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보리 이삭을 떨어내는 데 쓰던 농기구. 가래기끌은 빗처럼 촘촘하게 박은 쇠붙이 사이로 보리이삭을 넣은 뒤 낟알만 떨어내는 탈곡기이다. ‘가래기’는 원래 물레에서 실이 감기는 쇠꼬챙이를 말하는데, 나무토막에 가래기와 같은 쇠를 여러 개 박았다고 하여 가래기끌이라고 불렀다. 지역에 따라 ‘보리클’, 또는 ‘가레기클’이라고 부른다. 가래기끌은 논농사 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지역에서 곡식의 낟알과 쭉정이를 분리하거나, 가루를 치고 액체를 거르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 걸름체는 육지에서 쓰는 ‘체’와 비슷한 농기구이다. 그런데 육지의 체가 주로 곡식의 가루를 치고 액체를 거르는 데 쓰인다면, 걸름체는 쳇불의 형태를 다양하게 만들어 낟알과 쭉정이를 분리하거나 알맹이와 싸라기를 가려내는 데도 쓰는 등 활용범위가 넓다. 곡식에 섞...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지역에서 알코올 성분을 증류하여 소주를 고아 내리는 데에 사용하는 용구. 고소리는 열을 가하면 쉽게 증발하는 알코올의 특성을 고려한 장치로, 수증기가 찬 기운을 만나면 물이 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소주를 고아 내리던 용구였다. 소주고수리, 소줏고리 또는 소주고리라고도 부르는데, 육지와 달리 위아래가 붙어서 하나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소리가 사용...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주로 검질(잡초)을 매는 데 쓰는 농기구. 골겡이는 육지에서 쓰는 ‘호미’와 같이 주로 밭에서 나는 잡초를 매는 데 썼던 농기구로, 폭이 2㎝ 이하의 좁은 날을 가진 제초구를 말한다. 작물을 옮겨 심거나, 콩·수수·좁쌀 등의 씨를 뿌리고 흙을 덮는 데도 사용하였다. 지역에 따라 겡이, 강쉐, 갱, 쒜갱이, 골개, 골각지라고도 불렀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쟁기질을 하지 않은 소에게 쟁기질을 가르치는 데 사용하는 돌. 곰돌(또는 코돌)이란 ‘구멍 뚫린 돌’이란 뜻으로, 지역에 따라서는 ‘쇠 가르치는 돌’ 이라고도 했다. 제주 농토가 돌밭이기 때문에 경작이 힘들었으므로 어린 소에게 쟁기질을 익혀 경작에 적응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했다. 곰돌을 쟁기 대신 멍에에 매고 밭갈이 때처럼 오가며 연습시켰다. 곰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밭갈이나 씨뿌리기를 할 때 사용하던 농기구. 곰방매는 주로 밭갈이할 때 생기는 흙덩어리(벙에)를 부수는 농기구인데, 씨를 뿌린 뒤에는 흙덩어리를 풀어 씨를 덮는 파종 보조구로도 썼다. 주로 곧고 센 성질을 가진 쇠물푸레나무나 느티나무, 가시나무 등으로 만들었다. 곰방매는 지역에 따라 ‘곰배’·‘곰베’·‘배’·‘흙시는 낭’ 등으로 불렸는데, 흙...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주로 설거지 그릇이나 항아리의 뚜껑으로 사용하는 전통 생활 용구. 곰보장탱이는 바닥이 미끈한 장탱이와는 달리 바닥을 울퉁불퉁하게 만든 옹기로, 몸통이 그리 높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옹기로 만든 식생활 용구의 하나로, 바닥보다 아가리가 더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다. 곰보장탱이는 나무나 돌로 만든 남박이나 소형의 도구리에서 착안하여 옹기로 구...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주로 여자들이 물건을 넣어 등에 지고 다니던 운반용 바구니. 구덕은 대나무를 재료로 하여 만든 바구니로, 들고 다니기보다는 지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운반용 용구이다. 