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600553
한자 文化遺産
영어의미역 Cultural Heritage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남도 화순군
집필자 조진선

[정의]

전라남도 화순 지역에 있는 국가 및 지방 지정 문화유산.

[개설]

문화재는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것을 일컫는다. 문화재는 유형 문화재, 무형 문화재, 기념물, 민속 문화재로 구분되며, 지정 여부에 따라 지정 문화재와 비지정 문화재로 나누어진다. 지정 문화재는 인류 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보존 가치가 있는 것으로서 국가 지정 문화재와 시·도 지정 문화재로 구분된다.

2012년 현재 화순군에는 국가 지정 문화재는 18건으로 국보 1건, 보물 6건, 사적 3건, 천연기념물 4건, 중요 민속 문화재 2건, 등록 문화재 2건이 있다. 전라남도 지정 문화재는 54건으로 유형 문화재 18건, 무형 문화재 1건, 기념물 16건, 민속 문화재 1건, 문화재 자료 18건이 있다. 이밖에도 화순군과 관련된 문화재 가운데 관외에 있는 지정 문화재로는 국보 1건과 보물 4건이 있으며, 보물로 지정되었던 쌍봉사 대웅전과 중요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었던 소목장은 사유가 발생함에 따라 지정 해제되었다. 전라남도 화순군 효산리 및 대신리 지석묘군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지정 문화재를 무덤 유적·불교 유적·유교 유적·무형 문화재 및 기타 유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무덤 유적]

무덤 유적으로는 국가 지정 문화재 1건과 도 지정 문화재 4건, 문화재 자료 1건이 있다. 이중 선사 시대 무덤 유적은 모두 지석묘이다. 특히 화순군 효산리 및 대신리 지석묘군[사적 제410호]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화순 벽송리 지석묘군[전라남도 기념물 제124호], 화순 운월리 및 도장리 지석묘군[전라남도 기념물 제226호], 화순 연월리 지석묘군[전라남도 기념물 제227호] 역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또한 전라남도 화순군 대곡리 돌무지덧널무덤에서는 모두 13점의 청동기가 출토되어 국보 제143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 광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삼국 시대 고분으로는 화순 능주면 천덕리 회덕 고분군[전라남도 기념물 제192호]과 화순 능주면 관영리 고분[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235호]이 있다. 삼국 시대 화순 지역을 비롯한 영산강 유역의 고분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불교 유적]

화순 지역에 쌍봉사운주사 등 고찰들이 많아 불교 문화재가 많다. 불교 유적은 국가 지정 문화재 8건[국보 1건, 보물 6건, 사적 1건], 도 지정 문화재 19건[유형 문화재 13건, 문화재 자료 6건]이 있다.

쌍봉사에는 쌍봉사 철감 선사 탑[국보 제57호]과 쌍봉사 철감 선사 탑비[보물 제170호], 화순 쌍봉사 대웅전 목조 삼존 불상[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51호], 화순 쌍봉사 극락전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52호], 화순 쌍봉사 목조 지장보살 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보물 제1726호], 쌍봉사 극락전[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66호]이 있다.

운주사지 일원은 천불천탑으로 유명하며 사적 제312호로 지정되어 있다. 화순 운주사 구층 석탑[보물 제796호], 화순 운주사 석조 불감[보물 제797호], 화순 운주사 원형 다층 석탑[보물 제798호], 화순 운주사 와형 석조 여래불[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3호], 화순 운주사 광배 석불 좌상[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4호], 화순 운주사 마애 여래 좌상[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5호], 화순 운주사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6호],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7호], 화순 운주사 석조 불감 앞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8호], 화순 운주사 거북 바위 교차문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79호], 화순 운주사 대웅전 앞 다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80호], 화순 운주사 칠성 바위 앞 칠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81호], 화순 운주사 발형 다층 석탑[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82호], 화순 운주사 거북 바위 오층 석탑[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256호], 화순 운주사 수직문 칠층 석탑[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257호]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밖에도 유마사 해련탑[보물 제1116호], 만연사 괘불탱[보물 제1345호], 독상리 석등[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62호], 한산사지 삼층 석탑[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63호], 화순 대리 석불 입상[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243호] 등이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유교 유적]

유교 유적은 향교·서원을 비롯하여 사우·고택·선정비·충효비·기념비·정문·정려 등으로 다양하다. 국가 지정 문화재로는 화순 양동호 가옥[중요 민속 문화재 제152호]과 화순 양승수 가옥[중요 민속 문화재 제154호]이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도 지정 문화재로 관리되고 있다.

