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595
한자 延平府院君神道碑
영어의미역 Monument to Yi Gwi|Memorial Stone for King Yeonpyeong Buwongun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상하만길 17-19[만수리 52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해준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9년 12월 19일연표보기 - 연평부원군신도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9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연평부원군신도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연평부원군신도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성격 신도비
건립시기/일시 1650년연표보기
재질 화강암
높이 335㎝
너비 104㎝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상하만길 17-19[만수리 524]지도보기
소유자 이무림
관리자 연안이씨 연평부원군종회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연평부원군 이귀의 신도비.

[건립경위]

이귀[1557~1633]는 연안이씨로, 임진왜란 당시 삼도소모관(三道召募官)과 삼도선유관(三道宣諭官)을 역임하며 의병을 모집하고 군사를 조직하였다. 그는 전쟁 중 양곡을 거두어 개성으로 운반하여 한양 수복 작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임진왜란이 끝난 뒤에는 전쟁으로 인해 혼란에 빠진 사회를 안정시키는 데 힘썼다. 1623년(광해군 15)에는 김류(金瑬), 신경진(申景禛) 등과 함께 인조반정을 주도하였으며, 그 공로로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이귀는 대사헌과 좌찬성 등 고위 관직을 두루 역임하며 국정 운영에 기여하였다.

이귀는 1633년(인조 11)에 사망한 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인조 묘정에 배향되었고, 충정(忠定)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묘소는 본래 경기도 교하 지역에 조성되었으나, 사망 2년 후인 1635년(인조 13)에 현재의 위치로 이장되었다. 이와 동시에 그의 공로를 기리기 위해 신도비가 건립되었다.

[위치]

공주시청에서 공주 송산리 고분군을 지나 소정펄길을 따라 약 7.95㎞를 가면 이인면 만수리가 있다. 연평부원군신도비만수리 입구 마을회관 앞에 있다.

[형태]

연평부원군신도비의 형태는 이수와 비신이 단일석으로, 재질은 화강암이다. 이수는 쌍룡이 다투는 듯한 형상이고, 귀부는 목 표현이 생략되어 있다. 비신의 높이는 210㎝이고, 이수의 높이는 55㎝이다. 또한 비신의 너비는 104㎝, 폭 32㎝이며, 귀부의 높이는 70㎝, 길이 285㎝, 너비 190㎝이다.

[금석문]

비문은 조익(趙翼)이 찬하고, 오준(吳竣)이 서(書)했으며, 여이징(呂爾徵)이 전(篆)하였다. 비문의 내용은 이귀의 본관인 연안이씨의 개관에 이어 그의 생애를 서술하였다. 이에 따르면 이귀는 어려서 일찍이 부모를 여의었으나 율곡 이이를 스승으로 삼아 학문을 익혔으며 임진왜란 당시 이천(伊川) 일대에서 의병으로 활동하면서 병력 모집과 군량 확보 등에서 공을 세웠다. 또한 이귀는 한양 도성을 수복하는 데도 활약했다. 이후 이귀는 임진왜란이 끝난 뒤엔 1603년(선조 36) 문과에 급제하고 형조좌랑을 제수받으며 본격적으로 정계에 등장했다.이귀는 광해군의 영창대군 살해와 인목대비 유폐 등을 겪은 뒤 인조반정을 주도하였다. 끝으로 비문은 이시백을 비롯한 이귀의 자식 및 후손 들에 대해서도 기록하고 있다.

[현황]

연평부원군신도비는 1979년 12월 19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89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연평부원군신도비는 연안이씨 연평부원군종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공주 지역 연안이씨가의 이귀의 정치적 성향은 매우 주목되는 사안이며, 지역 내에서 공신 가문의 위상을 살펴볼 때에 이와 같은 신도비의 존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귀가 인조반정의 핵심 인물이었다는 점에서 연평부원군신도비는 인조반정의 배경과 과정 등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