차롱이나 반짇고리 등 생활 속에서 쓰이는 대나무 소품들이 발전하여 여러 형태의 구덕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제주 지역은 화산섬이라는 지정학적 특성상 길이 평...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무속 의례에 쓰이는 무구(巫具)의 하나. 과거에 비해 굿판이 간소화되면서 많은 종류의 기메를 찾아볼 수 없지만, 무속 의례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무구의 하나인 기메였다. 기메는 쓰이는 용도에 따라 성격을 분류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신의 모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신체 상징물이다. 이외에 제청의 장식물과 제차를 진행하는 보조 수단으로서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나무의 잔가지나 돼지고기 등을 찍어서 자를 때 쓰는 도구. 나대는 주로 땔감으로 사용할 잔가지나 나무숲에서 임시 통로를 확보하기 위해 옆으로 뻗은 나뭇가지를 자를 때 사용한다. 또 포제(酺祭)나 추렴을 위해 돼지를 잡을 경우, 고기를 부분별로 나눌 때도 사용하고 있다. 나대는 간단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생활용구로서 제주 지역 사람들은 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식구들의 밥이나 고구마 등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하던 나무 그릇. 나무로 만든 바가지라는 의미로 ‘낭박세기’, ‘낭박’, ‘남박새기’라고도 부르는 남박은 보통 식사 때 식구들이 모두 먹을 밥을 담는 그릇으로, 일인용 밥그릇보다 큰 밥사발을 말한다. 귀가 붙은 귀남박은 간식인 범벅이나 찐 고구마를 담는 용기로 ‘남박새기’라고도 한다. 남박은 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곡물을 도정하거나 분쇄할 때 썼던 농기구. 남방애는 제주 여러 지역에서 불렸던 명칭으로, 지역에 따라 ‘남방아’ 또는 ‘남방에’로도 불렸다. 남방애는 커다란 통나무를 이용해서 만들었는데, 남방애와 구분하기 위하여 돌로 만든 것을 ‘돌방애’라고 불렀다. 껍질이 많은 조를 주곡(主穀)으로 재배했던 제주 지역에서 가장 필요했던 도구가 곡물의 껍질을 벗...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주로 조밭을 밟을 때 썼던 농기구. 남테는 주로 여름 농사인 조 농사를 지을 때, 조의 씨를 뿌린 후 씨앗이 잘 묻히도록 흙을 단단하게 밟는 데 썼던 농기구였다. 남테는 바람이 많고 화산 회토로 이루어진 화산섬 제주에서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였던 고유한 농기구로, 이 땅의 선인들이 만들어 낸 문화적 산물인 셈이다. 말들이 무리지어 ‘밭 밟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떡이나 과일, 채소 등을 담기 위해 만든 나무 접시. 낭쟁반은 나무로 만든 쟁반이라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나무를 둥글게, 혹은 사각형으로 넓고 낮게 깎아서 물건을 담았던 나무 그릇으로, 지금의 접시에 해당한다. 손님상에 놓이는 낭쟁반은 바닥을 편편하게 만들어 사용했고, 제상에 놓이는 낭쟁반은 바닥에 굽을 붙여 이용하였는데, 후대로 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해녀들이 물질할 때 쓰는 물안경. ‘눈’은 해녀들이 해산물을 캐는 데 이용하는 특수한 물안경을 말하는데, 눈알이 둘인 것과 하나인 것 두 종류가 있다. ‘눈’의 변천은 ‘섭눈’→‘족은눈’→‘왕눈’ 순으로 보인다. ‘섭눈’은 해녀들이 임시로 쓰기 위하여 간편하게 만든, 작은 알이 둘인 물안경이다. ‘족은눈’은 테두리를 쇠뿔 따위로 만든, 알이 둘인...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멍석 위의 곡식을 모으거나 펴는 데 사용하는 농기구. 당그네는 가늘고 기다란 나무 막대에 직사각형의 널판을 직각으로 붙여 만든 목재 민속품이다. 주로 멍석 위에 널어 말리는 보리 등의 곡식을 긁어모으거나 펴는 데 사용했다. 