡동과 신관동을 연결하는 다리. 길이는 480m, 총 폭은 22m, 유효 폭은 20m, 높이는 16m이다. 경간 수는 8개, 최대 경간장은 60m이다. 공주대교의 상부 구조 형식은 P.C Box Girder 60m, 4경간 연속교(60×4×2=480m)로 2차선 11m와 4차선 11m로 분리·가설되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과 신관동을 연결하는 다리. 길이는 513.5m, 총 폭은 6.5m, 유효 폭은 5.8m, 높이는 12m이다. 경간 수는 14개, 최대 경간장은 67m이다. 상행과 하행 각각 1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에 있는 제민천 상의 교량. 길이는 96m, 총 폭은 12m, 유효 폭은 11m, 높이는 8m이다. 경간 수는 3개, 최대 경간장은 32m이다. 상행과 하행 각각 1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과 반죽동을 연결하는 다리. 대통사 앞에 있는 다리라 하여 대통다리 또는 대통교(大通橋)라고 부른다....
-
충청남도 공주시 쌍신동과 금성동을 연결하는 다리. 길이는 725m, 총 폭은 25.6m, 유효 폭은 18.5m, 높이는 21.2m이다. 경간 수는 18개, 최대 경관장은 70m이다. 상행과 하행은 각각 2차선이다....
-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에 있는 제민천 상의 교량. 길이는 23.25m, 총 폭은 16m, 유효 폭은 15m, 높이는 4.5m이다. 경간 수는 1개, 최대 경간장은 23.25m이다. 상행과 하행 각각 1차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소학동과 월송동을 연결하는 다리. 길이는 680.0m이고, 폭은 19.5m이다. 상행과 하행 각각 2차선이다....
-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에 있는 제민천 상의 교량. 길이는 45m, 총 폭은 25m, 유효 폭은 14m, 높이는 8.4m이다. 경간 수는 3개, 최대 경간장은 15m이다. 상행과 하행은 각각 2차선이다....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평목리와 공주시 봉정동을 연결하는 다리. 웅진대교는 봉정동에서 방아달산[159.6m]을 지나고 우성면 도천리에서 부엉산을 지나기 때문에 금강과 지방도 651번에서 고도가 높은 곳에 건설되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소학동의 정안천 상에 있는 다리. 길이는 108m, 교량 폭 20m, 상부 구조는 Steel plate Girder 연속교이다. 상행과 하행은 각각 왕복 3차선이다....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와 장기면 금암리를 연결하는 다리. 청벽대교는 서산~대천 간 또는 공주시 유구읍 녹천리~공주시 반포면 온천리 간을 연결하는 국도 32호선의 금강 상에 건설된 교량이다. 금암리 쪽에는 금암IC가 개설되어 있다. 상·하행 각각 2차선으로 되어 있다....
터널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학봉리에 있는 터널. 2007년 1월 11일 준공되었으며, 2개의 터널로 이루어져 있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동에서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온천리까지의 10㎞ 구간에 건설된 계룡산 관통도로 상에 축조되어 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옥룡동과 금학동에 걸쳐 있는 터널. 공주터널은 공주시 옥룡동과 소학동, 신기동, 금학동의 경계에 잇닿아 있는 월성산(봉화대)의 왼쪽 산과 언덕을 굴착하여 건설한 것으로 옥룡동과 금학동을 직접 연결한다. 구 터널은 1995년에, 신 터널은 2003년에 준공되었다....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와 봉곡리에 걸쳐 있는 터널. 1997년 준공되었으며, 국도 32호선상에 있다. 마티터널은 말재(마치)에 있는 터널인데, 마티터널이 건설되기 이전에는 말재를 넘어 다녔다....
-
충청남도 공주시 쌍신동과 우성면 도천리에 걸쳐 있는 터널. 연미터널을 연미산 터널로도 부른다....
-
충청남도 공주시 산성동과 금성동, 웅진동에 걸쳐 있는 터널. 2002년에 준공되었으며, 지방도 651번 상에 있다. 터널 도로는 상행과 하행 각각 2차로로 건설되어 있다....
-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인풍리에 있는 터널. 차령터널은 1997년 착공하여 2002년 12월 23일 개통한 천안~논산간고속국도에 있다. 천안~논산간고속국도는 인천국제공항 고속국도에 이어 두 번째로 민간 자본에 의하여 건설된 고속국도로, 충청남도 천안시 목천읍 천안분기점에서 논산시 연무읍 논산분기점까지 연결되는 길이 82㎞, 너비 23.4m의 왕복 4차선 고속국도이다....
운송
-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에 있는 종합 버스터미널. 1977년 8월 설치 인가 허가를 받아 공주시 산성동 160번지에 공주공용버스터미널을 준공하였다. 1991년 현재의 위치에 공주공용버스터미널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공주공용버스터미널은 대합실 등이 법원 경매에 의하여 소유권이 변동되면서 터미널 이전 사안 등의 일들이 공주시에 의하여 추진되어 왔다. 공주시는 2008년 6월 9일 시외버...
-
조선시대부터 일제 강점기에 걸쳐 충청남도 공주에서 금강 수계를 이용하여 발달했던 수운. 조선시대에 공주 지역은 충청도 일대의 수위 도시로서 금강과 주변의 산지들이 방어 기지가 되는 군사적 요충지였고, 금강수운의 주요 하천 항구였다. 공주시의 주요 도시 기능 가운데, 교육과 교통 기능의 원형은 대체로 일제 강점기에 부여된 것인데, 이는 조선시대의 도시 기능과도 관련되어 있다. 조선시...
-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에 있는 금강의 옛 나루터. 공주 고마나루는 한 어부가 인근 연미산(燕尾山)의 암곰에게 잡혀가 부부의 인연을 맺어 두 명의 자식까지 두었으나, 어부가 도망가 버리자 그것을 비관한 암곰이 자식과 함께 금강에 빠져 죽었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곰나루라고도 한다....
-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운암리에 있는 나루. 현재 공주시 이인면 운암리에 속한 나루로 북으로는 이인면 검상리의 새나루와, 남으로는 이인면 운암리 소맹동과 이어져 있다. 현재 공주에서 부여를 잇는 백제큰길 가에 있으며, 조선시대에 놋점나루를 건너 공주시 우성면 어천리로 갔으며, 어천리를 통해 청양군 목면 방면으로 갈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