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610
한자 公州巢鶴里孝子向德碑
영어의미역 Monuments to Hyangdeok's Devotion to Parents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소학동 76-6
시대 고대/삼국 시대,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윤용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2년 12월 31일연표보기 - 공주소학리효자향덕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9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소학리효자향덕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정려비
건립시기/일시 755년연표보기|1741년연표보기
관련인물 조영국(趙榮國)|이덕현(李德顯)|오막(吳幕)
재질 화강암
높이 160㎝
너비 43㎝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소학동 76-6 지도보기
소유자 공주시
관리자 공주시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소학동에 있는 통일신라 때의 효자 향덕의 정려비.

[건립경위]

755년(경덕왕 14)에는 심각한 기근이 신라 전국을 휩쓸고 전염병까지 나돌았다. 부모 공양이 막연해지자 공주 판적향(공주시 소학동 일대)에 살던 향덕은 자기 넓적다리 살을 베어 부모를 봉양하였다. 또 어머니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하여 종기를 입으로 빨아 치료하였다. 신라 경덕왕향덕의 효행이 보고되자 각별한 관심을 보이면서 포상과 함께 비석과 정려를 건립할 것을 명하였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것은 그로부터 987년 후인 1741년(영조 17)에 관아의 서리 오막(吳幕)에 의해 다시 세워진 것이 것이다.

[위치]

공주시 옥룡동에서 대전으로 가는 구 국도로 나아가다 논산 방면의 구 국도에서 꺾어져 약간 더 나아가면 국도변 오른쪽에 있다.

[형태]

공주 소학동 효자 향덕비는 윗부분이 잘려나간 채 하단부만 남아 있는데 앞면에 ‘지려(之閭)’라는 글자가 남아 있어 정려비임을 말해주고 있다. 또한 ‘축삼월일중립(丑三月日重立)’이라 하여 건립의 시기가 새겨져 있지만, 역시 윗부분이 없어졌기 때문에 정확한 건립 시기는 불명이다. 한편 공주 소학동 효자향덕비 옆에 1741년(영조 17)에 세운 새 정려비가 있다. 앞면에 ‘신라효자 향덕지려’라 하였고, 그 아래쪽에 향덕의 효행을 칭송하는 시가 적혀 있다.

비석의 옆에는 원형의 주좌(柱坐)를 갖춘 통일신라기 양식을 가진 2매의 초석이 있다. 경덕왕 당대의 정려 초석일 가능성이 있다. 초석의 크기는 1변 52㎝, 62㎝으로 약간 차이가 있으나 기둥 자리의 지름은 45㎝로 동일한 크기이다. 비석의 전체 높이는 160㎝, 비신의 폭 43㎝, 두께 12㎝이다.

[금석문]

1741년(영조 17)에 세운 정려비의 앞면에는 “지극하여라, 효자여/ 떳떳한 마음으로 온전함을 이루었으니/ 이미 허벅지 살을 베었는데/ 또 다시 종기를 빨았도다/ 임금께서 이를 가상히 여기시어/ 땅을 주고 집을 내리셨다/ 마을이 효자로서 이름났으니/ 영원토록 그 이름 계속될지어다(允矣孝子 克全彛性 旣□其股 亦厥□□ 王庸是嘉 爾田爾宅 地以人名 百世不朽)”라는 시가 쓰여 있다.

[의의와 평가]

신라시대의 효자에 대한 정려비로서, 조선시대에 다시 건립된 것이지만 효행 정려의 선례를 기념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주변에 잔존한 신라시대의 초석과 절단된 구비도 주목할 사항이다. 1982년 12월 31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