멍석을 이용하는 지역에서는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농구기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널판이 위로 가도록 거꾸로 세워 두거나 높은 곳...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원양 어로와 연륙선·진상선으로 사용했던 목판배. 덕판은 구실잣밤나무로 만든 제주 지역 전통의 목판배이다. 연안에 서식하는 어류와 해조류를 채취하고 가까운 섬을 오가는 배가 ‘테우’였다면, 덕판배는 먼 바다로 나아가 고기를 잡거나 연륙선·진상선으로서 활용할 만큼 튼튼하게 만들어진 목판배였다. 서진의 사학자 진수(陳壽)가 『삼국지(三國志)...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떡가루를 반죽하거나 많은 양의 물건을 담아 두고 쓰던 용구. 지역에 따라 도고리라고도 부르는 도구리는 넓고 낮은 불완전 원형으로 만든 생활 용구로서, 제주 지역에서 흔하게 쓰이던 나무 그릇이다. 도구리는 크기에 따라 쓰임이 조금씩 달랐다. 가장 큰 도구리는 육지의 것과 견준다면 배함지격인 고렛도구리이고, 그 다음 크기가 주로 떡가루를 반죽할...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곡물의 낟알을 떠는 데 쓰는 농기구. ‘도께’, ‘도리깨’로도 불리는 도깨는 보리·조·콩·참깨·유채 따위의 곡물을 두드려서 탈곡하는 농기구이다. 두 손으로 잡고 서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어깨 뒤로 넘겼다가 앞으로 돌리면서 때렸다. 기다란 나무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만들고, 가장자리에 구멍을 뚫은 뒤 가늘고 질긴 나무를 끼워 돌아가게 하였다. 두드...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휴대용으로 사용하던 대나무 도시락. 제주 지역에서는 고리짝을 조그맣고 예쁘게 만든 것을 ‘동고량’, 조금 큰 것을 ‘설기’라고 불렀다. 동고량은 주로 목장에서 소와 말을 돌보는 목자(牧子)들이 휴대하여 사용하였던 도시락으로 제주 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민속품이다. 목축을 생업으로 삼았던 옛 선인들의 생활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사용한 동·식물에서 얻은 기름 혹은 석유 등을 연료로 등불을 켜는 그릇. 등경돌은 ‘등경(燈檠)’과 ‘돌’로 이루어진 말이고, 등경은 등잔대를 말한다. 등잔은 돌이나 놋쇠로 만들었는데, 돌 등잔은 관솔을, 놋쇠 등잔은 양초를 연료로 사용했다. 관솔은 송진이 엉긴 소나무의 가지나 옹이를 말하며, 제주어로 '칵'이다. 송진이 엉겨 붙어 단단하게 응...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땅을 개간할 때 주로 사용하는 농기구. 따비는 땅을 개간할 때나, 자갈과 돌이 많아서 쟁기로는 도저히 갈 수 없는 곳을 가는 농기구였다. 날의 형태를 기준으로 ‘코끼리 이빨형’인 ‘쌍따비(남따비)’와 ‘주걱형’인 ‘웨따비’ 두 종류로 구분된다. 제주 지역에서는 육지에서 주로 사용하던 말굽쇠형 따비는 사용되지 않았다. 자주 쓰는 농기구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떡을 모양 있게 만들기 위해 찍어내는 틀. 제주 지역에서는 보름달 모양의 떡을 ‘절변’, 반달 모양의 떡을 ‘솔변’이라고 부르며, 절변과 솔변을 만들 때 쓰는 떡본 역시 ‘절변본’, ‘솔변본’이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솔변과 절변은 모두 제상이나 명절상에 기본으로 오르는 떡인데, 솔변은 차오르는 달의 정기를 의미하며, 절변은 둥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떡을 담아 두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던 대나무 그릇. 지역에 따라 ‘떡차롱’이나 ‘차롱착’이라고도 불렸던 떡차반지는 장방형의 도시락처럼 만들어진 대나무 그릇이었다. 