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368
한자 儀堂面
영어음역 Uidang-myeon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박윤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행정면
면적 51.33㎢[2024년 9월 30일 기준]
총인구(남, 여) 4,329명(남 2,298명, 여 2,031명)[2024년 9월 30일 기준]
가구수 2,363가구[2024년 9월 30일 기준]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속하는 법정면.

[명칭유래]

의당면은 조선시대 의랑면(儀朗面)과 요당면(要堂面) 지역으로, 의랑면은 지형이 우리 속 같은 의랑골이 있어 의랑면으로 하였고, 요당면은 정안천(正安川)에서 흐르는 냇물이 동혈산(銅穴山)의 끝자락인 이 지역에 와서 못을 이루므로 요당(蓼塘)이라 하였다. 요당에서 용이 백 년에 한 번 승천할 때마다 뛰어난 인물이 배출되었다고 하여 요당면이라 하였다. 의랑면과 요당면이 합쳐지면서 의당면이 되었다.

[형성 및 변천]

백제시대에는 웅천(熊川) 관할이었고, 신라시대에는 웅천주(熊川州) 웅주 관할이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공주목 관할이었다가, 조선시대에 공주목 의당면과 요당면으로 명명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의랑면, 요당면을 병합하여 의당면으로 개칭하였다. 1980년 면사무소를 월곡리에서 청룡리로 이전하였다. 1983년 행정구역 조정으로 송정1리장기면에 편입되었고, 1995년 도·농 통합으로 공주시에 편입되었다.

1999년 아파트단지가 조성되면서 청룡3리, 청룡4리가 신설되어 24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고, 2012년 7월 1일 세종특별자치시의 발족에 따라 송학, 용현, 용암, 중흥, 태산 5개 리가 세종특별자치시로 편입되어 12개 리를 관할하게 되었다. 2013년에는 요룡2리와 청룡5리, 청룡6리가 증설되어 20개 행정리를 관할하였으며, 2019년에는 청룡7리를 신설하여 12개 법정리, 21개 행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자연환경]

의당면은 100~300여m의 산지가 국지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북부의 국사봉[348.5m], 서부의 천태산[392m] 등이 대표적 산지이다. 면의 남부에는 정안천청룡천(淸龍川)이 형성한 충적 평야가 있고, 중앙부에는 가락천(佳樂川), 동부에는 용두천(龍頭川)대교천(大橋川)이 형성한 소규모의 충적 평야가 있다. 이들 하천 연변 충적 평야 일대에 많은 마을이 있다.

하천들은 40~60여m의 해발 고도에서 흐른다. 중흥저수지, 월곡저수지, 유계저수지, 요룡저수지 등이 축조되어 있다. 또한 북부의 공주고개, 서부의 불당고개·질마고개, 동부의 종고개, 남부의 진고개 등 면의 곳곳에 고개가 있다.

[현황]

의당면은 공주시 동북부에 자리하고 있다. 면적은 51.33㎢이며, 2024년 9월 30일 기준 총 2,363가구, 4,329명[남 2,298명, 여 2,031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총 경지 면적은 12.6㎢이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식량 작물·특용 작물 및 과실류가 재배되고, 가축이 사육되고 있다. 산간 지역에서는 밤농사가 활발하고, 수촌뜰에서는 쌀농사가 발달하였다.

제조업은 발달이 미미하며, 소수의 관련 기능 산업체들이 산재해 있고, 서비스업은 면소재지의 가촌(街村)을 중심으로 입지해 있다. 문화유산으로 사적인 공주 수촌리 고분군(公州水村里古墳郡)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인 덕천군사우(德泉君祠宇)가 있다.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공주 의당 집터다지기(公州儀堂-)가 충청남도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공주 의당 집터다지기는 제49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서 은상을 차지하였으며 이후에도 안면도 꽃 박람회, 서울 송파구 서울놀이마당 공연장, 백제문화제 등에서 공연을 이어 나갔다. 2019년 의당집터다지기 전수교육관을 개관하였다.

국도 36호선이 남부에서 동서 방향으로 지나며 동쪽으로는 장기면 송선리에, 서쪽으로는 우성면 신웅리에 연결된다. 그리고 지방도 604번, 지방도 627번, 지방도 691번이 서로 연결되어 개설되어 있다. 지방도 604번은 북부에서 동서 방향으로 지나며 동쪽으로는 연기군 서면에, 서쪽으로는 정안면 장원리에 연결된다.

지방도 627번은 북동과 남서 방향으로 지나며 북동쪽으로는 연기군 서면에, 남서쪽으로는 금흥동에 연결된다. 지방도 691번도 북부 및 서부에서 북서와 남동 방향으로 지나며 북서쪽으로는 연기군 전의면에, 남동쪽으로는 장기면 송문리에 연결된다. 시도 7번 및 8번과 기타 도로도 국도 및 지방도에 연결되거나 국지적으로 개설되어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4.12.16 [형성 및 변천] 내용 추가 및 [현황] 수정 1. 의당면의 일부 세종시에 편입된 내용 추가 2. 2014년 현황으로 수정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