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공주 향옥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31002
한자 公州鄕獄
영어공식명칭 The Regional Jail of Gongju during the Joseon Dynasty
이칭/별칭 공주옥,공주감옥,외감옥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봉황로 120-3[교동 114-5] 일대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성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폐지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공주 향옥[구 감옥] 폐지
성격 옥 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에 있는 조선 후기 충청감영 부속의 옥 터 유적.

[변천]

공주옥 혹은 공주 향옥의 정확한 건립 시기는 확인할 수 없으나, 1603년(선조 36) 공주에 충청감영이 설치된 이후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처음 기록은 이 지역을 ‘옥거리’로 부른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나타나며, 1872년(고종 9) 「공주목지도(公州牧地圖)」에는 ‘향옥(鄕獄)’으로 표기되어 있다. 1924년 간행된 『조선형무소사진첩』에는 1908~1909년 촬영된 것으로 보이는 사진이 실려 있어 실제 모습이 확인된다. 이후 1914년 근대식 감옥으로 신축 이전하면서 공주시 봉황로 120-3[교동 114-5] 일대에 있던 구 감옥은 폐지되었다.

천주교 박해기에 공주 향옥에서 순교한 교인의 숫자는 197명으로 공주에서 가장 많으며, 이곳에서 순교한 성 손자선 토마스와 복자 김원중 스테파노 등이 로마교황청에 의해 각각 성인과 복자로 선포되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천주교 대전교구 내포교회사연구소는 이전의 연구를 토대로 고고학적 검증을 위한 공주 향옥 터 시굴을 의뢰하였다. 한울문화유산연구원은 2024년 11월 12일부터 18일까지 시굴 조사를 완료하고, 조선시대 석렬을 확인하였다. 석렬은 향옥의 담장 받침돌과 지대석 일부로 추정되었으며, 정밀 발굴 조사를 통한 면밀한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의의와 평가]

공주 향옥은 조선 후기 충청도 각 지역에서 체포된 동학군과 의병들이 희생된 곳이자 천주교 박해기에는 천주교 신자들의 수감지이자 순교지로서 지역사 및 순교사적으로 관심이 고조되어 왔다. 이러한 가운데 발굴 조사를 통해 현장의 정확한 위치가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그 진정성이 확인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