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0580 |
---|---|
한자 | 聖里- |
영어의미역 | Dolmen in Seong-ri |
이칭/별칭 | 성리 지석묘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성리 176 |
시대 | 선사/청동기 |
집필자 | 이남석 |
성격 | 고인돌 |
---|---|
건립시기/연도 | 청동기시대 |
소재지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성리 176
![]() |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성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무덤.
성리 고인돌은 탄천면소재지에서 부여 방향으로 약 2㎞ 정도 거리의 성리에 위치한다. 유적의 북쪽 전방으로는 서쪽으로 흘러 금강에 유입되는 하천이 있으며, 하천변에는 나지막한 구릉과 평평한 충적지대가 잘 발달되어 있다. 고인돌이 위치한 지역도 주변의 지형 환경과 동일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성리 고인돌은 1986년 공주사범대학에서 진행한 공주 지역문화재 지표 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다. 당시 지표면에는 여러 매의 석재가 노출되어 있었다.
고인돌의 구체적인 형상은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고인돌로 판단되는 대형의 석재 상면에서는 지름 14㎝, 깊이 10㎝ 내외의 작은 성혈(性穴)이 여러 개 확인되었으며, 일부 석재 가운데에는 받침돌의 형태로 판단되는 석재도 확인되었다.
고인돌 내에서 직접적으로 확인된 유물은 없다. 다만, 주변의 삼각리나 송학리 지역 일대에서 민무늬 토기편과 간석기가 출토되어 보고되었다.
성리 고인돌은 현재 마을 가운데 위치하며, 별도의 정밀 발굴 조사나 보호 조치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성리 고인돌은 주변에서 조사된 분강리 돌널무덤·송학리 독무덤·삼각리 유물산포지 등과 더불어 이 지역 일대의 청동기시대 중기 송국리형 문화상 이해에 중요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