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570
한자 公州鄕校
영어의미역 Gongju County School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 211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이춘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8년 3월 31일연표보기 - 공주향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5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향교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교육기관
건립시기/일시 고려시대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 211 지도보기
소유자 공주 유림
관리자 공주 유림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에 위치한 고려와 조선시대의 국립 중등 교육기관.

[개설]

공주향교는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며, 지방민을 교화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공주향교의 창건 연대는 명확하지 않지만 고려시대로 추정된다.

[위치]

공주시청에서 무령로를 따라 약 2㎞ 거리에 있는 공주 교동성당 앞에서 왼쪽으로 2㎞를 가면 충남통일관이 있다. 그 앞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2㎞ 정도 가면 공주향교가 있다.

[변천]

공주향교는 공주 지역이 조선 전기에 행정적으로 충청도의 주요 군현이었을 때 건립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하지만 그 역사는 고려시대까지 올라간다. 비록 고려시대에 건립되었다는 근거 자료는 많지 않으나, 『동문선(東文選)』 권65에 수록된 「공주동정영춘정기(公州東亭迎春亭記)」의 기록이나, 1301년(충열왕 27)에 민상백이 상숙(庠塾: 학교)을 지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역사를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 전기의 공주향교는 중건된 것으로 보인다.

원래 공주향교는 현재의 교동이 아닌 웅진동 송산리에 있었다는 사실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기록에 잘 나타나 있다. 그 후 1622년(광해군 14) 향교에 화재가 나 건물이 소실되어 1623년(인조 1)에 순찰사 신감(申鑑)과 공주목사 송흥주(宋興周)가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이후 공주향교는 여러 차례 중수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남게 되었다.

[형태]

현존하는 공주향교 건물은 대부분 조선 말기와 일제강점기에 대대적인 중수를 거쳤기 때문에 건축적 기법은 당시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관찰사가 주재하던 충청도의 수향교(首鄕校)인 데 반하여 규모가 크지는 않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뒷면 2열을 내부 공간으로 꾸며 선현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1고주 5량집 구조이고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동·서무는 대성전 앞에 가운데 마당을 두고 동서로 마주보며 배치되어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앞면 열은 퇴칸이고, 뒷면 열은 내부 공간으로 만들어 유학자 18인의 위패를 봉안해 두었다. 반오량집으로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홑처마 팔작지붕이며, 가운데 3칸통은 대청마루로, 강당으로 삼았으며 좌우에 각각 온돌방을 두었다. 동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인데, 앞면 열은 퇴칸이고, 반오량 구조에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서재는 명륜당 서쪽에 동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정면 4칸, 측면 1칸으로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외삼문은 정면 3칸의 평삼문 형식으로, 3량집 홑처마 맞배지붕이다. 기단은 장대석 외벌대로 만들었고, 기단 위에는 판석을 깔았다. 내삼문은 명륜당 바로 뒤에 붙어 계단이 이어지면서 상부에 또 하나의 대지를 조성하여 묘당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묘당의 정문인 내삼문은 계단이 끝나면서 곧바로 이어지는 곳에 배치해 두었다.

수직사는 충청감영의 부속 건물을 이전한 것이라 지방 관아의 건축 양식을 엿볼 수 있는 건축물이다. 외삼문 앞면 동쪽에 별도로 담을 두르고 배치하였는데, ‘강서재(講書齋)’라는 현판이 붙어 있다.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로 온돌방을 꾸몄으며 홑처마 팔작지붕이다.

[현황]

1978년 3월 31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개화기에는 근대 교육을 실시하기도 하였고, 현재 봄과 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지역민과 함께 하기 위해 명륜학원 부녀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여름과 겨울에는 충효 교실을 열기도 한다. 또한 향교의 제기고에는 89종 337책의 고서가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공주향교를 통해 당시 공주가 충청도 일대에서 행정, 교육의 중심 도시였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또한 많은 문서류를 통해 향교의 운영 실태, 관리 및 당시 지역민들과의 관계 등을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