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591
한자 尤菴宋先生追享記碑
영어의미역 Monument for Song Siyeol in Chunghyeonseowon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공암장터길 28-5[공암리 38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해준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양식 팔작지붕형의 비개|방형대석
건립시기/일시 1752년(영조 28)연표보기
관련인물 송시열|조관빈|김진상
재질 오석비
높이 2.82m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공암장터길 28-5[공암리 381] 지도보기
소유자 충현서원
관리자 충현서원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충현서원 입구에 있는 송시열의 추향기가 적혀 있는 비석.

[개설]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에 자리한 충현서원의 입구 정면에는 두 개의 비석이 세워져 있다. 이 중 정면 좌측에 있는 것이 우암 송선생 추향기비이다. 이 비에는 충현서원에 주자(朱子)와 이존오(李存吾), 이목(李穆), 성제원(成悌元), 김장생(金長生), 송준길(宋浚吉), 송시열(宋時烈), 조헌(趙憲) 등 일곱 사람을 제향하고 있음이 기록되어 있으며, 송시열의 행적과 충현서원에 제향하게 되는 과정을 적고 있다.

[건립경위]

1752년(영조 28)년 충현서원송시열을 배향한 후 그의 행적을 기리고 제향의 의미를 후대에 전하기 위해 우암 송선생 추향기비를 건립하였다. 송시열은 조선 후기 성리학을 대표하는 학자로, 성리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예학 논쟁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다. 그의 행적을 기록한 우암 송선생 추향기비는 후손들에게 그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도록 하고, 유교적 질서를 통해 조선 사회의 학문적 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목적으로 세워졌다. 비문에는 송시열의 생애와 업적, 제향에 얽힌 배경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위치]

충현서원공주시 반포면 공암리에 있는데, 대전과 공주의 중간 지점이다. 공주시청에서 대전광역시 방면으로 국도23호선을 따라 약 18㎞를 이동하면 공암리에 도착할 수 있으며, 약 27분 정도 소요된다. 서원은 마을 중심부에 있어 접근성이 좋다. 서원 입구에는 정면 우측에 충현서원 사적비가 세워져 있으며, 좌측에는 우암 송선생 추향기비가 자리하고 있다. 충현서원우암 송시열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서원으로, 서원 내외에 관련 비석과 유물이 보존되어 있다. 이를 통해 송시열의 역사적 위치와 사후 평가를 확인할 수 있다.

[형태]

우암 송선생 추향기비충현서원 사적비와 동일한 양식으로, 보주를 얹은 팔작지붕형 비개와 방형 대석을 갖추고 있다. 팔작지붕형 비개는 비석을 보호하기 위해 지붕처럼 덮개를 만든 형태로, 사방이 경사진 전통 건축 양식을 모방한 것이다. 보주(寶珠)는 비석 꼭대기에 얹는 둥근 장식으로, 비석의 중심을 잡아 주는 동시에 상징적 의미를 부여한다. 방형 대석은 비석을 지탱하기 위해 네모난 형태로 단단하게 다듬어진 받침돌로, 비석의 안정성을 높이고 조형미를 더한다. 비신에 사용된 오석(烏石)은 검은색 화강암으로 내구성이 뛰어나 글자의 보존에 유리하다

[금석문]

우암 송선생 추향기비는 예조참판 조관빈(趙寬彬)이 전(篆)하고 대사헌 김진상(金鎭商)이 쓴 것으로 1752년(영조 28)에 건립되었다. ‘충현서원사실우암송선생추향기(忠賢書院事實尤菴宋先生追享記)’가 새겨져 있다.

[의의와 평가]

우암 송선생 추향기비의 기록을 통해 충현서원송시열이 배향되는 과정을 추측해 볼 수 있으며, 공주의 유림들이 왜 송시열충현서원에 배향하였는지 그 배경과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송시열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 성리학자이자 정치가로, 예송 논쟁 등 당쟁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이다. 이 비석은 그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충현서원송시열의 정신을 계승하는 공간임을 상징적으로 보여 주는 유적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