떡이 쉽게 마르지 않고 먼지가 들어가지 못하게 뚜껑을 덮어서 사용하였다. 떡차반지는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죽공예품인 구덕과 만드는 방법이나 모양이 비슷한 용구이다. 구덕이 단순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짚 등을 두드리거나 다듬는 데 사용한 나무로 만든 방망이. ‘마께’는 방망이의 제주 방언으로, 이삭을 두드려서 알곡을 털어 내거나, 멍석 등을 엮을 때 산듸짚 등을 두드려 부드럽게 만들 때 사용했다. 제주도에서는 빨래방망이를 ‘물마께’, 거친 짚을 빻는 방망이를 ‘덩드렁마께’라고 하였다. 덩드렁마께는 감물을 들이려고 할 때 풋감을 빻거나, 황소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해녀들이 채취한 해산물을 집어넣기 위해 사용하는 주머니. 제주 지역에서는 선사 유적, 특히 해안에 분포된 북촌리 바위그늘 유적, 궤내기 동굴 유적, 상모리 유적 등에서 전복 껍질 등이 대량 출토되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제주 지역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바다에서 해산물을 채취하여 생활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망시리는 망사리 또는 망아리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무속 신앙에서 사용하는 무구(巫具). 멩두는 ‘명두(明斗’)라고도 한다. 제주도 무속에서는 '삼멩두'라 하는데 신칼·산판(엽전 모양의 천문, 술잔 모양의 상잔, 접시모양의 산대)·요령을 조상신으로 모신다. 삼멩두를 던져 떨어진 상태를 보아서 신의 마음을 헤아려 인간의 길흉화복을 점치는데, 제주도 굿에 빠질 수 없는 가장 중요한 무구들이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탈곡한 보리나 조 등을 도정할 때 주로 사용하던 농기구. 몰방애는 보리와 조가 주곡인 제주 지역에서 꼭 필요한 농기구의 하나였다. 연자매를 말하는 몰방애는 지역에 따라 ‘랑’, ‘레’, ‘구레’, ‘방아’, ‘방에’, ‘몰방이’라고도 불렸다. 몰방애는 주로 보리나 조 등의 이삭을 떨어내거나 곡식의 이삭에서 알갱이를 떠는 일, 곡식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주로 남박에 밥을 풀 때 사용하던 부엌 용구. 지역에 따라 ‘밥주걱’이나 ‘우금’이라고도 불렸던 밥자는 한꺼번에 많은 밥을 큰 그릇에 담을 때 주로 사용하던 주걱이다. 예부터 제주 지역에서는 식사 때 밥을 식구수대로 그릇에 담지 않고 남박에 한꺼번에 담아서 같이 먹었는데, 그 때 많은 밥을 한 번에 풀 수 있는 주걱이 바로 밥자였다. 보통...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주로 멸치를 잡는 데 쓰인 그물. 족바지를 이용한 원 어로가 단지 조수의 힘을 이용, 멸치 떼들을 담 안에 가둬 놓고 잡는 비교적 원시적인 어법이라면, 방진그물은 거대한 그물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멸치 떼들을 가둬 놓고 잡는 것으로 좀 더 진보적인 어로기술이다. 이를 두고 방진그물 또는 장막후림이라 한다. 이 작업을 하려면 하나의 어로 공동체를 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음식물이 솥에 눌어붙거나 타지 않도록 저을 때 쓰는 부엌 용구. 배수기는 죽을 쑬 때 사용하는 막대기인 ‘죽젓개’의 제주방언이다. 지역에 따라서 ‘죽젓광이’, ‘남죽’, ‘남술’, ‘베술기’, ‘베술지’, ‘저수게’라고도 불리는 배수기는 너무 두껍지 않은 장방형의 긴 막대를 이용하였다. 특히 콩죽을 쑬 때는 배수기로 오래도록 잘 저어 주어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씨앗을 보관하는 데 사용했던 농기구. 부게기는 참깨·모(메밀)·배추·무·팥 따위의 씨를 보관하기 위해 산듸(산 벼) 짚이나 미(억새 속잎), 또는 신서란을 이용하여 만든 용구이다. 부게기는 주로 툇마루 위나 ‘굴묵(난방용 아궁이)’ 위, 천장 같은 곳에 매달아 보관하였다. 