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31030 |
---|---|
한자 | 公州上院庵僧塔群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산8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범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4년 4월 22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4년 5월 17일 - 공주 상원암 승탑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
현 소재지 | 공주 상원암 승탑군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산86![]() |
원소재지 | 공주 상원암 승탑군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산86 |
성격 | 승탑 |
양식 | 오륜형 부도 |
소유자 | 마곡사 |
관리자 | 마곡사 |
문화재 지정 번호 |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 관내 상원암에 있는 승탑군.
[개설]
공주 상원암 승탑군(公州上院庵僧塔群)의 승탑은 모두 5기로, 대부분 조선 후기 승탑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2024년 4월 22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위치]
공주 상원암 승탑군은 마곡사 관내인 상원암 위 구릉 사면의 평탄면에 조성되어 있다.
[형태]
공주 상원암 승탑군의 승탑은 대부분 탑신부가 원형 혹은 타원형을 이루는 오륜형 부도의 형식을 따르고 있다.
[현황]
공주 상원암 승탑군의 승탑은 모두 5기이다. 하단 오른쪽 승탑은 1757년(영조 33)에 조성된 것으로, 마곡사 주지를 역임한 제봉당(霽峯堂) 체규(體奎)의 승탑[사리탑]이다. 체규는 농산의 제자로 정조 연간 순조를 낳기 위한 천일기도에 참여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1780년(정조 4)에 조성된 청암당대선사학종지탑과 선교양종청암당대선사학종지탑비, 1719년(숙종 45)에 건립된 완허당 청안대사탑, 연대를 알 수 없는 조선 후기에 조성된 계월당대사도행탑과 추월다애사인호탑이 있다.
[의의와 평가]
공주 상원암 승탑군은 승탑의 존재를 통해 조선 후기 공주 지역에서 상원암의 위상이 어느 정도였는가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