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31042
한자 姜栢年墓所-神道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능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강백년길 55-5[도신리 산23-39] 일원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20년 10월 5일연표보기 - 강백년 묘소 및 신도비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기념물 제3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강백년 묘소 및 신도비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기념물 제32호에서 공주시 기념물로 변경
현 소재지 강백년 묘소 및 신도비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강백년길 55-5[도신리 산23-39] 일원지도보기
원소재지 강백년 묘소 및 신도비 -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강백년길 55-5[도신리 산23-39] 일원
성격 묘|신도비
관련 인물 강백년
소유자 진주강씨설봉공파종중
관리자 진주강씨설봉공파종중
문화재 지정 번호 공주시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의당면 도신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강백년의 묘와 신도비.

[개설]

강백년(姜柏年)[1603~1681]의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자는 숙구(叔久), 호는 설봉(雪峯)·한계(閑溪)·청월헌(聽月軒)이다. 시호는문정(文貞)이다. 아버지는 죽창(竹窓) 강주(姜籒)이며, 어머니는 김응서(金應瑞)의 딸 안동김씨이다. 1627년(인조 5)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에 들어간 후부터 1680년(숙종 6)까지 55년 동안 내외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내직으로 정언, 사간, 장령, 수찬 외에도 대사간, 도승지, 대사성, 대사헌, 의정부참찬, 예조판서, 판중추부사를 지냈다. 외직으로는 강릉·청풍·여주·종성의 수령과 충청도관찰사와 강원도·황해도·경기도의 감사를 역임하였다. 지방관으로 재직 시 청백하고 애민(愛民)하는 정치를 실시하고, 대동법(大同法) 실시에 일조하였다.

강백년은 당대 관각문학(館閣文學)을 대표하는 문한(文翰)으로 지제교(知製敎)를 역임하고 대제학의 물망에도 올랐다. 1646년(인조 24) 강빈옥사(姜嬪獄事)의 부당함을 상소하다가 삭직을 당하고, 1648년(인조 26) 대사간에 있으면서 다시 강빈의 신원(伸寃)을 상소했다가 청풍군수로 좌천되었다. 1660년(현종 1) 동지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오고, 1673년(현종 14) 참찬이 되어 기로소에 들었다. 1674년(현종 15) 예조판서·대사헌을 역임한 후 우참찬 겸 예문관제학으로서 현종의 시책문(諡冊文)을 지었다. 1680년 좌참찬을 거쳐 판중추부사에 이르렀다.

강백년 묘소 및 신도비(姜栢年墓所-神道碑)는 2020년 10월 5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조례에 따라 공주시 기념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위치]

강백년 묘소 및 신도비공주시 의당면 도신리에 있다.

[형태]

강백년 묘소 및 신도비강백년의 묘와 부인의 묘 및 석물, 신도비로 이루어져 있다. 강백년 신도비는 큰 농대석 위에 2m 높이의 비신을 세우고 커다란 가첨석을 올린 조선 묘비형이다.

[금석문]

강백년 신도비 명은 임상원(任相元)이 짓고, 글씨는 조상우(趙相遇)가 3㎝ 해서로 써서 사면에 새기고, 전액은 아들 강선(姜銑)이 9㎝ 전서로 써서 사면의 비신 상단에 새겼다. 탑본은 모두 넉 장이며 찰탑으로 하였다.

[현황]

강백년 묘소 및 신도비 근처에 문정사라는 사우와 강백년문화관이 있다.

[의의와 평가]

강백년은 조선 후기 공주 지역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공주시에서는 강백년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여러 가지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