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주 갑사 대성암 목조보살좌상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31023
한자 公州甲寺大聖庵木造菩薩坐像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불상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25[중장리 4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3년 12월 20일연표보기 - 공주 갑사 대성암 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23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 갑사 대성암 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공주 갑사 대성암 목조보살좌상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현 소장처 공주 갑사 대성암 목조보살좌상 -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25[중장리 49]지도보기
성격 불상
재질 나무
소유자 갑사
관리자 갑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 대성암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불상.

[개설]

공주 갑사 대성암 목조보살좌상(公州甲寺大聖庵木造菩薩坐像)은 대성(大聖)이 문수보살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문수보살로 봉안되어 있다. 제작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상호와 신체 표현, 착의법 등에서 조선 후기 보살상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3년 12월 2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23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특징]

공주 갑사 대성암 목조보살좌상의 보관(寶冠)에는 각종 꽃과 화염문, 구름, 봉황 등이 장식되어 있다. 보관 좌우에는 관대가 서로 교차하며 바람에 휘날리듯이 표현되었다. 신체 비례에서 허리가 긴 편이며, 양 무릎의 폭이 넓어 안정감이 느껴진다. 둥글고 넓은 얼굴에 반쯤 뜬 듯 옆으로 긴 눈과 높은 코, 살짝 미소를 띤 입술이 조화롭게 표현되었다. 목에는 삼도가 있으며 양감이 있는 가슴과 대의, 부견의가 배 부분에서 서로 둥글게 교차하고 있다. 양손은 별도로 제작하여 손목에 끼웠고, 연꽃봉오리와 연잎을 들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공주 갑사 대성암 목조보살좌상은 금산 보석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과 공주 갑사 대적전 목조아미타삼존상[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과 비교가 된다. 조각 수법에 있어 방형의 얼굴 모양과 옆으로 긴 눈, 오똑한 코와 입꼬리가 살짝 올라간 듯 표현된 입 등에서 느껴지는 약간 굳은 듯한 표정은 17세기 충청도 지역에서 활동했던 조각승 혜희(惠熙)[또는 혜희(慧熙)]의 특징이 나타나 제작 연대를 짐작해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