이는 높은 곳에 매달아 쥐들의 습격을 막고, 굴묵에서 불을 땔 때 나오는...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난방과 조명, 간단한 조리를 위해 불을 지피는 시설. 제주 민가에 설치된 붙박이 화로로, ‘부섭’ 또는 ‘봉덕’이라고 하였다. 인간은 자연발생적으로 일어나는 불에서 힌트를 얻어 마찰과 충격을 이용하여 불을 일으키는 도구를 만들고 불을 얻어냈다. 그것으로 난방, 취사, 조명 등에 이용해왔다. 원시에는 불의 세 가지 기능이 미분화 상태였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해녀들이 전복을 채취할 때 사용하는 도구. 철기시대 유적지인 전라남도 해남군 군곡리 패총에서 발굴된 유물 중 빗창이 있는데 이것은 현재의 형태와 거의 다름이 없다. 이로 미루어 빗창이 선사시대부터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녀들이 빗창을 휴대하는 방법을 보면 반드시 등허리에 비스듬히 빗겨서 차고 있다. 이런 점에서 ‘빗겨 휴대하는 창’이라는 뜻으...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빙떡이나 전을 지질 때 사용하는 번철의 한 종류. 지역에 따라서 ‘빙판‘, 또는 ’빙철판‘이라고도 불리는 빙철은 주로 빙떡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번철의 한 종류이다. 제주 지역의 토속 음식인 빙떡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메밀가루를 묽게 반죽한 뒤 빙철 위에서 종잇장과 같이 얇게 지져 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빙철의 두께가 너...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지역에서 사용했던 나무로 만든 찬장(饌欌). 정지 한 구석에 세워 놓고 식기나 수저, 소량의 반찬 등을 넣어 두었던 장방형(長方形)의 2~3층 목재 용기이다. ‘살레’라고도 한다. 잘 다듬어진 목재로 사방에 기둥을 세우고 기둥과 기둥 사이는 3단으로 공간을 분할하였다. 각 칸마다 앞으로 작은 널문을 여닫게 만들었으며, 기둥 다리를 높여 바닥의 습기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특별자치도민속자연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장례 도구. 제주상여라고도 불리는 상여로서 1763년(영조 39) 서귀포시 신효리와 하효리 사람들이 1인당 포목 16척과 조 5되 8홉씩을 모아 공동으로 마련하였다. 1947년에 만들어진 「입의(立議)」에 따르면, 마을 사람들이 돈을 모아 “새 목재를 구입하여 썩고 부서진 상여를 새로 만드니 오히려 옛것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바다 속 해초류를 캐는 데 쓰는 어업 도구. 아시는 거름용 해초를 캐기 위하여 만든 도구로 언제부터 사용했는지 그 자세한 연원은 알 수 없으나 화학 비료가 나오기 전까지 지력을 돋우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연장이었다. 아시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사람의 힘을 이용하여 물 속과 배 위에서 동시에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것과 다른 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사용하는 아기 요람. 애기구덕은 제주도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아기를 그 속에 눕히고 흔들어 잠재우는 요람이다. 주로 3살 전후까지 사용한다. 주로 대를 쪼개 만드는 애기구덕은 장방형으로 높이가 50~60㎝, 폭 30~40㎝, 길이 1m 정도로 중간에 끈으로 엮어 통풍이 쉽게 되도록 하고 오줌을 싸도 아래로 흐르게 하였다. 내부는 높이 중간 정도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보리를 반으로 쪼개거나 쌀, 메밀 등을 가루로 만드는데 사용하는 용구. 