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2029
한자 鷄龍百日酒
영어의미역 Making Baegilju Local Alcohol of Gyeryong
분야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음식물/음식물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봉정동
집필자 김상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9년 12월 29일연표보기 - 계룡백일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7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계룡백일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전통주
재료 멥쌀
계절 정월 첫 해일(亥日)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봉정동에서 만드는 술.

[개설]

밑술을 담그고 나서 덧술을 이차(二次)로 하여 순후한 맛이 나도록 빚어낸 가양주로, 익는 기간이 백일이 걸려 백일주라 한다. 여러 번 덧술하지 않고 한 번에 끝내는 술을 단양법(單釀法) 술이라 하고, 밑술을 담고 나서 1차 덧술을 하여 단양법 술보다 알코올 도수를 올린 술을 이양법(二釀法) 술이라 한다.

밑술을 담그고 나서 2차 덧술을 하여 알코올 도수를 이양법 술보다 올린 술을 삼양법(三釀法) 술이라 한다. 삼양법 술은 술 가운데 특품(特品)을 가리킨다. 계룡백일주는 바로 이 특품에 해당된다. 1989년 12월 29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무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연원 및 변천]

조선 전기에 해당되는 1500년대 초 김유(金綏)[1481~1552]가 쓴 『수운잡방(需雲雜方)』에 삼해주(三亥酒)가 등장한다. 이 삼해주와 같은 방법으로 빚은 술을 백일주라고 하는데, 가양주로서의 백일주의 역사는, 술의 양조법이 하루아침에 시작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고려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술은 『수운잡방』 이후 『음식지미방』(1670년경), 『시의전서(是議全書)』(1800년대 말),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1924)으로 면면히 이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만드는 법]

정월 첫 해일(亥日)에 멥쌀 1말로 가루를 만들고 여기에 끓는 물 1말을 넣고 개어 죽을 만든다. 차게 식으면 누룩 5되와 밀가루 5되를 섞어 항아리에 담는다. 둘째 해일에 멥쌀 9말을 가루로 만들어 무리떡을 만든 후 여기에 끓는 물 10말을 넣어 개어 죽으로 만든다.

죽이 차게 식으면 누룩 1말을 합하여 밑술에 섞는다(1차 덧술). 셋째 해일에 멥쌀 10말을 가루로 만들어 무리떡을 만든다. 여기에 끓는 물 10말을 넣어 개어서 죽을 만들어 차게 식힌다. 이것을 1차 덧술한 것에 넣는다(2차 덧술). 2차 덧술 후 30일 정도 지나면 익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충청남도 공주시 봉정동 290번지에는, 연안이씨 이귀(李貴)의 14대 손인 이횡(李鐄)의 부인 지복남이 무형문화재 국가지정 명인 제4호로 지정되어, 16%, 30%, 40% 알코올 도수의 계룡백일주를 제조 판매하고 있다. 30%와 40% 알코올 도수의 술은 백일주로 만든 소주류이다. 찹쌀·멥쌀·누룩이 주재료이고 부재료로서 솔잎·오미자·진달래꽃·국화꽃을 넣어 장기간 저온 숙성 발효시키고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