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산현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582
한자 公山縣
영어음역 Gongsanhyeon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제연박범

[정의]

조선시대 공주목에서 강상죄인(綱常罪人)이나 배역자(背逆者)가 생겼을 때 강등하여 부르던 이름.

[관련기록]

『인조실록』권 47, 인조 24년(1646) 5월 1일 기사에 처음으로 공산현이라는 지명이 등장한다. “공청도(公淸道) 공주목을 강등하여 공산현으로 삼고, 이산(尼山)·연산(連山)·은진(恩津)을 혁파하여 1개현으로 합하여 은산현(恩山縣)이라고 하고, 공청도를 홍청도(洪淸道)로 바꾸고, 전라남도 금산군(錦山郡)을 강등하여 현으로 삼았는데, 모두 역적의 출신지였기 때문이었다”라는 기사가 보이는데, 당시 류탁(柳濯)의 변으로 인해 현으로 강등하였다.

이외에도 『현종개수실록』권 6, 현종 3년(1662) 3월 26일 2번째 기사에서 “공주목을 강등하여 공산현으로 삼았는데, 전패(殿牌)를 잃은 까닭이었다”라는 기사가 보인다. 『충청도읍지』에는 “군명(郡名)-웅천, 웅진, 웅주, 회도(懷道), 공산”라는 기록이 있다.

1778년(정조 2) 7월 공주목은 다시 공산현이 되었고, 목사 대신 현감이 파견되었다. 이조판서 김종수(金鍾秀)는 공주에서 대역부도 죄인 심혁(沈𨩌)이 태어났기 때문에 법으로 보아 당연히 호칭을 고쳐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당시 충청감사가 공주목사를 겸직하고 있었기 때문에 공산현감을 겸직할 수는 없어서, 결국 공주목사의 겸직은 일시 폐지되고 대신 공주판관은 혁파하도록 하였다. 충청감사와 공산현감을 파견하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그러나 이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자료를 보면 반드시 이러한 논의로 운영된 것 같지는 않다. 홍충도관찰사겸병마수군절도사순찰사공산부사(洪忠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巡察使公山府使)라는 직함이 있는 것으로 보아 충청감사가 공산부사를 겸직한 것으로 보이며, 공산현감을 임명하여 파견한 기사는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공산판관을 임명한 기사는 다수 확인된다. 그러므로 공산현이 아닌 공산부가 되었으며, 판관은 그대로 파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명칭만 공주에서 공산으로 바뀌었을 뿐이다.

『대동지지』에는 “인조 24년(1646)에 류탁의 변으로 인해 공산현으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승격되었다. 현종 11년(1670)에 현이 되었고, 숙종 5년(1679)에 현이 되었다가 숙종 5년에 다시 회복되었고, 영조 4년(1728)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영조 13년(1737)에 다시 회복되었다. 정조 2년(1778)에 현이 되었고 정조 11년(1787)에 다시 회복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공산지』에는 “군명(郡名)-웅천, 웅주, 웅진, 회도, 공산”이라는 기록이 있다.

[내용]

공산현은 공주의 옛 지명으로 조선시대 공주목에서 강상죄인이나 배역자가 생겨 강등되었을 때 부르던 이름이다. 조선시대에는 지명을 지을 때 소속되어 있는 지역의 명을 따서 부르게 하였는데, 공주는 고려 때부터 부르던 이름에서 목으로 승격되어 불리었다. 그러나 기록을 통해 보듯이 공주와 관련 있는 인물이 반란을 일으키거나 문제를 일으키면 목을 현으로 강등하고 공산현이라 부르게 하였다.

몇 년이 흐른 후 공주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 다시 목으로 승격되는데 공주 같은 경우는 인조 대에서 정조 때까지 여러 차례 강등과 회복을 반복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변천]

고려 940년(태조 23) 공주라 불렀고, 983년(성종 2)에 목을 두고 관리하였다. 조선 1466년(세조 12)에 진을 설치하였으나 1646년(인조 24) 유탁의 변으로 공산현으로 강등되었다가 다시 승격되었다. 1670년(현종 11)에 공산현이 되었다가 1679년(숙종 5)에 다시 회복되고, 1728년(영조 4) 공산현으로 강등되었다. 1737년 공주목으로 회복되었으나 1778년(정조 2)에 다시 공산현으로 강등되었고, 1787년 회복되었다. 1871년 다시 강등되었다가 1887년 공주목으로 회복되었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에는 지명을 짓는 데 특별한 방법을 사용했음을 알 수 있으며, 나아가 충청도의 여러 가지 지명이 탄생하게 된 동기도 추측해 볼 수 있다. 또한 공주의 공주목에서 공산현으로, 다시 공주목으로 강등과 회복을 되풀이하는 과정을 보며 당시 공주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사건들을 연결시켜 보고 당시의 공주 상황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