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0454 |
---|---|
한자 | 靜庵先生文集 |
영어음역 | Jeongamseonsaengmunjip |
영어의미역 | Collected Works of Jo Gwangjo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118-1[충렬로 9-19]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성환 |
성격 | 문집 |
---|---|
관련인물 | 조광조(趙光祖)[1482~1519]|이기주(李箕疇)|이선(李選)|조위수(趙渭叟)|민정식(閔正植)|박세채(朴世采)|양회연(梁會淵)|양회규(梁會奎)|양희지(楊熙止)|강현(姜顯)|박상(朴祥)|류형원(柳馨遠)|최립(崔岦)|송시열(宋時烈)|권상하(權尙夏)|이재(李縡) |
저자 | 조광조(趙光祖)[1482~1519] |
편자 | 박세채(朴世采)|양회연(梁會淵)|양회규(梁會奎) |
간행자 | 양회규(梁會奎) |
저술연도/일시 | 조선 전기 |
편찬연도/일시 | 1681년(숙종 7)|1892년(고종 29) |
간행연도/일시 | 1929년 |
권수 | 17권 |
책수 | 5책 |
사용활자 | 목판본 |
가로 | 15.2㎝ |
세로 | 21.3㎝ |
표제 | 靜菴先生文集 |
간행처 | 화순 삼지재 |
소장처 | 충렬서원 |
소장처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능원리 118-1[충렬로 9-19] |
[정의]
충렬서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1929년 간행된 조광조의 문집.
[개설]
『정암선생문집(靜庵先生文集)』의 정고본(定稿本)은 조선 중기에 이기주(李箕疇)가 수집한 조광조(趙光祖)[1482~1519]의 유문(遺文)·사적과 이선(李選)이 수집한 유문, 5대손 조위수(趙渭叟)의 가장초본(家藏草本)을 모아 박세채(朴世采)가 교정·편차하고 부록과 연보를 붙인 것을 말한다. 그후 조위수가 정고본의 부록을 줄이고 연보를 제외하여 1681년에 남원에서 목판으로 간행한 것을 호본(湖本)이라 한다. 또 1685년에는 박세채가 정고본대로 대구에서 중간하였는데, 이를 영본(嶺本)이라 한다.
1929년에 양회규(梁會奎)가 양회연(梁會淵)이 호남 사림과 협의하여 감사 민정식(閔正植)의 협조하에 정고본과 호본을 바탕으로 재편하고 부록을 증보하여 1892년에 능주 삼지재(三芝齋)에서 목판으로 중간한 삼지재본(三芝齋本)의 일부분을 보각·추각한 것이 후쇄본(後刷本)인 『정암선생문집(靜庵先生文集)』이다. 이외에도 1935년에는 한규복(韓圭復)·이필훈(李弼薰) 등이 새로 찾은 소·차·연중기사 등을 추가하고, 편집하여 용인에서 석인본(石印本)으로 중간하기도 하였다.
[형태]
원집(原集)과 부록 6권, 속집원집 1권, 속집부록 5권 등 총 17권 5책이다. 목판본, 선장(線裝)이다. 크기는 가로 15.2㎝, 세로 21.3㎝이다.
[구성/내용]
권수에 숙종의 어제시(御製詩)인 「독정암집유감(讀靜庵集有感)」과 1730년(영조 6)에 민진원(閔鎭遠)이 쓴 어제시에 대한 후지(後識), 송시열의 서문, 송병준의 중간 서문 및 목록이 있다. 원집의 권1은 부(1)·시(5), 권2는 대책(1)·소(1)·계사(12)·서(2)·잠(1)·묘갈(1)·공장(2), 권3은 경연진계(44), 권4는 경연진계(37)·습유(계5), 권5는 연중기사(4)·습유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권2의 「홍문관청파소격서소(弘文館請罷昭格署疏)」는 1518년에 소격서의 혁파를 주청한 상소문으로, 성리학의 입장에서 이단을 배척한 내용이다.
부록의 권1은 사실, 권2는 어류(語類), 권3은 계·차·소, 권4는 추증관시시전지(追贈官諡時傳旨)·시의(諡議)·오현종향문묘후반교문(五賢從享文廟後頒敎文)·제문·축문·기·난죽병발(蘭竹屛跋), 권5는 세계도·연보, 권6은 행장·묘지명·신도비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속집원집 권1에는 시(12)가 실려 있고, 속집부록 권1에는 치제문, 권2에는 소·차·계, 권3에는 사실(보유), 권4에는 기·시·찬·상량문·제문, 권5에는 비·시·문생록이 실려 있다.
이중 권3의 사실은 『향례합편(鄕禮合編)』·『기묘유적(己卯遺蹟)』·『김광원시장(金光遠諡狀)』·『최신재사복안처순서(崔新齋謝復安處順書)』·『최신재실기(崔新齋實記)』·『생원박공이홍묘갈(生員朴公以洪墓碣)』·『죽정집(竹亭集)』·『추파집(秋坡集)』·『미암집(眉巖集)』·『기묘제현전(己卯諸賢傳)』 등에서 조광조와 관련 있는 기록을 뽑아 집록한 것이다. 권4의 시는 양희지(楊熙止)·강현(姜顯)·박상(朴祥)·류형원(柳馨遠)·최립(崔岦)·송시열(宋時烈)·권상하(權尙夏)·이재(李縡) 등의 시를 모은 것이다. 권말에는 정범조(鄭範祖)와 후손 조명교(趙命敎)가 쓴 중간 발문이 있고, 이어 1929년에 화순 삼지재(三芝齋)에서 간행된 사실을 담은 판권지가 있다.
[의의와 평가]
기묘명현의 대표적인 인물이자 조선 도학에서 저자의 위치를 고려할 때, 당시 정국의 운영 상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조광조의 묘역·충렬서원과 함께 용인시의 향토사 연구에도 필요한 자료이다.
수정일 | 제목 | 내용 |
---|---|---|
2019.05.10 | 행정지명 현행화 | 모현면에서 모현읍으로 변경 사실 반영 |
2013.05.13 | 성씨 수정 | 성씨 '유'를 '류'로 수정 |
2012.01.12 | [메타데이터] 수정 본문 수정 | 1) 표준지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능원리 118-1 ->표준지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2) 지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능원리 118-1 ->지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118-1 3) 소장처 주소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상현동 능원리 118-1 ->소장처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능원리 11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