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8E010302 |
---|---|
지역 |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두천리 |
집필자 | 신상구 |
두천리에서 식혜는 감주를 뜻하는 것이 아닌 물고기를 삭힌 것으로 양념장 또는 반찬으로 먹는다. 외부에서 식혜를 말할 때 감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곳에서 식혜는 말 그대로 삭힌 고기를 의미하여 가끔 웃지못할 일이 발생하기도 한다.
식혜를 만들 때 사용하는 고기는 정해진 바가 없다. 바다가 멀었던 두천리에서 선질꾼들이 가져다 준 물고기는 좋은 식혜 재료가 되었는데, 그들이 가져다 준 다양한 해산물이 모두 식혜가 될 수 있었다. 바다와 먼 산골생활에서 식혜는 비교적 오랫동안 해산물을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각 가정에서는 기회가 된다면 식혜를 담궈 밑반찬으로 사용하였다.
식혜는 먼저 소금에 고기를 넣고 물을 뺀다. 소금을 넣은 뒤 하루 정도 놓아두면 생선에서 물이 많이 생기는데 이를 채에 걸러서 버린다. 또 시간이 지나면 고기에서 물이 생기는데 이 또한 버린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물이 생기지 않게 되고, 이를 손으로 꼭 짠다. 그리고 고춧가루, 마늘, 생강 등의 양념을 넣고 삭힌다. 이때 잘 삭으라고 밀가루와 질금을 조금 넣는다. 식혜에 무를 넣기도 하는데 무는 고기와 함께 넣지 않는다. 무도 생선과 마찬가지로 소금을 넣어 물을 빼는 과정을 거친 후 손으로 마지막 남은 물기를 꼭 짜서 버린 후 이미 양념이 된 식혜와 함께 버무린다.
식혜는 주로 겨울에 많이 먹는데, 생선이 귀한 두천에서는 시어른과 손님이 올 때 올리는 귀한 음식이었다. 냉장고가 없던 시절 집 앞 구덩이를 파고 식혜를 넣은 단지를 하나씩 준비해 이를 묻고 위에 짚으로 덮는다. 짚을 덮지 않으면 산골 추위에 식혜가 얼 수 있기 때문이다. 단지 주변을 다시 흙으로 메우는데, 입구는 흙을 덥지 않는다. 주변으로 우데기 식으로 모양을 둘러놓는데 필요하면 이 우데기를 거두고 꺼내 먹기 위함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식혜를 만드는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