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31012 |
---|---|
한자 | 公州麻谷寺塑造四天王像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물/불상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로 966[운암리 567]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박성신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 천왕문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소조 사천왕상.
[개설]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公州麻谷寺塑造四天王像)은 서방 광목천왕의 좌대 내부 기둥에서 발견된 ‘강희이십삼년 계해 삼월 오일(康熙二十三年癸亥三月五日)’ 묵서명을 통해 제작 시기가 ‘1683년(숙종 9)’으로 밝혀졌다. 또한 동방 지국천왕 보관(寶冠)의 떨어진 화염 장식 뒷면에서 ‘동방’이라는 명문도 발견되어 방위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마곡사의 해탈문을 지나 천왕문 입구에서 바라보면 우측에 북방 다문천왕과 동방 지국천왕, 좌측에 서방 광목천왕과 남방 증장천왕이 봉안되어 있다.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은 2023년 10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형태]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은 390㎝ 정도의 중대형 크기로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편이며, 판목으로 된 좌대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흙을 반죽하여 심목 위에 발라서 제작한 소조상이며, 건물 벽에 옷자락 일부를 닿게 하거나 철선으로 지붕의 부재와 연결하여 무게를 지탱하였다. 손에는 지물을 들었고 몸에는 갑옷을 착용하였으며 발아래에는 생령(生靈)이 사천왕의 발에 밟히거나 떠받들고 있는 모습으로 제작되었다.
[특징]
사천왕의 얼굴은 방형이고 뭉툭한 코와 높은 콧대, 툭 튀어나온 상·하 대이륜 귀 모양이 특징이다. 갑옷은 중국 명대의 것과 유사하며 지물은 북방 다문천왕은 비파, 동방 지국천왕은 검, 남방 증장천왕은 용과 여의주, 서방 광목천왕은 당(幢)과 과일·채소가 담긴 채과 바구니를 든 모습이다. 보통 서방 광목천왕은 당과 탑을 들고 있는데, 후대에 탑 대신 채과 바구니로 새롭게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은 묵서명을 통해 ‘1683년’이라는 제작 시기를 정확히 알게 되었다. 조선 후기에 조각승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사천왕상이 드물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공주 마곡사 소조사천왕상은 조각승 단응(丹應)의 양식 계보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