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줄다리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1634
이칭/별칭 조리희,도삭,갈전,조리지희,줄당기기,줄땡기기,줄싸움,줄쌈,게줄쌈,귀줄싸움,동줄다리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경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속놀이
노는 시기 음력 1월 15일 무렵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 무렵에 줄을 당겨 승부를 겨루던 놀이.

[개설]

줄다리기 는 음력 정월 대보름 무렵에 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긴 줄을 마주 잡고 서로 당겨 힘을 겨뤄서 자신의 편으로 끌어온 쪽이 이기는 민속놀이이다. 줄다리기는 지역에 따라 줄당기기, 줄땡기기, 줄싸움, 줄쌈, 게줄쌈, 귀줄싸움, 동줄다리기 등이라고도 한다.

[연원]

줄다리기 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그 연원은 확실치 않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제주도의 줄다리기를 조리희(照理戱)라 기록하고 있고,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도삭(綯索)·갈전(葛戰)·조리지희(照理之戱) 등으로 기록되어 있다. 줄다리기는 주로 중부 이남 지역에서 많이 행해진 것으로 보이는데,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에는 충주 지방, 『동국세시기』에는 충청도·경기도 등지의 줄다리기 놀이가 기록되어 있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줄다리기 의 줄은 이르면 한 달쯤 전부터 마을 사람들에게 짚을 거두어 준비를 시작한다. 줄은 대개 짚으로 만들지만, 영남 및 강원도에서는 칡으로 줄을 만들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가늘게 꼰 줄을 멍석 짜듯이 넓게 엮어서 이것을 둥글게 말아 사용하기도 한다. 줄은 머리는 크지만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고, 끝 부분에서는 꽁지 줄이라 하여 줄을 벌려 놓기도 한다.

줄은 미리 암줄과 수줄의 구분을 두어 만드는데, 모두 머리를 ‘머리’ 또는 ‘도래’라고 하는 올가미 모양으로 틀어 만든다. 다만 수줄의 도래는 너비가 좁고, 암줄의 도래는 너비가 넓다. 줄을 연결할 때에는 수줄을 암줄 속에 깊이 질러 넣고, 구멍이 난 가운데로 굵고 긴 나무 빗장을 찔러 빠지지 않게 한다. 요즘 도시 지역에서는 전통적 방식의 줄은 거의 사용하지 않고 공산품으로 판매되는 줄을 사용한다. 줄다리기는 수십 명의 사람들이 있을 수 있는 넓은 공터에서 행해지고, 근래에는 주로 학교 운동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놀이 방법]

놀이의 시작을 알리는 징소리가 울리면 양편은 서로 힘을 다하여 줄을 잡아당긴다. 줄다리기는 전체의 힘이 한데 모아져야 하기 때문에 호흡을 맞추도록 편장이라 불리는 지휘자가 기를 휘두르면서 지휘하며, 이때 「줄다리기 노래」를 부르기도 한다. 경기가 무르익으면 구경하던 사람까지 달려들게 되어 승부가 뒤집히기도 한다. 승부는 중앙선에서 줄이 어느 쪽으로 많이 이동되었는가에 따라 결정하는데, 중앙선 아래위로 5, 6m의 거리에 결승선을 그어 놓고 상대편 줄의 올가미 모양으로 틀어 만든 곳이 결승선까지 끌려오면 이긴 것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줄다리기 는 한 마을 혹은 여러 마을이 참여하는 세시(歲時) 행사로서 우리나라 전역에서 행해진다. 특히 농업 지대인 남부 지방에서 줄다리기를 많이 하는데, 정월 대보름에 하는 경우가 많다. 왜냐하면 농한기의 마지막 축제의 성격이 강한 정월 대보름 이후에는 본격적인 농사일이 시작되기 때문이다.

줄다리기 에서 이긴 편에 풍년이 들고, 특히 암줄을 당긴 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는 정월 대보름에 한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고 풍년을 기원하는 여러 행사와 함께 줄다리기 역시 그 일환이었음을 알게 한다.

1993년 서울특별시에서 간행한 『서울 민속 대관』의 「놀이의 실상 일람」에서 서초구 염곡동 주민 조귀환[남, 63]은, “일제 강점기까지 정월 대보름 저녁에 마을 주민들 수백 명이 참여하여 조진사댁 앞마당에서 줄다리기를 했다. 줄다리기를 하기 전에 우선 두레패가 농악을 치고, 그런 다음 술과 밥을 든든히 먹고 나서 남녀로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하였는데, 진 편이 이긴 편에 술을 대접했다.”고 증언하고 있다.

도봉구에는 줄다리기에 대한 기록이 없어 그 실상을 잘 알 수 없으나 줄다리기는 전근대 시대의 보편적인 마을 공동 행사였다는 점에서 도봉구 역시 행해졌을 것으로 보인다.

[현황]

줄다리기 는 농업 관련 협동 문화가 중심이 되었던 예전과는 달리, 지금은 도시화와 산업화의 영향으로 명절에 동네 단위로 줄다리기를 하는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요즘에는 특별한 민속놀이 행사나 체육 대회에서 주로 줄다리기가 행해지는 실정이다.

2007년 5월 1일 도봉 구민의 날 기념 체육 대회 때 도봉구 생활 체육회에서 주최하여 줄다리기와 대형 윷놀이 등이 도봉 2동 소재 성균관 대학교 운동장에서 벌어졌다. 또한 2005년 10월 27일에도 서울 동북 5개구 의원 체육 대회에서 역시 줄다리기가 행해졌다. 줄다리기는 가장 널리 알려진 민속놀이 중의 하나로서 오늘날에도 학교 운동회나 동민 체육 대회 등에서 많이 행해지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