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31053
한자 公州麻谷寺靈山會上圖[大光寶殿]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88년연표보기 -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2007년 10월 30일연표보기 -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현 소장처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지도보기
원소재지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
성격 불화|영산회상도
작가 동홍 등 15명
소유자 마곡사
관리자 마곡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 대광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 영산회상도.

[개설]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公州麻谷寺靈山會上圖)[대광보전]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에 후불탱화로 걸려 있는 불화이다. 영산회상도는 석가모니가 영취산(靈鷲山)에서 제자들에게 『법화경』을 설법한 법회의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화기에 따르면, 이 불화는 1788년(정조 12) 동홍(錬弘)의 주도하에 모두 15명의 화원이 함께 그렸다.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는 2007년 10월 3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91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형태 및 구성]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 는 전체적으로 붉은 계열과 녹색 계열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중심에 석가여래가 배치되어 그 주변으로 보살 여섯 위와 사천왕, 아난과 가섭을 비롯한 10대 제자, 벽지불, 용왕과 용녀로 구성되어 있다. 좌우 대칭의 ‘◇’ 구도로 권속들을 배치하였고, 대좌 아래에는 합장한 문수와 보현보살, 대좌 옆에는 연꽃 가지를 든 미륵과 제화갈라보살, 그 위로는 백의관음과 대세지보살이 자리하고 있다. 화면의 하단 양 측면에는 두 구씩 사천왕이 앞·뒤로 배치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공주 마곡사 영산회상도[대광보전] 는 대형의 화면에 석가모니불이 영취산에서 『법화경(法華經)』을 설하던 장면인 설법회를 짜임새 있게 그렸으며, 비교적 탁한 색감과 도식적인 음영 표현 등 18세기 후반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