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234
한자 喪禮
영어의미역 Funeral Rit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집필자 김효경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개설]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가 상례이다. 사람이 태어나서 마지막 통과하는 관문이 죽음이고, 이에 따르는 의례가 상례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상례를 가장 중요한 예법으로 간주해 왔는데, 이는 세계적으로 공통된 현상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죽음을 단순히 인간의 생물학적인 활동의 정지가 아니라, 인간의 영혼이 현세에서 타계(他界)로 옮겨 간다고 믿으며, 상례에는 그러한 관념들이 일정한 행위로 표현되고 있다.

공주 지역에서는 자손이 지켜보는 가운데 수(壽)를 누리고 돌아가시면 호상(好喪)이라 하고, 젊어서나 혼인을 하지 않고 사망하면 악상(惡喪)이라고 하였다. 객사(客死)나 자살, 타살도 악상에 속한다. 안방이 아닌 사랑방에서 죽는 것도 객사로 간주하여 불길하게 여겼다고 한다.

[특징]

부모가 돌아가실 조짐이 보이면 남녀 모두 안방으로 모신다. 임종을 확인하면 죽은 자의 떠나는 혼을 다시 부르기 위해 초혼(招魂)을 행한다. 초혼은 상주와 가까운 마을 사람 중 한 명이 망자의 속적삼을 들고 마당에 서서 “○○○ 씨 복! ○○○ 씨 복! ○○○ 씨 복!” 하고 세 번 외치거나, “○○○ 씨 복! 복! 복!”하고 속적삼을 지붕 위에 올린다. 속적삼을 보고 초상이 난 줄 알고 마을 사람들이 문상을 온다. 이 속적삼은 후에 망인의 혼이 무사히 떠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곱게 태운다.

시신이 안치된 방의 구들 안으로 고양이나 개가 들어가면 시신이 벌떡 일어난다는 속신이 있는데, 이럴 때는 장손이 왼손으로 시신을 다시 눕혀야 한다. 염라대왕의 사자인 저승사자 한 명이 와서 죽은 자를 데리고 가므로, 저승사자를 대접하는 의미에서 사잣밥으로 밥·물·포·무나물·된장·간장 등을 올리고, 노자로 동전 몇 닢도 놓는다. 반가에서는 예서(禮書)에 없다고 하여 마련하지 않기도 한다. 발인 전날에는 망인이 수(壽)를 다하고 편안히 돌아가신 것을 기념하기 위해 ‘상여 흘리기’를 행한다. 상여꾼들이 빈 상여를 메고 발을 맞추며 내일 있을 상여메기 예행 연습을 하는 것이다.

공주 지역에서는 오래 전부터 마을마다 상갓집에 쌀이나 막걸리 등의 현물을 태워 주는 위친계(爲親契)가 조직되어 있어서, 초상집에 참석하지 않거나 회칙을 어기면 벌칙을 씌우거나 궐(벌금)을 물린다. 이런 이유 때문에도 마을에 초상이 나면 집집마다 마당에 널어놓았던 빨래를 걷어서 장례 기간에는 집안일을 잠시 중단했음을 나타낸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공주 지역 사람들은 죽음을 ‘삶의 끝’이라 여기며, 다음 생은 없다는 관념이 강한 편이다. 또한 저승에는 인간을 죽음으로 인도하는 존재로 ‘최판관’이라는 저승사자들의 우두머리가 있어서, 인간의 삶은 최판관의 판단 여부에 달려 있다고 믿는다. “최판관이 오지 말라고 하면 가지 않는다.”라는 말이 전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