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576
한자 光州金氏烈女旌閭
영어의미역 Memorial Monument for Virtuous Lady Gim from Gwangju, Yun Gak's wife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 166-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춘진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97년 6월 5일연표보기 - 광주김씨열녀정려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15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광주김씨열녀정려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15호에서 공주시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성격 정려
건립시기/일시 1725년연표보기
정면칸수 1칸
측면칸수 1칸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 166-2 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공주시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월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녀 윤각의 처 광주김씨 정려.

[개설]

광주김씨열녀정려광주김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해 1725년(영조 1) 명정을 받아 세워졌다. 열녀 광주김씨는 진사 김명뢰(金命賚)의 딸로 조선 후기 무신 윤각(尹慤)[1665~1724]과 혼인했다. 남편이 통제사를 거쳐 총융사가 되었으나 신임사화에 연루되어 평안도 삼화에 유배되자 유배지에 따라가 귀양에 풀려나길 기도했다. 하지만 1724년(경종 4) 남편이 곤장을 맞고 죽자 광주김씨는 남편의 관을 고향으로 옮겨 와 밤낮으로 애도하며 지냈다. 1725년 3월 을사 처분으로 윤각이 신원되자 남편을 따르겠다는 마음으로 단식한 끝에 절명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열행이 조정에 알려져 정려가 내려졌다.

광주김씨열녀정려는 1997년 6월 5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15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관련 조례에 따라 공주시 유형문화유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위치]

공주에서 천안 방향으로 가는 국도23호선을 따라 청룡교차로에서 좌회전 후 의당전의로를 지나면 청룡삼거리가 나오는데, 우회전하여 4㎞ 정도 가면 의당면 월곡리가 있다. 광주김씨열녀정려월곡리 복지회관과 의당초등학교 사이에 자리하고 있다.

[변천]

광주김씨열녀정려는 공주 유생 윤구령(尹九齡) 등 공주를 비롯한 영동·온양·정산·연기·임천·회덕 등 7개 고을의 유생 165명이 광주김씨의 행적을 알려 열녀 포장을 청함으로써 1725년에 내려졌다. 정려 내부에 걸려 있는 현판에는, 1881년(고종 18)에 7세손 윤영기(尹泳璣)에 의하여 중수되었고, 1925년에 다시 중수되었다가 1982년에 새롭게 단청을 하여 오늘에 이른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형태]

광주김씨열녀정려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건물로서, 주위를 쇠창살로 둘러 보호하고 있다. 정려 안에는 ‘열녀증자헌대부병조판서겸지의금부훈련원사행가선대부병조참판겸훈련원도정시충민공윤각처정부인광주김씨지문(烈女贈資憲大夫兵曺判書兼知義禁府訓鍊院事行嘉善大夫兵曺參判兼訓鍊院都正諡忠愍公尹慤妻貞夫人光州金氏之門)’이라는 명정 현판이 걸려 있는데, 뒷면에는 명정 당시 충청도관찰사가 예조에 올린 장계가 각서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다른 정려들의 명정 현판과 달리 광주김씨열녀정려의 현판은 당시 윤구령 등 정려 포장에 앞장섰던 인물들이 공주뿐만 아니라 주변 지역 사림이었음을 알게 해 주는 내용이 추가로 기록되어 있어 정려 포장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정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