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천리에서도 한참을 들어가야 하는 자연부락 장평에서 2001년 마지막까지 거주했던 여옥란은 봉화 석포 솔성골에서 태어났다. 십이령 고개길의 일부로써 선질꾼들을 위한 주막들이 성행했던 이곳에는 하나 둘 사람들이 떠나고 여옥란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사람들이 거주하지 않는 곳이 되었다. 19살 시집와서 2001년 떠날 때까지 이곳에서 생활했던 여옥란에게 장평은 잊히지 않는 기...
1948년 시집 올 당시 장평은 열다섯가구가 마을을 이루며 살던 곳이었다. 여옥란이 기억하는 바에 의하면 텃골에 세 집, 무조골에 한 집, 씨시골에 한 집, 창골에 한 집, 반지에 두 집 등 이웃이라고 해도 한참동안을 걸어서 가지만 그래도 이웃이 있던 시기였다. 1968년 울진·삼척무장공비사건으로 큰 동네인 두천리로 강제로 이주하게 되면서 장평에 사람들이 떠나게 되었다. 하지만 생...
시어머니 이야기만 나오면 혀를 두르는 여옥란은 말 그대로 눈물이 쏙 빠지는 시집살이를 했다. 장평에서 9남매를 주막을 운영하며 키웠던 시어머니는 여옥란의 남편만을 제외하고는 위와 아래 시숙들이 모두 울진고등학교와 대학교를 보낼 정도로 억척스러운 삶을 사셨던 분이다. 그렇게 일찍 집을 떠나 외지에서 공부를 하고 지냈던 그녀의 시숙들과 달리 그녀의 남편과 그녀는 이곳 장평에서 일찍이...
농지가 부족한 산골에서 여옥란 역시 선질꾼이 떠난 자리에서 개간한 농지를 이용하여 농사를 지었다. 여옥란이 부르는 오늘날 화전을 ‘산전’이라 부른다. 갈아 먹을 땅이 부족하니 해마다 산에 불을 놓아 산전을 일구었다. 산전은 개인 산에서는 할 수 없고 국유림에서만 가능하였다. 국유림도 산전은 국가에서 금지해 놓은 일이니 몰래 몰래 숨어서 행할 수밖에 없었다. 당시 먹고 살기 힘든 때...
2001년 여옥란이 장평에서 나오면서 장평의 동제는 중단되었다. 그러나 장평의 제당은 마을의 제당이기보다는 선질꾼들이 십이령 고갯길을 넘으면서 안전을 빌며 두 손을 모았던 곳이었다. 돌멩이 하나를 집어 던지면서 그렇게 안전한 십이령을 기원했던 그 길의 입구 서낭에게 빌었던 것이다. 여옥란은 주막촌에서 보았던 선질꾼과 도부장수들 그리고 나그네들이 서낭에게 빌었던 그 모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