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31052 |
---|---|
한자 | 公州麻谷寺大光寶殿塑造毗盧遮那佛坐像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박성신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 대광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전기의 불상.
[개설]
비로자나불은 불교의 진리 그 자체를 상징하는 부처로, 진리의 몸이 온누리에 두루 비치는 광명의 빛을 내어 모든 이를 지혜의 길로 이끈다. 또한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은 대적광전(大寂光殿), 대적전(大寂殿), 비로전(毘盧殿), 대광명전(大光明殿), 대광보전(大光寶殿)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소조비로자나불좌상(公州麻谷寺大光寶殿塑造毗盧遮那佛坐像)은 2024년 9월 3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형태]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소조비로자나불좌상은 건물 서쪽에서 동쪽을 바라보며 봉안되어 있다. 얼굴은 달걀형으로 둥근 편이며 나발(螺髮)이 촘촘하게 표현되었고 가운데 중앙 계주(中央髻珠)가 좌우로 넓게 표현되었다. 눈은 반개하여 얇고 옆으로 길며 눈 끝이 살짝 위로 올라갔다. 코는 눈썹 사이 미관까지 이어지게 높고 길게 표현되었으며, 인중이 길고 입은 작고 옅은 미소를 띤다. 목 아래에 삼도가 있으며 통견의를 입고 오른쪽 검지를 구부린 지권인(智拳印) 수인을 취하고 있다. 전체 높이는 193㎝로 허리가 길며, 무릎의 높이는 138㎝로 전체 비례에 비해 약간 낮게 표현되었다.
[의의와 평가]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소조비로자나불좌상은 신체의 비례와 착의법, 옷주름의 표현 등 양식적 특징이 조선 전기에 조성된 불상과 유사하며, 그중에서도 16세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비로자나불 좌상이 조성된 연대는 명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전기에 제작된 대형 소조 불상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희소한 사례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