지역에 따라 ‘레’, ‘레착’, ‘맷돌’이라고도 부르는 정고래는 주로 보리를 반으로 쪼개어 분리하거나 쌀이나 메밀 등을 가루로 만들 때 사용하는 맷돌이다. 제주 지역에서는 곡식을 가루 내는 정고래 외에도 물에 불린 곡식을 가는 맷돌이 있는데, 이를 ‘풀고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소주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던 용구. ‘술춘’이라고도 불렸던 춘이는 가정이나 주정 공장에서 빚어 낸 소주를 보관하거나 운반할 때 사용하던 용구였다. 술 공장이나 소주를 소매하는 소매점에서 많이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보관 용구로 이용했던 고팡항이나 장항 등을 밀폐할 수 있게 되면서 이동에 용이한 술항아리로 발전시킨 듯하다. 주로 옹기 제품이...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나락이나 보리의 줄기에서 이삭을 따내는 데 사용되는 농기구. ‘클’은 곡식의 알곡을 터는 농기구의 제주 방언으로, 육지에서는 홀태, 벼훑이, 그네, 첨치, 천치(千齒)라고도 불리웠다. 모양은 흡사 머리빗과 같으며, 쇠로 된 긴 이빨 20여 개를 틀에 박아 다리 4개를 여덟팔(八)자 모양으로 단 다음 이빨 사이에 벼를 끼우고 잡아당겨 훑음으로써 곡식...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해녀들이 해산물을 채취할 때 사용하는 부력(浮力) 도구. 1702년(숙종 28)에 이형상이 제작한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에 나오는 해녀들의 작업 장면에는 테왁이 물 위에 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 보아 테왁은 조선 시대 제주 지역에 널리 보편화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테왁은 테를 두른 박이라는 뜻의 테박에서 ‘ㅂ’탈락 현상이 일어나 테왁...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육지와 가까운 바다에서 자리돔을 잡거나 낚시질, 해초 채취 등을 할 때 사용했던 통나무배. 여러 개의 통나무를 엮어서 만든 뗏목배라는 의미로 ‘떼배’, ‘터위’, ‘테위’, ‘테’ 등으로도 불리는 테우는 육지와 가까운 바다에서 이용하던 연안용 어선이었다. 제주도 연안은 지반이 험한 암반으로 형성되어 있어 바다를 오가는 일이 쉽지 않았다...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곡식의 껍질을 벗기거나 분쇄할 때 쓰던 간이 도정기. 통방애는 원통형의 목재를 세운 뒤 속을 파내어 만든 도정기로, 우리나라 전 지역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절구와 비슷한 형태의 농기구이다. 지역에 따라 ‘통방아’, ‘통절구’라고 불리는 통방애는 디딜방아에 비해 가볍고 작아서 이동이 자유로웠다. 통방애는 주로 부녀자들이 소량의 곡식 껍질을 벗기거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물에 불린 곡식을 갈 때 사용하던 맷돌. 제주 지역에서는 마른 곡식을 가는 맷돌을 ‘래(고래)’, 물에 불린 곡식을 가는 맷돌을 ‘풀고래’라고 부른다. 풀고래는 래에 비해 크기가 작은데, 지역에 따라 ‘풀레’나 ‘풀맷돌’로도 불렸다. 보통 모시나 명주 등에 먹일 풀을 만들기 위해 쌀을 갈거나 불린 콩을 갈아 두부를 만들 때 꼭 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물을 길어 나르거나 죽, 술, 씨앗 등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항아리 허벅은 험한 길을 오갈 때 편리하게 등에 지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운반용 항아리이다. 장방형의 구덕에 담아 짊어지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유일하게 제주 지역에서만 만들어서 쓰고 있다. 우리 민속 어디에도 허벅이나 이와 비슷한 기능을 지닌 다른 용품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