화순군은 과거에 화순현·능주현·동복현이 합쳐졌기 때문에 향교와 서원이 다수이다. 화순 향교에서는 화순 향교 대성전[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63호]과 화순 향교 만화루[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60호]가 별개로 지정되어 있으며, 능주 향교[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124호]와 동복 향교[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125호]는 일괄로 지정되어 있다.

서원으로는 해망 서원[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122호]과 죽수 서원[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130호]이 있다.

사당으로는 최경회 사당[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64호]이 있으며, 충의를 기리기 위한 유적으로는 화순 정암 조광조 선생 적려 유허비[전라남도 기념물 제41호], 화순 능주 삼충각[전라남도 기념물 제77호], 쌍봉리 충신각[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59호], 대리 칠충각[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65호]이 있다.

가옥으로는 중요 민속 자료로 지정된 2건 이외에도 화순 이경휴 가옥[전라남도 민속 문화재 제40호]이 있으며, 관아 건축으로 죽수절제아문[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61호]이 있다.

이밖에도 임대정 원림[전라남도 기념물 제69호], 화순 학포당[전라남도 기념물 제92호], 영벽정[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67호], 화순 광산 이씨 승지 공비[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162호] 등이 있다.

[관방 유적]

관방 유적으로는 화순 쌍산 항일 의병 유적[사적 제485호]이 국가 지정 문화재로 관리되고 있다. 나머지는 모두 도 지정 문화재로 화순 오성산성[전라남도 기념물 제193호], 화순 비봉산성[전라남도 기념물 제194호], 화순 철옹산성[전라남도 기념물 제195호], 금오산성지[전라남도 문화재 자료 제118호]가 있다.

[무형 문화재]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한천리에서 전승되고 있는 걸립 농악인 화순 한천 농악[전라남도 무형 문화재 제6호]이 전승되고 있다.

[천연기념물]

천연기념물로는 국가 지정 문화재 4건, 도 지정 문화재 4건이 있다. 보호수로는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303호], 화순 개천사 비자나무 숲[천연기념물 제483호], 화순 야사리 느티나무[전라남도 기념물 제235호], 화순 동복 연둔리 숲정이[전라남도 기념물 제237호]가 있다.

지질 광물 유산으로는 무등산 주상 절리대[천연기념물 제465호], 화순 서유리 공룡발자국 화석 산지[천연기념물 제487호], 화순 백아산 자연 동굴[전라남도 기념물 제24호], 화순 적벽[전라남도 기념물 제60호]이 있다.

[기타]

화순 오지호 생가[등록 문화재 제274호]와 화순 농협 동부 지점[등록 문화재 제275호]이 등록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이밖에도 화순 동복 남덕원비[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09호], 「화순 총마계회도」[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61호], 하백원의 「만국 전도」와 「동국 지도」[전라남도 유형 문화재 제285호], 화순 성화명 도로 수축 시주 목록 암각 기문[전라남도 기념물 제162호]과 같이 조상들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다양한 문화유산들이 화순군에 소재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화순군의 문화재는 지질 시대의 자연 유산부터 최근의 문화유산에 이르기까지 매우 풍부하게 확인되어 화순군의 특징적인 문화상을 구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지정 문화재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무등산 주상 절리대화순 서유리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는 지질 시대 화순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화순 효산리 및 대신리 지석묘군은 우리나라 청동기 시대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다. 또한 화순 쌍봉사운주사의 다양한 불교 문화재는 우리나라 불교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며, 조선 시대의 다양한 유교 유적들은 당시의 시대상과 문화상을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유적들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